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188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民初兒童文學家唐小圃生平及著譯考論
원명영 ( Yuan Ming-ju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75~106페이지(총32페이지)
중국 아동 문학의 개산 조사인 손육수(孫毓修)는 1909년에 商務印書館에서 ≪童話≫ 총서를 편집했을 때 처음으로 「童話」라는 어휘를 사용했다. 그 후 魯迅, 周作人 및 趙元任 등 문인들의 추진 아래 중국 동화를 번역하는 열풍이 일어났다. 唐小圃(1879~?)는 五·四 시기 아동 문학계에서 활약했고, 1918년 이후에도 商務印書館에서 ≪京語童話≫, ≪家庭童話≫, ≪女子童話≫ 및 ≪俄國童話集≫…… 등 많은 아동 문학 작품을 잇달아 번안하고 출판했다. 특히 1923년에 ≪托爾斯泰兒童文學類編≫을 번역했는데, 이 작품은 현대에서 아동을 겨냥하고 白話文형식과 아동의 어조 및 필법으로 톨스토이 문학을 소개하는 첫 번째의 번역 작품이다. 唐小圃는 중국 아동이 러시아 문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데 첫 번째 창작의 공을 세웠고, 아동 문학 분야에서 孫毓修의...
TAG 당소포, 唐小圃, 아동문학, 동화, 우화, 번역 소설, 톨스토이, 메이지 문학, Xiaopu Tang, children’s literature, fairy tale, fable, translated novel, Tolstoy, Meiji literature
≪河神≫IP中的志怪傳統與話本風格 ──以小說≪河神·鬼水怪談≫與網劇≪河神≫爲硏究對象
왕남 ( Wang Nan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107~127페이지(총21페이지)
本文以小說≪河神·鬼水怪談≫與網劇≪河神≫爲硏究對象,分析了≪河神≫IP中的志怪傳統與話本風格。小說≪河神·鬼水怪談≫對志怪傳統的繼承通過物老成精的思想、民間古樸的世界觀、多樣的敍事元素、多樣的奇異風俗等四個方面表現出來。而小說≪河神·鬼水怪談≫對話本風格的呈現則主要體現在對話本結構的模倣和對話本語言的模倣。網劇≪河神≫雖然改編自小說≪河神·鬼水怪談≫,但幷沒有拘泥於原著,而是進行了更適合影視化表現的改編。劇情上,網劇爲了集中矛盾,將故事進行了簡化,將全劇的主要矛盾變成了代表邪敎魔古道勢力的連化靑與與代表正義的郭得友之間的矛盾。在人物方面,網劇重新組成了兩對具有戱劇性沖突的情侶――代表傳統文化的小河神與小神婆與代表新文化的留洋法醫與女記者。
TAG IP,河神,志怪,網劇,話本, IP, Tientsin Mystic, mystery, network drama, Script for story-telling
網絡新聞標題中設問和引用的類型及其修辭特點
리철근 ( Li Tiegen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129~151페이지(총23페이지)
本文對網絡新聞標題中設問和引用的類型及其修辭特点進行了全面的考察,幷得出如下結論: a.網絡新聞中的設問式標題主要有問答式標題和問而不答式標題兩大類,各自可分爲若干小類,且各有不同的表現形式。 b.網絡新聞中的引用式標題主要有明引式標題和暗隱式標題兩大類,各自也可分爲若干小類,且各有不同的表現形式。 c.設問和引用在網絡新聞標題中的運用具有如下幾個特点:(一)用設問和引用强調或暗示新聞主題;(二)通過設問和引用口語化運用達成通俗易懂、生動感人的效果;(三)用設問激發讀者對新聞主題的思考;(四)用設問制造懸念和激發好奇心;(五)用引用突出事件的眞實性。 d.網絡新聞標題中設問和引用的綜合運用能制造疊加復合的表達效果。其中最爲常見的是套用。 e.設問和引用在網絡新聞標題中的使用特点及修辭效果的分析可以進一步證明,辭格在提高網絡新聞標題的表達效果方面發揮着重要作用,語言學者有必要對更多辭格在網絡新聞標題中的使用情況展開全面的考察分析,以發現更多隱含在其中的規律。
TAG 網絡新聞標題,設問,引用,類型,修辭特点, Network News Headlines, Shewen, Yinyong, Types, Rhetorical Characteristics
明末科擧與在野文人的互動 ──以金聖歎及其交遊爲案例
황위호 ( Wong Hugo Wai-ho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155~186페이지(총32페이지)
明代專以科擧取士,試以制義,旨在評騭士人書卷、辭理,以及闡發聖賢經傳本義的實力。迨至明末,制義趨於程文化及險僻怪戾,已與原意背道而馳。然而,不少士人依舊接受科擧制義的桎梏。究其原因,一方面,明代社會普遍推崇科擧,當時社會群體因而給予士人無形的壓力;另一方面,科擧制度本身將士人二分,考取擧人以上則擠身於官僚階級,是爲在位,否則爲在野。科擧制義幾乎成了士人擠身官僚階級的唯一通道,明末士人便希望考取科擧,以便得到社會身分的認同與自我價値的肯定。如是者,當時不少士人蠭然應擧,却又屢試不第,厭倦科場,最終淪爲在野文人。金聖歎(1608-1661)無疑是其中一個典型。金氏早歲多次應擧,甚至對於“生員”資格,竟然有補而旋棄,棄而旋補的反常行爲,最終仍爲一介生員。期間更與一些名不見經傳的在野文人交往。本文剖析金氏的應擧行爲及其背後的複雜心理,幷從金氏的交遊圈,開列當時其他在野文人的具體名單,以期達到以下三個目的:一,論證明末科擧對在野文人的影響;二,窺探明末科擧下在野文人的實際面貌;三,補苴金聖歎早期身世及交遊方面的硏究空白。
TAG 明末;科擧;在野文人;心態;交遊;金聖歎, Imperial Examination in the Late Ming Dynasty, the literates without honours, Psychological Struggles, Cultural network, JIN Shengtan
朝中使行線路沿途的關帝廟建築硏究
동건비 ( Dong Jian Fei ) , 한동수 ( Han Dong-soo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187~198페이지(총12페이지)
중국 사회의 중요한 정신신앙이었던 관제(關帝)숭배는 명청시대의 승전으로 같은 유학문화권인 조선에까지 영향을 미쳐 당시 베이징을 출사시킨 조선 사신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청나라 관제의 유행에 대한 이들의 감탄은 “관제가 너무 유행하고, 관왕묘(關帝廟)는 반드시 부처를 공양하고, 절은 관제를 공양한다. 지금도 관제는 거의 부처로 간주된다. 관왕묘를 숭봉(崇奉)하기 전 몇 세대에 걸쳐 진행됐는데 청대(淸代)에 와서는 유난히 성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제가 스승을 존경하고, 종교를 중히 여기고, 인의를 위해, 무품을 겸유한 사람이기 때문에, 관제에 대한 숭상활동은 확실히 당시 사회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추세였다. 이러한 연행사의 기록은 당시 관제 숭상행사에 대한 직접적 사진으로, 우리가 현재 관왕묘의 건축에 대해 알고 있는 중요한 참고가 되었다.
TAG 중국 사행 노선, 관제묘, 건축 특징, China and Korea Diplomatic Line, Guandi temple, Architecture feature
從“衝擊-反應論”到“時代環境-適應論” ──美國學問模式的傳播與臺灣之中國近代史硏究
정문상 ( Chung Moon Sa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199~217페이지(총19페이지)
這篇文章從文化冷戰的觀點分析福特基金會和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近史所)之間形成的文化關係, 嘗試解析臺灣學界的中國近代史硏究具有的冷戰性。福特基金會以近史所爲對象, 長期支援硏究費, 構建了文化關係。以建立這種文化關係爲契機, 近史所正式全面開展中國近代史硏究, 幷發展爲世界性硏究所。這種硏究活動的發展意味着, 以近代化論爲代表的冷戰學問模式和費正淸“衝擊―反應論”正式流入和擴散。但是, 近代化論幷不是單方面的、單方向的流入近史所。帶領近史所的郭廷以能動地接受近代化論。他根據自己的硏究成果, 繼承幷發展了羅家倫和蔣廷黻的學問, 提出了“時代環境―適應論”的觀點。郭廷以的“時代環境―適應論”爲近史所硏究員們提供了硏究中國近代化乃至近代史的觀點, 依據這樣的觀點和邏輯, 近史所硏究員們分析幷構成了中國近代史。總之, 臺灣的對中國近代史硏究的開端是與文化冷戰有着密切的關係的, 同時這一文化冷戰不是單方向的、片面的,而是多層面而復合地展開的。
TAG 近代史硏究所, 福特基金會, 文化冷戰, 郭廷以, 費正淸, 衝擊―反應論, 時代環境―適應論, Institute of Modern History, Ford Foundation, Cultural Cold War, Guo Ting-yi, Fairbank, Impact-Response Theory, Era Environment-Adaptation Approach
주희 철학에 있어 리의 주재성 문제에 대한 소고(小考)
방현주 ( Bang Huyn Joo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221~236페이지(총16페이지)
본 논문은 우선 주희의 인성론에서 언급되는 ‘마음[心]’의 특징과 기능이 무엇이며, 또한 주희가 ‘천지의 마음[天地之心]’이 어떠한 맥락에서 언급된 것이며, 이때 ‘리의 주재’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주희는 「인설仁說」에서 천지의 마음과 사람사물의 마음 사이의 동일성을 긍정하면서, 사람과 사물이 보편적으로 천지의 마음을 가지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 또한 주희는 ‘천지지심天地之心’과 ‘천지지리天地之理’를 설명하면서 천지의 마음에서 이 ‘심心’이 곧 리의 주재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는데, 이와 같은 주희의 설명은 비록 ‘천지가 사물을 낳는 마음’이 인식과 도덕실천의 주체인 ‘사람의 마음’과 완전히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고 볼 수 없지만, 그가 그 사이에 존재하는 모종의 동일성을 보았다는 것을 뜻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마음의 함의를 살펴보...
TAG 주희朱熹, 리理, 주재主宰, 리의 주재, 천지지심天地之心, Zhu-xi, Li, Governance of Li[理], Governance of Heart-mind[心], Heart-mind[心]
육구연의 “실학(實學)” 체계 천석(淺析)(Ⅱ) ─ “역간(易簡)” 공부론
안재호 ( Ahn Jaeho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237~253페이지(총17페이지)
본문은 육구연 “실학”의 구체적 실천 방법론을 체계화시켜 살펴보았다. 그는 스스로 “쉽고 간단한” 공부 방법을 제시했다고 자부했다. 우리는 우선 그것이 어째서 그렇게 표현될 수 있는지 고찰했다. 그리고 이에 근거해서 그의 저명한 공부 명제들 - “發明本心” “先立乎其大者” “辨志” “自得” 등을 차례로 설명했다. 전체적으로 살폈을 때, 육구연의 “실학” 공부론은 도덕이성과 도덕정감 및 그 의지로 정현되는 본심에 집중하여 그 어떤 것보다 직접적이고 간단하게 도덕실천을 이끌어낼 수 있기 바랐다. 유학자로서 이런 점은 매우 바람직하다. “실학”이라는 심성론과 공부방법론은 충분히 평가받을 만하다. 그러나 그것에는 완정한 철학에서 필요한 부분이 결핍되어있는 것이 사실이다. 육구연의 “실학”은 몇 가지 이론이 보충되고 체계가 보완되어야 하는 철학이다.
TAG 육구연, 실학, 易簡, 發明本心, 辨志, 自得, LiuJiuYuan, Practical Learning, Easy and Simple, Reveal Moral Heart/Mind, Distinguish Aim, Get oneself
河濱愼後聃對老莊之評價 ──以『八家總評·道家類』爲中心
왕초 ( Wang Chao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255~277페이지(총23페이지)
朝鮮後期星湖學派儒者河濱愼後聃繼承了程朱理學的基本思路,將儒家與道家的差異歸結爲性理與形氣、天下大公與一己之私的對立;他認爲老子之學缺乏實然之理和當然之則,因而存在很多悖亂之處,幷嚴重破壞倫理規範,也在後世引發嚴重的流弊;他將莊子看作比汲汲富貴之小人還要等而下之的索隱行怪之徒,幷將林希逸以降的調和儒莊、以儒釋莊之風氣目爲比老莊邪說還要有害的蠱惑人心之妖言。基於這些認知,河濱提出學者必須以孔孟程朱之正學武裝自己,以防範老莊邪說的侵蝕。爲了防止任何對老莊道家的妥協,他甚至不惜在一些細節上違反朱子之說以貫徹程朱理學的闢異端精神。河濱在嚴辨儒道上比朱子更爲激烈的立場,與朝鮮時代絶大多數老莊註家對老莊較爲包容的態度形成鮮明對比。
TAG 河濱愼後聃,『八家總評』,老莊,朱子,儒道之辨, Sin Hu-dam(Ha-bin), Palga-Chongpyeong, Laozi and Zhuangzi, the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ism and Daoism, Zhuzi
다석(多夕) 류영모(柳永模) 사상(思想)의 중문번역(中文飜譯)과 이에 대한 고찰(考察)(일(一))
강진석 ( Kang Jinseok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9] 제87권 279~301페이지(총23페이지)
본 논문은 다석 ‘한읗님’ 사상에 대한 중문번역과 번역을 위한 준비 단계에 대한 설명을 위주로 했다. 중문번역을 위해서 필자는 먼저, 다석의 ‘한읗님’은 다석의 판본에 등장한 한글 용어의 다양성, 즉 ‘한읗님’, ‘하나님’, ‘하느님’ 등의 사용에 대한 검토와 이해가 필요했고, 다석이 직접 언급했던 ‘神’, ‘上帝’ 등의 한자 용례도 함께 살펴보아야 했다. 둘째, 다석의 神觀이 지니는 다원진리적 요소와 동양철학적 언어 사용에 대한 용례를 살펴보았다. 셋째, 현대 중국인이 사용하는 중문성경 중에 등장하는 ‘神’, ‘上帝’, ‘天主’의 용례와 특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다석의 ‘하늫님’을 중문으로 번역하는 데 있어서 필자는 ‘神’을 선택하였다. ‘神’은 다석 류영모 선생이 본래적으로 지니고 있던 기독교 신앙의 전통과도 합치될 뿐만 아니라, 다석이...
TAG 류영모, 하늫님, 하나님, 하느님, , 中文飜譯, Ryu Youngmo, God, Han-U-Nim, Han-A-Nim, Shen (神), Chinese Transl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