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188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在對韓漢語敎學的角度上對副詞“眞”的小考
( Liyi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3~22페이지(총20페이지)
본 논문에서 우선 “眞”의 【진실성을 확인함】,【정도를 강조함】 두 가지 의미를 확인한 다음에 “眞”과 “정말”의 대조 분석을 하였다. “眞”과 “정말”의 의미는 거의 비슷하지만 “정말”이 문장 앞에 사용할 수 있고,그 때 【강조+진실성 확인】의 의미를 나타내며 중국어 “眞的”,“眞是” 등과 대응한다. 이상을 바탕으로 “眞”과 “정말”의 의미 특징을 확인하였다. 하나, 화자의 강한 감정을 나타낸다. 둘, 화장의 강한 주관성을 나타낸다. 셋, 【정도를 강조함】의 “眞”과 “정말”은 다 피수식어의 성질, 상태를 지향하고 행동을 지향하지 않다. 그 다음에 본 논문에서 “眞”과 “정말”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즉, “眞”이 형용사와 같이 관형어나 부사어 성분을 할 수 없으며, “眞”이 접속사가 들어있는 문장과 간접인용문장에 사용할 수 없고, 【정도를 강조함】을 나타내는 “眞”이 의문...
TAG 眞,副詞,“眞”與“정말”,對比,對韓漢語敎學, 진,“정말”,부사,중한 대조,한국인 학생으로 중국어 교육, real, adverb, “real” and “정말”, contrast, Chinese teaching for Korean
중국어 명사술어문에 대한 통시적 분석
이슬기 ( Lee Seul-ki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23~59페이지(총37페이지)
지금까지, 상고 한어의 명사술어문은 대부분 문미에 어기조사 ‘야(也)’가 쓰이고, ‘판단’의 의미를 나타냄으로써 상고한어의 판단문[NP1, NP2也]과 동일시 여겨졌다. 하지만, 우리는 상고한어의 모든 명사술어문이 판단을 나타내는 구문은 아니었으며, 소수의 용례이지만 ‘상태 묘사’나 ‘소유’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명사술어문[NP1, NP2]이 존재함을 발견하였고, 이들이 역사적으로 오랜 시간 다른 문장 성분 및 구문 형식과 유기적 연계를 맺으며 변천해왔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선인연구 및 문헌 용례를 토대로 상고한어의 명사술어문과 기타 관련 구문과의 관계 및 ‘시(是)’를 포함한 문장 성분들 상호간의 유기적인 관계에 대해 살펴보고, 그러한 변천 과정에서 작용한 기제가 무엇인지 더불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
TAG 명사술어문, 문법화, 계사, , , 판단문, , , 존재문, 화용표지, Nominal Sentences, grammaticalization, copula, shi, Affirmative Construction, you, Existential construction, pragmatic marker
“三言” “二拍”中媒妁行爲動机的社會意涵分析
함은선 ( Ham Eun Sun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61~77페이지(총17페이지)
在“三言” “二拍”塑造的衆多人物形象中,媒妁形象也是其中一個占有重要地位的特殊群體。中國古代的媒妁制度經過長期發展,到了“三言” “二拍”所反映的明朝中后期,依然是人們締結婚姻關系必鬚的途徑,因而對于社會日常生活具有重要影響。話本小說“三言” “二拍”作爲社會生活的反映,其塑造的媒妁形象中旣有爲了錢財而撮合婚姻和牽合私情的各種媒婆,也有爲了促成親屬和朋友的婚事而樂于扮演媒妁的普通民衆,還有爲了敢于沖破封建禮敎約束的大家小姐能勾實現愛情自主婚姻而爲其傳情達意和出謀劃策的侍女丫環,更有那些通過詐婚抢劫或是拐騙賣婚來謀取錢財的社會惡棍无賴。本文的硏究,主要是分析“三言” “二拍”中各色媒妁的行爲動机背后所包含的那個時代的社會价値觀念和道德取向所構成的社會意涵。
TAG “三言” “二拍”、媒妁、行爲動机、社會意涵, “San Yan” and “Er Pai”, matchmaker, behavior motivation, social implication
巴金筆下的“死亡” ―― 以『家』爲例
호미 ( Ho Mi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79~99페이지(총21페이지)
巴金的代表作『家』通過對高氏家族這一封建紳士階層大家族由盛而衰的過程的描寫,體現了近代轉型時期中國家族文化的變化特徵,從家族這個窓口反映了中國近代知識分子對傳統倫理道德觀念的反思與批判精神,揭示了父權制封建大家族制度的不合理性和這種制度必然走向崩潰與瓦解的歷史性命運,呈現出了顯著的“家族小說”的特徵。而主要人物的死亡則是作者爲了凸顯作品主題而采取的一種重要敍事策略。『家』中按照人物的身分及與作品主題的相關性可分爲“家長之死”與“女性之死”。兩組人物死亡的原因、方式不同,對兩組人物死亡事件敍事過程中體現出的作者情感傾向也形成了鮮明的對照。『家』中的家長高老太爺極爲明顯地體現了父權制封建大家族家長的性格特徵。作品中高老太爺最終因孫輩對自己權威的反抗與兒子們的墮落受到重大的精神打擊“暴怒而亡”,這一死亡方式更加凸顯了高老太爺獨斷專行,暴君一般的性格特徵。『家』中還描寫到三位女性人物的死亡。她們的死亡要比男性人物的死亡悲慘得多,均爲比較典型的非正常死亡。而隱忍、順從的性格正是將她們推向死亡的一個重要的原因。巴金對這些女...
TAG 巴金,死亡敍事,家族小說,家族,女性, Ba Jin, death narrative, family novel, family, female
중국 인공지능의 국가적 수용과 그 의미: 2015-2017 공문 분석을 중심으로
허윤정 ( Her Yunche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101~123페이지(총23페이지)
본고는 2015년에서 2017년에 발표한 중국 국무원의 공식 문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의 위상과 그 의미의 변화를 추적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2015년과 2016년 사이에 인공지능의 역할과 그 위상은 경제 혁신의 담론에서 머물러 있었다면, 2017년에 인공지능은 대외적으로 국가 경쟁력의 제고 및 안보, 대내적으로 공공서비스, 치안과 안전 등 국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거의 모든 역할을 개입할 수 있는 전방위적인 수단으로 변모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인공지능은 중국이 제시하는 국가발전의 비전과 결합해 의미가 부여되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뉴노멀에 놓여있다는 중국 경제의 흐름에서 인공지능은 대내적으로 내수 경제를 활성화하고, 대외적으로 국가경쟁력을 제고하는 견인장치로서 요청되었다. 2017년의 「차세대 인공지...
TAG 인공지능, 문서정치, 인터넷플러스, 4차산업혁명, 기업가, Artificial Intelligence, Document Politics, Internet Plu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ntrepreneur
『구당서(舊唐書)』, 「환관전서(宦官傳序)」·「고력사소전(高力士小傳)」 역주(譯註)와 환관 고력사
류준형 ( Junhyoung Ryu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127~156페이지(총30페이지)
많은 역경을 거친 고력사(高力士)의 생애는 개인의 행적을 넘어 역사적 현상과 의미를 체현했다. 당대 환관들이 권력을 장악할 수 있었던 핵심적인 원인은 병권(兵權)의 장악이다. 그런데 군사권력의 실질적인 지배자가 아닌 고력사가 당대 환관 문제의 중요 인물로 고려되는 것은 그가 환관에 의한 권력 장악의 전형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구당서(舊唐書)』 「환관전(宦官傳)」에 기록된 고력사의 행적에 근거해 다음의 사항들을 지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고력사는 현종이 황위에 즉위하기 이전부터 황제를 시봉했고 이를 계기로 이후의 권력 장악을 진행할 수 있었다. 현종(玄宗) 시기 이후에는 중앙정치에 등장하는 권엄(權閹)들의 상당수가 황제의 즉위 이전부터 개인적 친밀관계를 가졌다. 두 번째, 고력사는 현종이라는 황제의 즉위 과정에 깊숙이 관여하고 적극적인 역할을 수...
TAG 구당서, 환관, 고력사, 역주, 연구동향, Old Book of Tang, Eunuch, Gao-lishi, Annotation, Research Situation, 舊唐書, 宦官, 高力士, 譯注, 硏究槪況
황고둔(皇姑屯) 사건의 배경과 경과, 그리고 동북역치(東北易幟)
권익호 ( Kwon Ik-ho ) , 이강범 ( Lee Kang-bum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157~188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1928년 6월 4일 일본 關東軍이 北洋政府 마지막 통치자인 奉系 수령 張作霖을 폭사시킨 ‘皇姑屯 사건’의 정치적 배경을 고찰했다. 우선 일본 關東軍이 자신의 이익을 대변할 것으로 기대했던 張作霖을 왜 이런 무리한 방법을 써서 제거해야 했는지 의구심에서 출발하여, 일본과 중국의 각국 내 정치적 배경을 검토했다. 그리고 北洋政府 통치를 종식시키고 통일을 이루려는 蔣介石의 北伐과 일본의 東北지배 야욕이 충돌하면서 東北으로 다시 철수할 수밖에 없었던 張作霖의 상황을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皇姑屯 사건의 모의와 실행, 그리고 당일의 상황에 대한 기록을 검토하면서, 關東軍의 소행을 가리기 위한 날조 시도까지 고찰했다. 마지막으로 皇姑屯 사건으로 비롯된 張學良의 ‘東北易幟’의 심층적인 원인으로, 孫文과 民族主義라는 두 요인을 들었다. 일본에서도...
TAG 東北易幟, 皇姑屯 사건, 張作霖, 張學良, 關東軍, Chinese reunification, Huanggutun Incident, Zhang Zuolin, Zhang Xueliang, Kantogun
『묵자』의 기술관 연구
김태용 ( Kim Taeyo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6권 191~213페이지(총23페이지)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해서, 인류는 기술의 발전에 자신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적에 맞게 기술개발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 모든 기술개발은 좋은 사회를 만드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자신들이 지향하는 좋은 사회와 좋은 기술이란 ‘보편적 사랑’과 ‘공동의 이익’이 실현된 사회 그리고 이러한 사회를 실현시킬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할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고대 중국의 철학자이고 기술자인 묵자가 말한 ‘겸상애’와 ‘교상리’를 현대어로 ‘보편적 사랑’과 ‘공동의 이익’으로 번역할 수 있다. 그러므로 논자는 묵자의 기술 철학을 조명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 시대의 기술개발 방향을 조망해 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생각한다. 묵자는 기술개발이 인민의 이익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말한 인민의 이익이...
TAG 묵자, 기술, 겸상애, 교상리, 인민의 이익, 墨子,技術,兼相愛,交相利,人民之利, Mozi, Technology, inclusively caring for each other, mutually benefiting each other, the benefit of people
어휘확산 이론을 통해 본 양사 ‘개(個)’의 사용 변화 ― 관화(官話)의 동물명사를 중심으로
이지은 ( Lee Jieun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5권 3~26페이지(총24페이지)
중국어의 개체양사가 어떠한 기능을 담당하느냐에 관해 학자들의 견해는 크게 부류화, 개체화, 셈의 단위 표시 등으로 나뉘고 있다. 본고는 중국어 개체양사의 기능은 ‘셈의 단위’ 표시이며, 명사와의 의미적 관계에서 나타나는 부류화 기능은 개체양사의 기원에 따른 부차적 기능일 뿐 본질적 기능은 아니라고 본다(李知恩2011a, 2011b). 언어의 경제 원칙에 따라 부차적 기능인 분류 기능은 사실상 반드시 발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셈의 단위 표시 기능은 개체양사의 본질적 기능이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의무적으로 발휘되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수 분류사가 발달한 언어에는 많은 부류의 명사와 결합할 수 있는 보편 분류사(general classifier)가 대부분 존재하며(Aikhenvald, 2000:98) 중국어도 마찬가지로 보편양사 ‘個’가 고빈도로 사용되...
TAG 수 분류사, 개체양사, 보편양사, , , 동물명사, 표준중국어, 관화방언, 어휘확산, numeral classifier, individual classifier, general classifier, ge, animal nouns, Standard Chinese, Mandarin dialects, lexical diffusion
淺析≪國語≫代詞“其”句法位置及句式結構
강연 ( Jiang Yan ) , 정진매 ( Zheng Zhenmei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8] 제85권 27~49페이지(총23페이지)
本文以春秋戰國時期作品≪國語≫中代詞“其”所屬語料爲考察對象,通過具體數據討論了≪國語≫中“其”的句法位置和句式結構以及其特徵。結論爲: 第一,如馬建忠(1998),王力(2003)先生所述,“其”作定語外,還可作主語和賓語。作定語的“其”共有1000例,作主語的“其”共有53例,作賓語的“其”共有2例。從其數量上看,在≪國語≫中,“其”作定語占絶對優勢,作主語的現象只是零星分布,“其”作賓語的情況少之又少。 第二,從句法結構上來看,在≪國語≫中,作定語的“其”存在於七個句式中,卽,“S+V+O”句式,“S+A”句式以及其他相關句式,“S+V+O+C”句式,“S+V1+O1+V2+O2”句式以及其他相關句式,“S+PREP+O1+V+O2”或“S+V+O1+PREP+O2”句式以及其他相關句式,“S+O”句式,“S大,S+V+O”。作主語的“其”存在於四個句式中,卽,“S+V+O”句式,“S+A”句式,“S+PREP+O1+V+O2”句式,“S+O”句式。作賓語的“其”存在於兩個句式中,卽,“S+V+O”句式和“S+V1+O1...
TAG 國語,其,句式結構,主語,賓語,定語, Guoyu, Qi, Sentence structure, Subject, Attribute, Objec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