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수능 국어 영역 독서 평가 문항의 양호도 조사 연구
권태현 ( Kwon Taehyun ) , 이정찬 ( Lee Jungchan ) , 김승현 ( Kim Seungh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5권 131~15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수능 독서 영역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수능독서 영역 평가 문항의 양호도를 점검하고, 수능 독서 영역 평가 문항 개발과정에서의 쟁점 등에 관한 전문가의 의견을 분석하여 수능 독서 평가 문항개발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통합형 시험으로 변화한 2017학년도 6월, 9월 모의평가 및 수능의 독서 영역 문항 총 45개였다. 연구 대상에 대한 양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 양호도는 3.81로 나타났으며, 양호도의 하위 요인인 중요도는 4.03, 완성도는 4.06, 난이도는 3.73, 참신성은 3.19, 지속성은 4.04였다. 수능 독서 영역 평가 문항과 관련한 쟁점 중수능-EBS 연계 정책에 대해서는 사교육 경감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과 독서교육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등의 긍정과 부정 의견이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TAG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독서 영역 평가 문항, 독서 교육, 평가 도구의 양호도, CSAT, Reading evaluation items in CSAT, Reading education, test qualities
한국어 교육에서 다독 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백재파 ( Baek Jaepa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5권 77~9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다독 활동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독 활동의 효과를 검증한 11편의 관련 연구에서 26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독 활동의 전체 효과크기는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559) 둘째, 다독 활동은 읽기 속도 향상에 가장 효과적이며(.663) 다음으로 어휘력 향상(.540), 독해력 향상(.485)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분석되었다. 셋째, 학습자 언어권, 숙달도, 학습 목적, 학급 인원수, 다독활동 기간을 조절변인으로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숙달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나타났는데, 숙달도가 낮을수록 다독 활동의 효과크기가 더 컸다(초급: 1.155, 중급: .549, 고급: .269)....
TAG 한국어 교육, 한국어 읽기, 다독, 확장형 읽기, 열린 읽기, 메타분석,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reading, extensive reading, meta-analysis
독서교육 이론의 수용 양상과 독서교육 연구의 발전 방향
이성영 ( Lee Seong-yo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5권 43~76페이지(총34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선진 독서교육 이론의 수용 양상과 독서교육 연구의 발전방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80년대 말 이후 현재까지 독서교육과 관련하여 어떤 것들을 들여왔는지 살펴본 다음, 우리 실정에 맞게 독서교육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연구 방향을 살펴보았다. 초창기 90년대에는 독자와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도입되면서 우리 독서교육학이 정체성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2000년대의 첫 10년동안에는 독서가 일어나는 실제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 주목하는 연구들이 다수 수행되면서 연구의 외연이 크게 팽창되었다. 2010년대에는 새로운 패러다임이나 이론이 보이지 않는 대신 다양성과 전문성을 지향함으로써 이전연구 경향을 넓히고 심화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우리 독서교육학이 더욱 성숙하기 위해서는 들여온 것들을 발전적으로 계승해야 할 뿐 ...
TAG 독서교육, 독자, 텍스트, 맥락, 독서의 본질, reading education, reader, text, context, the intrinsic nature of reading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의 특성 분석 연구 : 히브리어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중심으로
정혜승 ( Chung Hyese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9~35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텍스트 이해와 토론을 강조하는 이스라엘 국어교육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국어과 교육과정 개선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히브리어를 중심으로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스라엘 국어과교육의 목표는 교양 있는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고, 이를 위해 학생이 다양한 목적의 구어적, 문어적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을 계발하고, 문화적, 사회적 텍스트를 학생 자신의 자산으로 만들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하여 이스라엘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은 3개학년군으로 수행 기준을 나누어 각기 2, 4, 6학년말에 학생들이 도달해야 할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은 다양한 상황과 목적의 듣기와 말하기, 다양한 목적과 독자를 위한 쓰기, 언어 규범을 지키고 소통에 적절한 쓰기, 다양한...
TAG 이스라엘 국어과 교육과정, 히브리어 교육과정, 문식성, 언어 사용, 학생의 소통 의도, Israeli national language curriculum, Hebrew curriculum, literacy, language use, students` intention of communication
청소년 읽기 부진 학생들의 읽기 특성 분석 및 읽기 부진의 유형 분류
최숙기 ( Choi Sookk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37~67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 읽기 부진 학생들의 읽기 특성을 탐색하고, 읽기부진의 특성에 따른 유형을 분류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읽기 부진 학습자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해당 학년 수준에 기대되는 읽기 능력에 미치지 못하는 독자를 의미하며 난독증과 같은 읽기 장애의 범주와 낮은 읽기 성취나 읽기 지체와 같은 읽기 저성취 범주를 동시에 포괄한 개념이다. 청소년 시기에 발생하는 읽기 문제는 학업 결손에 의한 성취 격차, 후속적인 삶의 적응 문제를 유발하므로 반드시 해결하여야 할 주요 교육적 문제에 해당하다. 또한 PISA 국제 읽기 성취도 평가와 국어 성취도 평가에서 읽기 기초학력 부진 학습자의 비율 확대는 청소년 읽기 부진에 대한 주의를 더욱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김윤옥 외(2014)의 난독증 선별 체크리스트(Dyslexia Screenin...
TAG 청소년 독자, 읽기 발달, 읽기 부진, 읽기 장애 학습자, 난독증, 군집 분석, adolescents reader, reading development, struggling reader, reader with reading disability, dyslexia, cluster analysis
고등학생의 논증적 텍스트 독해에서 드러나는 편향 양상 연구
김동욱 ( Gim Dongu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69~93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고등학생의 논증적 텍스트 독해에서 드러나는 편향 양상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8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첫째, 논증적 텍스트 독해 전후 주제에 대한 입장 변화 양상, 둘째, 자신의 입장과 동일한 입장과 동일하지 않은 입장에 대한 질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독자의 반응을 유형화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논증적 텍스트의 주제에 대한 독해 전 입장과 동일한 입장의 글에 대해 더 높은 점수를 부여했으며, 이들 간에는 높은 상관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 들은 독해 전 입장과 동일한 입장의 글에 대해 더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독해 전 입장과 제시 글의 독해 전후 평가 점수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해 후 질적 반응 양상은 자신의 입장과 같은 글을 독해할 때와 다른 글...
TAG 편향, 인지 편향, 편향 동화, 논증적 텍스트, 고등학생 독자의 독해, 독해 전후 입장변화, Bias, Cognitive Bias, Biased Assimilation, Argumentative Text, High School, Reader`s Reading Comprehension, Reading Comprehension pre-post position, change
초등교사의 읽기 교육에 대한 인식 : `좋은 독자 교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김정자 ( Kim Jeong-ja ) , 박성석 ( Park Seongseo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95~126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좋은 독자 교사를 일반 교사와 구별하고 읽기 교육에 관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하여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211명의 초등 교사에게 14가지 변인 관련 문항들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좋은 독자 교사를 높은 읽기 태도와 높은 읽기 지도의 강도를 보인 교사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비계층적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읽기 태도와 읽기 지도의 강도가 모두 높은 좋은 독자 교사 군집을 포함하여 네 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좋은 독자 교사 군집은 읽기 시간, 읽기 모델로서의 자기 인식, 권장 독서량, 학부모와의 연계 정도, 교사 양성 교육의 충실한 이수 정도, 전문성 향상프로그램 참여율에서도 일반 교사들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두 집단이 읽기 교육 및 교사 교육에 관하여 보인 인식 차이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교육과...
TAG 좋은 독자 교사, 읽기, 읽기 지도, 독자로서 교사, good reader-teacher, reading, teaching reading, teacher as reader
일제강점기 한글운동과 문맹퇴치(문자보급) 운동 연구
허재영 ( Heo Jaeyo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127~161페이지(총35페이지)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한글운동과 문맹퇴치(문자보급)운동의 성격과 전개 과정 등을 규명함으로써, 한글운동의 본질과 식민시대 문자보급운동이 갖는 의의를 규명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한글`이라는 용어는 1910년 전후 주시경에 의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한글운동`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쓰인 것은 1920년대 중반 이후로 확인되는데, 이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이기까지는 `조선문`, `언문`과 관련한 연구 및 보급 활동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연구 및 보급 활동은 시대별로 차이를 보이는데, 국권 상실기인 1910년대에는 우리글이 `국문`의 지위에서 `조선문`으로 격하되었으며, 정규 교육 차원에서 조선어 교과의 위상도 매우 낮았다. 1920년대 전반기에는 조선문 연구와 정리, 보급 활동이 출현하는데, 이 운동은 문화운동 차원에서 진행된 운동이다. 1925년 이...
TAG 한글운동, 조선문 정리, 한글통일, 문맹퇴치, 한글보급운동, 일제강점기, Hangeul Movement, eradication movement of illiteracy, unification Hangeul, Hangeul diffusion movement, the colonial times
청소년 독자의 읽기 개념에 대한 은유분석
편지윤 ( Pyun Ji-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163~201페이지(총39페이지)
이 연구는 은유분석을 통해 읽기 개념에 대한 청소년 독자들의 인식 양상을 확인하고 국어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청소년 독자 571명의 읽기 개념에 대한 은유적 표현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판`과 `숨쉬기`, `TV 시청`, `훈련`, `등산`, `게임`, `여행`, `퍼즐 맞추기`, `식사`, `자유로운 대화`, 총 10개의 개념적 은유가 도출되었다. 다만, 분석 과정에서 각 개념적 은유가 읽기의 특정 국면을 초점화하여 지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각 개념적 은유가 지시하는 읽기의 의미 영역을 분석하여 `읽기효용`, `읽기 경험`, 그리고 `읽기 과정`의 범주를 도출하였다. 은유분석 결과를 통해 청소년 독자들이 읽기를 구체적인 활동 차원에서 인식하고, 그 효용과 필요성을 긍정적으로 가치화하며...
TAG 읽기 개념, 개념 인식, 청소년 독자, 은유분석, 독자 연구, 국어 교육, 읽기(독서) 교육, Concept of Reading, Concept Recognition, Adolescent Reader, Metaphor Analysis, Reader Study, Korean Education, Reading Education
논증 교육을 위한 합리성 개념 고찰
유상희 ( Ryu Sangh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4권 203~238페이지(총36페이지)
논증이 합리성을 바탕으로 세워지고 합리성을 추구한다는 점에서, 합리성을 어떻게 개념화하는가는 논증 교육의 목표 및 내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부분이다. 이 연구는 논증에서 합리성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논증 교육적 함의점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맥락에 독립적으로 의미를 갖는 합리적 요소에 집중하는 맥락-독립적 합리성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고, 맥락을 초월하여 의미를 갖는다고 여겨지는 논증의 요소 및 구조에 대한 분석적 접근은 중요하지만, 논증 교육이 심화됨에 따라 이러한 요소와 구조도 절대적인 진리가 아닌 비판적 고찰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다음으로 맥락에 기반하여 구성되는 합리적 요소에 집중하는 맥락-기반 합리성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특별히 맥락-기반 탐구적 합리성을 중심...
TAG 논증, 논증 교육, 합리성, 맥락, argumentation, rationality, context, conceptualizatio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