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51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경북지역 민속놀이의 특징과 계승 방안
백운용 ( Woon Young Ba E 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7] 제11권 195~230페이지(총36페이지)
놀이 가운데 일정한 역사성을 가지고 민간에서 발생하여 민간에 전해 내려오는 놀이를 통칭 민속놀이라고 한다. 유구한 전통을 지닌 경북지역은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는 동안 그 고귀한 전통이 왜곡되거나 상실되는 아픔을 겪었다. 민속놀이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 계승은 전통의 계승, 놂의 문화 회복이라는 점에서, 또 우리 민족의 건전한 신명을 되찾는 방법으로써 적극적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현재 민속놀이는 전통적 기반이었던 농촌 사회의 붕괴와 도시화의 진행로 인해 급격히 인멸되고 있다. 또 민속놀이를 대신하는 전자게임의 활성화는 놀이의 주체를 놀이에서 소외시켜 놀이에 종속시켜 버린다. 건전한 놀이의 의식을 재구하기 위해서는 민속놀이에 대한 적극적 계승의지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계승은 민속놀이를 박제화하여 오히려 민속놀이의 생명을 갉아먹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TAG 경북지역 민속놀이, 줄다리기, 풍물놀이, 계승방안, 단합형, 특수형, 과시형, a folk game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a tug-of-war, Pungmulnori, plan of suocession, solidarity type, specific type, showing type
경북지역 동제의 특징과 전승 실태
박지애 ( Jee Ae Par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7] 제11권 231~262페이지(총32페이지)
동제는 별신굿과 더불어 마을 공동체를 기저로 한 민간신앙의 대표적인 양식이다. 별신굿이 주기성을 지니고 무당굿의 형태로 전승되는데 반해, 일반적으로 동제는 마을 공동체의 안위와 평아능ㄹ 기원하며 유교식 절차로써 매년 진행된다. 경북지역은 문화?환경적 요인에 따라 북부 산간지역과 동부 해안지역, 중남부 평야지역으로 권역이 나뉜다. 북부 산간지역은 인격신 중에서도 구체적 인물을 마을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다. 동부 해안지역은 동제에 비해 별신굿이 활발히 전승되는 지역이다. 동부 해안지역은 북부 산간지역에 비해 마을신의 신격이나 영험에 대한 담론이 활발하게 전승되고 있지는 않다. 마을신의 영험에 기대어 마을의 안위를 기원하기 보다는 풍어제적인 성격이 강조되면서 별신굿의 위상이 강화되고, 상대적으로 동제의 위상이 약화되고 마을신격에 대한 담론도 간략화된 것으로 보인...
TAG 경상북도, 민속문화, 민간신앙, 동제, 별신굿, Gyeongsangbuk-do, Folkiore culture, Folk belief, Dong-je, Byulsingut
가투놀이의 형성과 정착과정
조유영 ( Yu Young Ch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7] 제11권 263~290페이지(총28페이지)
가투놀이는 일명 시조놀이라고도 불리며, 1920년대 초반에 만들어져 1940년대까지 널리 성행했다. 그리고 가투놀이는 전통시가인 시조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살펴볼 가치가 있다. 가투놀이는 1920년대 초반 불선사의 <歌鬪>가 처음으로 발행되면서 나타났다. 이러한 가투놀이의 형성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 새로운 놀이문화에 대한 당대 사회의 요구라는 측면과 둘째, 시조에 대한 당대 인식의 변화라는 측면, 마지막으로 일본의 민속놀이인 <가루다>의 영향에 의한 놀이 형식의 차용, 이 세 가지 측면이 맞물려 새롭게 만들어진 놀이이다. 가투놀이는 또한 가투의 발행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데, 1925년에는 한성도서본 < 歌鬪>가 발행되었고, 14927년에는 신민사에서 <精選 花歌鬪>가 발행되었다. 1928년에는 <改良 花歌鬪>, 193...
TAG 가투놀이, 가투, 화가투, 시조노리, 시조, 한성도서, 신민사, 시조부흥훈동, Ga-Too game, Si-jo, the Movement for Resurrection of Si-jo, Hwa-Ga-Too, Shi-Jo-No-Ri, Han-Seong-Do-Seo, Shin-Min-Sa
극단 아랑의 극단 체제 개편 과정 연구 -< 징기스칸 >과 < 삼대 >를 중심으로-
김남석 ( Nam Seok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7] 제11권 293~320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아랑, 황철, 임선규, 배우사, 연극사, 신파연기, Arang, Hwang Cheol, Lim Seongyu The history of actors, Korean dramatical history, Sin-pa(Romanticism in Korea and Japan) dramatics
기획논문 : 고문서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박병호 ( Byoung Ho Park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6] 제10권 7~59페이지(총53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고문서학, 한국고문서학회, 『고문서연구』, 고문헌관리학 전공, diplomatics(古文書學),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韓國古文書學會)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Manuscripts(古文書硏究), the Archival Management of Ancient Documents (古文獻管理學)
기획논문 : 관부문서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현영 ( Hyun Young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6] 제10권 61~83페이지(총23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관부문서, 관문서, 관사문기, 경국대전, 전율통보, 조사첩, official document, office-certificated document, Kyong`guk Taejeon(經國大典), Cheonyul Tongbo(典律通補), Letter of appointment
기획논문 : 촌락문서 연구현황과 과제
정진영 ( Jin Young J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6] 제10권 85~113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촌락문서, 고문서, 사족의 농민지배, 국가의 촌락지배, 촌락사, village documents, old documents, rule of peasants by the nobility, rule of villages by the nation, village history
기획논문 : 증빙의 개념에서 본 증빙문서 연구의 과제
김혁 ( Hyok Kim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6] 제10권 115~153페이지(총39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증빈문서, 전달문서, 타동성, 도구주의, 처분문서, 1건 문서, 1종 문서, the documents for evidence, the documents for information
기획논문 : 조선시대 재산상속문서의 연구현황과 과제-가족사 연구의 진전을 위한 제언-
문숙자 ( Sook Ja Moon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6] 제10권 155~183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분재기(分財記), 재산상속, 노비, 농업경영, 가족구조, Bunjaegi, Wealth inheritance, servant, farm management, family structure
기획논문 : 한글 고문서의 연구 현황과 과제
홍윤표 ( Yun Pyo H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영남학 [2006] 제10권 185~262페이지(총78페이지)
본고는 1940년대 대표적인 대중 극단인 ‘아랑’에 대한 연구이다. 극단 아랑은 1940년대 한국 대중극제를 대표하는 극단 가운데 하나였다. 아랑은 창단 당시 황철이 주도하고 임선규?박진?원우전 등이 스텝을 맡았으며, 차홍녀?서일성?문정복 등이 활약한 바 있다. 하지만 1941년 10월에 접어들면서 아랑의 극단 체제는 개편되기 시작한다. 본고는 1941년 10월부터 시작된 아랑의 변화를 추적하여, 그 성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아랑의 변모에는 신파극단으로 폄하되던 대중극단의 고민과, 일제의 정책에 짓눌려야 했던 조선 연극 단체로서의 어려움이 담겨 있다.
TAG 한글 고문서, 언간, 한글 고문서의 분류, Korean historical vernacular documents, Korean historical vernacular Letters,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historical vernacular documents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