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AND 간행물명 : 어문논집14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쌍백당 이세화의 시세계 고찰 -기사년(1689) 이전과 이후의 시세계 대비를 중심으로-
이황진 ( Lee Hwang-ji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141~167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기사년(1689) 숙종에게 인현왕후를 폐위하는 일이 불가함을 극간한 일로 그 절개와 충정을 인정받은 쌍백당 이세화(1630~1701)의 시세계를 고찰한 글이다. 특히 기사년 이전과 이후의 시세계 대비를 중심으로 하여 그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기사년 이전의 시세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것은 1663년(34세) 이세화가 평양판관으로 있을 당시 형장을 지나치게 써서 사람이 죽어나간 일로 인해 의주로 유배되었던 사건이다. 이 사건은 그의 관로와 현달을 가로막는 멍에가 되었기에 이후 이것이 자신의 능력과 포부를 온전히 펼치지 못하는 것에 대한 안타까움으로 표출된다. 그리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종과 숙종이 그의 능력을 인정해 주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등용해 준 것을 감사하게 여겼기에 이는 자신의 맡은바 직책에 충실히 임하는 것이...
TAG 이세화, 시세계, 의주 유배, 「기사진신소」, , Lee Se-hwa, Poetry World, exile to Uiju, Gisa(1689), dethrone Queen Inhyeon, loyalty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근접성 없는 공동체와 친밀성의 테크놀로지 -『아주 오래된 농담』을 중심으로-
유인혁 ( Yu Inhyeok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169~194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박완서 소설 『아주 오래된 농담』에 나타난 근접성 없는 공동체와 친밀성의 테크놀로지의 서사적 양상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소설에서는 공동체의 물리적 조건인 근접성이 사라진 가족 형태가 주로 다루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가족 관계를 매개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이 상세히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가족 사이의 적정한 거리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의 적절한 방식이 탐구되었다. 이 글은 2장에서 비디오 영상이 죽은 아버지를 보충하는 이미지로 활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부재하는 가족 구성원을 환상적인 방식으로 복원하고, 완전한 가족의 이미지를 연출하려는 것이, 결국 주체를 압박하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점을 확인했다. 3장에서는 『아주 오래된 농담』에서 가족 사이의 적당한 간격이, 개인의 자율성과 가족의 친밀성을 유지하는 핵...
TAG 박완서, 『아주 오래된 농담』, 근접성, 근접성 없는 공동체, 가족, 친밀성, 테크놀로지, 친밀성의 테크놀로지, 비디오, 이메일, 가족 이데올로기, Park Wan-Suh, The Very Old Joke, Proximity, Community Without Proximity, Family, Intimacy, Technology, Technology of Intimacy, Video Recoding, E-mail, Family Ideology
문화적 기억의 공간과 장소, 심우장(尋牛莊)
전한성 ( Jeon Hansu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195~221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기억과 공간, 장소 개념을 중심으로 ‘심우장(尋牛莊)’을 살펴봄으로써 만해 한용운의 후반기 삶과 사상을 재조명해보고, 이를 온전히 기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화적 기억은 집단적 기억으로서 공간과 유물, 즉 장소를 통해 형성되고 전승된다. 한용운은 근대로 나아가는 과정 속에서 불교유신과 민족독립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끊임없는 고민을 거듭한다. 심우장(尋牛莊)에서 보여준 그의 삶과 사상은 좌절 속에 직면한 자의 투쟁적인 자기이해의 담론이었다. 그에게 심우장이란 공간은 전통과 근대의 불안정한 만남으로 표상되는 ‘전시 총동원체제기’라는 일제의 폭압적 상황 속에서 민족의 나아갈 방향을 새롭게 모색하기 위한 숙고의 공간이었다. 한용운은 불교유신을 바탕으로 민족독립으로 나아가고자 했는데, 그 연결점을 민족의식의 고취 즉 민중계몽으로 보았던...
TAG 만해 한용운, 심우장, 문화적 기억, 공간, 장소, 민중계몽, Manhae HanYong-un, Simujang, cultural memory, space, place, popular enlightenment
성별에 따른 구어 종결 어미 ‘-잖아’의 화용 전략과 억양의 기능* -대학생 자유발화 분석을 통하여-
조민하 ( Jo Min-ha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223~247페이지(총25페이지)
본고는 자유발화를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구어 종결 어미 ‘-잖아’의 화용 전략을 분석하고 이에 기여하는 억양의 기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라 담화 기능과 정보 구조의 양상이 다르다. 남성은 환기의 의미, 종결 구조 사용, 구정보 제시와 같이 ‘-잖아’의 기본 의미와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여성은 동의 유도 전략, 연결 구조 사용, 신정보 제시와 같이 적극적인 화용 전략을 구사한다. 둘째, 성별에 따라 억양의 사용 양상이 다르다. 여성이 남성보다 운율 요소를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연결의 ‘HL’, 설명의 ‘LHL’, 암시의 ‘L:’와 같이 간접적이고 유연한 억양을 사용한다. 남성은 상대적으로 운율 요소를 소극적으로 사용하며 ‘L’와 같은 무표적인 억양과 반응 유도의 ‘H...
TAG ‘-잖아’, 구어 종결 어미, 화용적 특성, 억양, 성별 특성, 반말체, 자유발화, ‘-janh-a’, final ending in spoken language, pragmetic properties, intonation, gender characteristics, banmal style, spontaneous speech, the speech of university students
국내 외국인 학부 유학생을 위한 시험 답안 쓰기 교육 내용 연구
김지애 ( Kim Jiae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249~285페이지(총37페이지)
이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시험 답안 쓰기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학에서의 시험은 객관식 또는 단답형으로 단순히 외워서 답을 하는 방식보다는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종합적으로 서술하는 방식으로 출제된다. 따라서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로 진행되는 강의를 듣고 시험에서 답안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그에 적절한 한국어 쓰기 능력을 갖추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 만 본고에서 교원 대상 설문조사 및 교재 분석 등을 통해서 유학생 대상 시험 답 안 쓰기 교육의 현재를 살펴보았는데, 시험 답안 쓰기 교육은 현재 매우 제한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며, 그 교육 내용 또한 문제 유형별 답안의 구조 와 표현 교수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러한 교육이 실제로 외국인 유학생의 시험 답 안 쓰기에 도움이 될지 알아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또한 ...
TAG 외국인 유학생, 시험 답안 쓰기, 학업 한국어, 학업 한국어 쓰기, 대학 교육, International student, writing the exam answer, academic Korean, academic writing in Korean, university education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글쓰기> 교육과정 개발 사례
장미정 ( Mijung Jang ) , 황정현 ( Junghyun Hwang ) , 김혜령 ( Hyeryoung Kim ) , 오현화 ( Hyunhwa Oh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287~310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글쓰기>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교육 내용과 교육 운영 방식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7년까지 고려대학교의 글쓰기 공통교양 교과목은 <사고와표현Ⅰ,Ⅱ>로 운영되었으나, 최근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교과목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에서는 글쓰기 교과목 개편을 목표로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 2학기 <사고와표현Ⅱ> 수강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요 내용과 요구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발하였다. 2018년 1학기부터 개설·운영된 <글쓰기>는 학문적 글쓰기 능력 함양을 목표로, 대학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습 중심의 과정별...
TAG 대학 글쓰기, 공통교양, 교육과정 개발, 학습자 요구 조사, 교양교육, 고려대학교, college writing, common liberal arts, curriculum development, student needs survey, general education, Korea University
어문논집 88호 부록
민족어문학회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311~329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글쓰기>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교육 내용과 교육 운영 방식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7년까지 고려대학교의 글쓰기 공통교양 교과목은 <사고와표현Ⅰ,Ⅱ>로 운영되었으나, 최근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교과목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에서는 글쓰기 교과목 개편을 목표로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 2학기 <사고와표현Ⅱ> 수강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요 내용과 요구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발하였다. 2018년 1학기부터 개설·운영된 <글쓰기>는 학문적 글쓰기 능력 함양을 목표로, 대학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습 중심의 과정별...
어문논집 88호 표지
민족어문학회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1(총1페이지)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글쓰기>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교육 내용과 교육 운영 방식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7년까지 고려대학교의 글쓰기 공통교양 교과목은 <사고와표현Ⅰ,Ⅱ>로 운영되었으나, 최근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교과목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에서는 글쓰기 교과목 개편을 목표로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 2학기 <사고와표현Ⅱ> 수강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요 내용과 요구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발하였다. 2018년 1학기부터 개설·운영된 <글쓰기>는 학문적 글쓰기 능력 함양을 목표로, 대학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습 중심의 과정별...
어문논집 88호 차례
민족어문학회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1~4페이지(총4페이지)
본 연구는 고려대학교 공통교양 <글쓰기>의 교육과정 개발 과정을 소개하고, 교육 내용과 교육 운영 방식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7년까지 고려대학교의 글쓰기 공통교양 교과목은 <사고와표현Ⅰ,Ⅱ>로 운영되었으나, 최근 글쓰기 교육에서 쓰기 능력 향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나타남에 따라 교과목 개편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에서는 글쓰기 교과목 개편을 목표로 교육과정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7년 2학기 <사고와표현Ⅱ> 수강생을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주요 내용과 요구 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과목의 교육 내용과 운영 방식을 개발하였다. 2018년 1학기부터 개설·운영된 <글쓰기>는 학문적 글쓰기 능력 함양을 목표로, 대학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습 중심의 과정별...
훈민정음의 <언해본> -고려대 도서관 육당문고 소장의 「훈민정음」을 중심으로-
정광 ( Kwang Chu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20] 제88권 5~48페이지(총44페이지)
세종대왕은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세 가지 방법으로 이 문자를 해설하였다. 첫째는 <해례본>이라고 불리는 원본 훈민정음으로 세종의 어제(御製) 서문, 예의(例義), 해례, 그리고 정통(正統) 11년(1445) 9월에 쓴 정인지의 후서(後序)가 있다. 둘째는 『세종실록』(권103) 세종 28년 9월조에 실린 훈민정음으로 <실록본>으로 <해례본>에서 ‘해례(解例)’ 부분만 빠졌다. 셋째는 훈민정음에 대한 세종의 서문(序文)과 예의(例義)만을 언해한 것으로 『월인석보』라는 불경(佛經)의 권두(卷頭)에 첨부되었다. 보통 <언해본>으로 부르는 이해설서는 단행본으로도 전해진다. 첫째와 둘째를 한데 묶어 <한문본>, 셋째를 <언해본>이라 하여 양분하기도 한다. 이 논고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단행본의 『훈민정음』의 <언해본>에 대하여 고...
TAG 고려대 소장의 훈민정음 언해본, 훈민정음의 제정, 훈민정음의 해설서, <월인석보>의 구권과 신편, <세종어제훈민정음>, the translated Hunmin-jeongeum, Hunmin-jeongeum of Korea university library, the old version of Weolin-seokbo, the newly edited version of Weolin-seokbo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