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다문화 청소년소설에 형상화된 청소년 인물의 성장 이해
선주원 ( Ju Won Seo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9권 33~57페이지(총25페이지)
이 글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소설에 형상화된 다문화적 존재들의 척박한삶의 양상과 상처, 그리고 그러한 상처의 치유를 통해 그들이 성장하는 과정을 밝혔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김재영의 『코끼리』를 통해 다문화된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들이 매우 열악한 삶의 조건에서 타자적 대상으로서 척박한 삶의 상황에 놓여 있으며, 이것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주인공이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손홍규의 『이슬람 정육점』을 통해서는 대안 가족 구성을 통해 상처받는 존재들이 각자의 상처와 타자의 상처를 인식하면서 다문화적 공간에서 융합하는 양상과 그 과정에서 주인공이 정체성을 새롭게 형성하는 모습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다문화 청소년소설에 형상화된 인물들의 이러한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다문화적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다문화적 존재들이 각자의 삶을 나름...
TAG 다문화, 청소년소설, 이주노동자, 타자적 대상, 성장, 대안 가족, Multi-cultural, youth novel, migrant workers, the other object, growth, alternative family
문화역사 활동이론에 근거한 독서교육전문가 활동 사례
김효숙 ( Hyo Sook Kim ) , 이경화 ( Kyung Hwa L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9권 59~94페이지(총36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최초로 혁신교육지구 초ㆍ중ㆍ고등학교에 파견된 독서교육전문가 가운데 중등 독서교육전문가의 활동을 문화역사 활동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학교 밖 독서교육전문가가 학교 현장에 들어가서 5년 동안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를 밝힘으로서 앞으로 학교 독서교육활성화를 위한 정책과 실질적인 방안 설계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처음에는 학교 독서교육전문가라는 낯선 역할로 많은 어려움과 갈등을 겪었으나, 학습공동체의 운영과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극복해 나갈 수 있었다. 교사와 독서교육전문가와의 협력수업은 다양한 모형의 교과연계 독서수업을 창의적으로 탄생시켰다.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태도와 독서능력이 향상되면서 독서교육전문가로서의 역할 확립과 정체성이 형성될 수 있었다. 학교 독서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 교사의 독서교육역량 강화와 함께 학교 밖 독서교육전문가들의 축...
TAG 독서교육전문가, 학교 독서교육, 학습공동체, 독서교육, 독서지도사, 활동이론, reading specialist, learning community, activity theory, reading instruction
초등학생 짝 독서 과정의 대화 양상 분석
황기웅 ( Ki Woong Hwa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9권 95~122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짝 독서 과정에 나타난 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짝 독서는 두 명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책이나 글을 읽는 방법으로 사회구성주의적 독서 지도 방법에 속한다. 초등학교 6학년 22명을 대상으로 10주간에 걸쳐서 국어과 읽기 시간에 짝 독서를 지도하였다. 그 중에 6쌍의 짝독서 과정의 대화를 4회 녹음하여 전사한 후에 분석하였다. 짝 독서 중의대화 유형은 절차적 대화, 오독 교정 대화, 단어 해결 대화, 의미구성 대화, 질문하기 대화, 회피적 대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짝 독서 시기별 대화양상에서 절차적 대화의 비율은 텍스트의 난이도와 길이에 영향 받음을 알 수 있고, 오독교정 대화의 비율은 낮은 상태를 유지함을 알 수 있었고, 학생들이 짝 독서에 익숙해질수록 의미구성에 몰두하려는 경향과 회피적대화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TAG 짝 독서, 대화 분석, 대화 양상, 초등학교, 읽기, partner reading, dialogue analysis, dialogue aspects, elementary student, reading
인터넷 기사문의 댓글에 대한 내용 분석: 독자들의 비판적 읽기 양상 탐색을 중심으로
오은하 ( Eun Ha Oh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9권 123~158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는 인터넷 신문 기사에 대한 댓글 분석을 통해 독자들의 읽기양상이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성별 갈등을 주제로 하는 인터넷 기사문 3편의 857개 댓글을 추출하여 4가지 범주로 코딩하였다. 댓글 내용을 분석한 결과 1) 단순 반응, 2) 텍스트 기반 댓글 3) 사회적맥락을 고려한 댓글, 4) 인터넷 공간에 대한 인식 댓글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첫째, 사람들이 인터넷 상 비판적, 혹은 무비판적으로 기사문을 읽거나 댓글로 의견을 표출하는 양상을 실증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국어교육의 비판적 읽기의 이론과 실제를 확장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둘째, 인터넷 댓글을 비판적 읽기의 차원에서 검토하였다는 점이다. 기존의 많은 인터넷 기사문 읽기나 댓글 연구가 주로 악성 댓글과 작성자의 책임과 같은 윤리적인...
TAG 인터넷 기사문, 댓글, 비판적 읽기, 피상적 읽기, 인터넷 공간, Internet News Articles, Online Comment, Critical Reading, Superficial Reading, Internet Space
아이트래커를 활용한 중학생의 다문서 읽기 양상 분석
최숙기 ( Sook Ki Cho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9권 159~19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중학생의 다문서 읽기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아이트래커(eyetracker)와 즉시적 사후 인터뷰를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독자의 관점이 반영된 하나의 의미 체계를 구성하는 다문서 읽기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논증적 글쓰기 과제 조건에서 실현되는 다문서 읽기 양상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3명의 중학교 2학년 독자를 대상으로 6편의 자료글을 제시하고 이를 활용하여 논증적 글쓰기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독자들은 논증적 글쓰기와 통합된 다문서 읽기를 수행 시 입장 정당화(opinion justification)를 위해 글을 훑어 읽었다. 둘째, 다문서 읽기 수행 시 낮은 출처 인식과 자료 신뢰성평가에 대한 미숙함을 보였다. 셋째, 선택한 자료 글에 관하여 논증 자료생성을...
TAG 다문서 읽기, 다문서 문식성, 논증적 글쓰기, 자료 통합적 글쓰기, 안구 운동, 중학생 독자, multiple documents comprehension, multiple documents literacy, argumentative writing, writing from sources(reading to writing), eye tracking, middle school students
텍스트 맥락 인식의 표상 방식 고찰: 단락 간 의미관계 인식의 도식화를 중심으로
서종훈 ( Jong Hoon Suh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9~40페이지(총32페이지)
본고는 학습자들이 텍스트 내 맥락을 어떻게 인식하고, 나아가 표상할수 있는지의 문제를 본고는 단락 간 의미관계의 문제로 상정하였다. 텍스트의 내적 흐름을 인식하는 데에는 일정한 표면적 단서가 필요한데, 이러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사고단위가 단락이다. 이는 두 가지 의미관계로 구분될수 있는데, 선형관계와 계층관계가 그것이다. 선형관계는 인접 단락 간 의미관계를 계층관계는 전체 단락 간 의미관계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이는 텍스트 내적 흐름과 관련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두 가지 의미관계, 혹은 인식상의 흐름은 중심화 이론을 적용한 좌표평면과 생성문법에서 활용되는 나무-그림이 활용되어 구체적으로 표상될 수 있었다. 하지만 본고의 이러한 텍스트 내 흐름에 대한 인식과 그것의 도식화 과정은 단락 간 의미관계에 국한되었다. 따라서 텍스트 내 흐름에 대...
TAG 맥락, 텍스트, 선형관계, 계층관계, 나무-그림, context, text, linear relation, hierarchical relation, tree-diagram
중국 자국어교육에서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분석
( Fang Liu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41~64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 의무교육 단계의 학교교육을 중심으로 중국 자국어교육에서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양상을 알아보고 그 특징과 역할을 파악하는 데 있다. 2장과 3장에서는 중국 자국어교육에서 독서교육의 내용체계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중국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각각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조사한 교육과정은 중국교육부가 2011년에 반포한 『의무교육어문과정표준(義務敎育語文課程標準)』(2011년版)이다. 이 교육과정은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전체적 목표와 단계적 목표, 암기작품과 권장도서 목록을 제시하고 있다. 조사 대상으로서의 교과서는 인민교육출판사(人民敎育出版社)에서 출판한 초.중학교 ..어문(語文).. 교과서들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교과서에 수록된 본문들의 주제별 유형과 본문 배치의 특징을 초등학교와 중학교별로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2장과 3장의...
TAG 중국 자국어교육, 독서교육, 어문, 語文, 교육과정, 교과서, 내용체계, 특징, 역할, Chinese mother-tongue education, reading education, Yuwen, curriculum, textbooks, content system, roles, characteristics
독서 평가의 실제성 범주에 대한 연구
길호현 ( Ho Hyun Kil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97~129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독서 평가의 과정에 개입하는 실제성의 개념과 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실제성의 개념은 텍스트 실제성과 맥락 실제성, 과제의 실제성으로 나누었다. 그런데 실제의 대규모 평가에서는 이러한 실제성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고 있다. 바람직한 독서 평가를 위해서는 텍스트의 선택에서부터 학습 과제의 설계 및 평가에 이르기까지 교수.학습의 전 영역에서 실제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동시에 본 연구를 통해 교수ㆍ학습 및 평가 차원에서 무조건적인 실제성을 추구할 필요는 없다는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AG 독서 평가, 실제성, 맥락, 독서 텍스트, 독서 과제, reading assessment, authenticity, context, actual text, actual physical performance challenge
증강 텍스트 읽기 교육의 방향성과 가치
신윤경 ( Yun Kyung Shi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131~158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증강 텍스트 읽기의 교육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 기술의 특징과 이를 기반으로 증강 텍스트의 개념을 재개념화 하였으며 증강 텍스트의 구조를 탐구하였다. 증강 텍스트는 실제 읽기 환경에서 가상의 텍스트에 이미지, 정보를 합성하여 기존의 읽기 환경에서의 현실과 가상세계의 경계를 무너뜨린 증강된 텍스트를 의미한다. 또한 종적(수직적) 의미텍스트 네트워크를 형성 가능하게 하는 확대된 다층적 텍스트로, 읽기 행위와 인식이 융합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차원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증강 텍스트의 구조는 다양한 방향에서 모색 가능하나 본고에서는 ‘무엇을, 어떻게’라는 텍스트 물음을 중심으로 그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 특징으로는 가상과 현실의 융합 텍스트, 최적몰입의 의미 텍스트, 수직적 정보 확장의선택 텍스트로 분석되었다. 증강 텍스트 읽기...
TAG 증강현실 기술, 증강 텍스트, 증강 텍스트 읽기, 융합, 의미, 선택, 읽기 현존감,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ugmented text, augmented text reading, convergence, meaning, selection, reading presence
동화 독서와 젠더 이데올로기: 아동 권장도서목록 속 전래동화 여성인물 표상을 중심으로
우신영 ( Shin Young Woo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159~18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현재 아동들이 전래동화라는 장르를 통해 어떤 여성상을 수용하고 있는지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아동들의 동화 독서를 주도하는 ‘어린이도서연구회’의 최근 4년 권장 전래동화 목록을 분석하였다. 전래동화 권장도서 목록은 아동들의 사회화 기능에 강력하게 개입하고 있는 실체인 까닭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아동 전래동화 권장목록에서 여성이 표상되는 방식을 유형화하고 그러한 표상의 방식이 암시하는 젠더 이데올로기에 의문을 제기한다. 이는 전래동화 읽기(독서)/읽히기(교육)가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지 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아동 전래동화 권장목록의 여성 표상 방식은 크게 세 유형으로 나뉘는데, 첫째, 보상 혹은 ‘남겨진 자’로서의 여성, 둘째, 성녀 대 비체, 셋째, 버려진소녀의 여로가 그것이다. 첫 번째 유형의 여성 표상들은...
TAG 전래동화, 권장도서 목록, 아동문학, 여성 표상, 비체, 상징폭력, 젠더 정치,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 recommended book list, children`s literature, woman representation, abject, symbolic violence, gender politic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