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중국학회188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V+在+了+NP'구문의 결합관계 연구
박지영 ( Park Jeeyou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27~5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V+在+了+NP 구문의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V의 특징, NP의 특징, 상(aspect)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V+在+了+NP에 빈번히 출현하는 100개의 고빈도 V을 추출하여 [±상태][±방향][±장소]의 기본 자질과 [+순간][+지속][+결과][+부착][+초점]의 세부 자질을 바탕으로 총 12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동사 그룹에 따라 결합할 수 있는 NP성분은 각각 차이를 보이며, NP는 추상적 공간과 구체 공간을 포함한 지점(point)과 장소(location) 공간, 시점과 기간을 포함한 시간, 경계 범위를 나타낸다. V+在+了+NP는 참조 시간...
TAG V쌍(雙)+재(在)+료(了)+NP, 이음절동사, NP, 완정상, 결합관계, Vdisyllable+zai+le+NP, disyllabic verbs, perfective, collocation
상주(商周)시기 부치사구의 어순과 기능의 변화 양상
백은희 ( Paek Eun-hee ) , 류동춘 ( Ryu Dong-choon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53~80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상대 언어에 보이는 부치사 `自`, `從`, `在`, `至(于)`, `于`의 의미역과 어순의 특징을 분석한 후, 이들 부치사의 의미역과 어순이 상대 언어에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상대 언어에서 `自`는 기점과 행위자를 나타내고, `從`은 기점과 경유를 나타내며, `在`는 처소와 수령자를 나타내고, `至(于)`는 종점을 나타내고, `于`는 10여종에 이르는 다양한 기능을 나타낸다. 어순상`在`는 주로 동사의 앞에, `自`, `從`, `至(于)`, `于`는 주로 동사의 뒤에 나타나지만 반례도 적지 않고 반례에는 규칙성이 보이지 않는다. 주대에 이르러 이들 부치사 중 `從`과 `在`는 부치사 기능이 사라지고, `自`는 주로 기점을 나타내고, `至(于)`는 종점과 화제 기능을 나타내며, `于`는 `於`로 대체되며 1...
TAG 부치사, 전치, 후치, 의미역, 문법화, adposition, prepositon, postposition, semantic role, grammaticalization
量詞“枚”在網絡語言中的新興用法及其來源硏究
초육매 ( Jiao Yumei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81~96페이지(총16페이지)
近年來,在網絡語境下,現代漢語量詞和量詞系統發生了一些新的變化。論文以現代漢語中的量詞“枚”爲硏究對象,利用BCC語料庫中的相關語料,對其一般性常見用法和在網絡語境下的新興用法,進行了較爲詳盡的考察。發現其適用語體、出現語境、以及可搭配名詞的範圍都在發生變化,認爲這些新興用法出現的原因與“枚”的語源、新興網絡語言的特點及量詞系統的發展密切相關。
TAG 量詞,“枚”,網絡,語境,新興用法,理据,原因, quantifier, “MEI”, network context, new usages, motivation, reason
의사소통기능을 기반으로 한 중국어 회화교재 시리즈 분석 및 교육적 제언
최현미 ( Choi Hyun Mi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173~200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은 중국어 의사소통 기능 관련 연구의 일환으로 선행 연구의 토대 위에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통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회화 교재인 `신공략중국어`의 초·중·고급 전 시리즈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각 교재의 본문 내용에서 다루고 있는 의사소통 기능에 대한 현황 파악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고에서 회화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교재`는 교육의 3대 요소 중 하나로서 학습 내용을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체이기 때문에 화자-청자 쌍방의 실제 대화 상황으로 구성된 회화 교재 분석은 현재 중국어 교육 분야에서 학습자의 의사소통기능 습득과 관련한 현황을 파악하고 향후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회화 교재의 초·중·고급 전 시리즈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교재 편찬 및 교육의 연계성 및...
TAG 회화 교재 시리즈, 『신공략중국어』, 의사소통기능, 화행행위 분석, 교재 편찬의 연계성 원칙, 교재 편찬 개선방안, A series of conversational textbooks, 『Chinese New Communication』 textbooks, Communication function, Analysis of Illocutionary act, Principles of connectivity in Writing Chinese conversation
唐代 茶詩 小考
김정희 ( Kim Junghee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221~243페이지(총23페이지)
唐은 詩가 가장 흥성한 시대이자, 茶와 茶文化가 형성 발전되기 시작한 중요한 시기이다. 황실귀족으로부터 일반백성에 이르기까지 차문화가 확산되자, 차는 당대 경제의 주요 상품으로 성장하여 당시 사회 경제 생활 등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차가 전국적으로 확산 전파되는 가운데 문인들이 시중에 `茶`자를 언급하는 경우도 점점 많아졌고, 차를 제재로 한 茶詩도 대량으로 출현했다. 唐詩 가운데 차를 뜻하는 글자가 포함된 시는 500여 수에 달하며, 차와 관련된 내용을 전문적으로 노래한 것은 120여 수에 이른다. 초당시기에는 차는 시 가운데 식물명으로만 언급되는 정도였으나, 성당시기에 李白·杜甫·王維 등에 의해 茶詩는 크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중당에는 陸羽의 『茶經』 출판과 그 영향으로 차가 전국적으로 유행했는데, 시인들 중에 白居易·盧仝·劉禹錫 등이 茶史에 있어 탁월한 시들을...
TAG 당대(唐代), 다시(茶詩), 다문화(茶文化), 음다(飮茶), 공다(貢茶), 육우(陸羽), 『다경(茶經)』, Tang dynasty, tea poetry, tea culture, Lu Yu, The Classic of Tea, tea and literature
淸華簡≪厚父≫疏證
오의강 ( Wu Yiqiang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359~386페이지(총28페이지)
通過對≪厚父≫文獻本身的硏讀,從字詞、斷句及文意等方面,對原文進行了細緻的解釋與疏通。對某些關鍵字的解釋,如鞏、佑、傳、淵、佐等;在一些詞語的解釋,及幾位人物的認識方面, 皆提出己見, 如對孔甲、皐陶,以及厚父身分的解釋,指出厚父可能卽≪?子≫所載湯之大臣“慶輔”,增進了對文獻本身的理解,幷有助於判斷文本的性質。
TAG 厚父, 商書, 明德, 天命, 肆祀, , Hou Fu, Ming De, Tian Ming, Si Jiu, Wine
부사년(傅斯年)(1896~1950)의 학술사상에 나타난 `과학주의(科學主義)`와 그 함의(含意)
최은진 ( Choi Eun Jin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387~408페이지(총22페이지)
본고는 傅斯年이 전통중국의 학문을 터득했음에도 누구보다도 더 서구의 학문연구의 체계와 방법의 도입을 매우 강조했다는 것에 주목하여 이를 `과학`우선주의적 입장이라고 보았다. 그는 특히 학술과 교육에서 이러한 입장이 잘 드러났는데 학술과 교육체계의 확립과정에서 근대적 학문과 교육의 핵심내용으로 과학적 학문방법과 과학교육의 내재화를 강조했다. 이는 그가 소장으로 활동한 역사어언연구소(사어소)의 설립목적이나 운영과정 및 그의 역사관이나 학문방법에서도 드러났다. 또한 교육에 관련된 각종 언론에서 보여준 주장들에서도 과학우선주의적 입장이 드러났다. 그렇다면 이러한 과학을 중시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5.4신문화시기 사회개조의 방안으로 계급투쟁이 아닌 개량적 방법으로의 근대화를 추구했던 傅斯年은 1920년대 전통적 학술체계를 완전히 대체하기 위해 사어소를 설립해서 `과학...
TAG 부사년(傅斯年), 과학주의, 도구적 이성, 과학사학파, 중의서의논쟁(中醫西醫論爭), 학술사상, FuSinian, scientism, Instrumental reason, Scientific History School, Academic Thought
2000년 이후 한국의 5·4신문화운동 연구 동향과 향후 과제
임상범 ( Lim Sangbum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409~431페이지(총23페이지)
`5·4신문화운동`은 20세기 중국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사건이자, Xijinping 시대의 중국이 자신의 미래를 둘러싸고 벌이는 논의에서 다루어지는 핵심적인 화두의 하나이다. 5·4신문화운동은 한국에서 많은 연구 성과를 거두었지만, 아직까지 한 권의 연구서도 출간되지 않았다. 본고는 2000년대에 이루어진 한국의 연구 성과를 정리했다. 1990년대에 제시된 관점과 방법론을 계승한 21세기의 연구들은 5·4운동의 민족주의적 성격과 근대화론을 결합하면서 정치적·사회적 성격의 애국운동보다 문화적·사상적 측면이 강조된 문화운동이나 계몽운동을 강조했다. 2장에서는 `민주`가 현재 중국의 과제와 관련해서 다루어졌고, `인간해방`의 문제는 여성문제와 새로운 미시사적 접근법이 주목을 받았음을 지적했다. 3장에서는 신문화운동가 이외 집단들의 국민국가 건...
TAG 계몽운동, 국민국가, 국어, 근대성, 민주, 사회진화론, `신문화운동`, `5·4운동`, trans-humanus, democracy, May Fourth Movement, modernity, national language, nation-state, New Cultural Movement, the Enrightenment,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통계 분석을 통한 분야별 중국어 신조어 특징 고찰
장선우 ( Chang Sun-woo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151~172페이지(총22페이지)
본고는 통계 분석의 방법으로 중국어 신조어에 대한 분야별 조어 방식 및 품사 특징을 살펴보았다. 신조어가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는 분야를 일목요연하게 보여주었으며 또한 그 어휘 구조와 용법에 대한 특징을 분야별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선 개념 체계를 바탕으로 6개의 대분류 `인간, 사회, 자연, 생명, 인공, 예술`로 나누고 그 안에서 다시 중분류를 세분하였다. 분야 체계의 구축을 통해 신조어의 어휘 구조나 용법 특징이 각 분야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보였다. 신조어에 대한 분야별 분석은 학습 수요에도 부응한다. 학습자가 관심을 갖는 분야에서 신조어의 특징을 보여줄 수 있게 된다. 이는 학습자가 습득한 해당 언어의 규칙을 이용해 새로운 말들을 `유추`하고 활용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신조어의 조어 방식에 대한 규칙이나 어휘의 통사적 결...
TAG 신조어, 통계 분석, 영역 분류, 조어법, 품사 분류, neologism, statistical analysis, terminology, word formation, Classifying Parts of Speech
宋元明淸時期器官動量詞的歷時考察
최재영 ( Choi Jaeyoung ) , 김미나 ( Kim Mina )  한국중국학회, 중국학보 [2017] 제81권 97~123페이지(총27페이지)
本文以近代漢語時期的6種文獻(『朱子語類』、『元典章·刑部』、『元刊雜劇三十種』、『金甁梅詞話』、『紅樓夢』(前80回)、『兒女英雄傳』)爲硏究對象,對所選取的8種(頭、眼、口、手、掌/巴掌、拳/拳頭、指/指頭、脚)器官動量詞在“VP+數量短語”以及“數量短語+VP”兩種結構中的使用情況、演變過程及其特征進行了考察。考察結果如下: 第一,所考察的8種器官動量詞在宋元明淸時期的出現頻率如下:口(176)>眼(52)>手(41)>脚(37)>拳/拳頭(27)>頭(22)>掌/巴掌(5)>指/指頭(3)。 第二,在“VP+數量短語”結構中,宋元時期器官動量詞僅出現2種(口、拳/拳頭),明淸時期器官動量詞種類增加到6種(眼、口、手、掌/巴掌、指/指頭、脚)。在“數量短語+VP”結構中,器官動量詞在宋元時期沒有出現,明淸時期出現7種(頭、眼、口、手、掌/巴掌、拳/拳頭、脚)。 第三,器官動量詞與動詞之間的語義關系爲“動作-工具”。當器官動量詞出現在“VP+數量短語”結構時,句子可...
TAG 近代漢語、器官動量詞、數量短語、動作-工具、客觀量、主觀量, Early Modern Chinese, organ verbal quantifiers, quantitative phrase, action-instrument, objective quantity, subjective quant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