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실천적 독서 평가 강의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김종윤 ( Jong Yun Ki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189~224페이지(총36페이지)
기존 독서 평가 강의는 독서 교육 분야에서 ‘내용’을 배우고, 교육평가 ‘방법’의 이론적 습득을 통해 독서 평가를 배우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평가 방식에 대한 대안적 방식으로, 실제로 예비 교사가 학생을 선정한후, 다양한 방식으로 독서 발달 상황을 진단.평가하고 그 결과를 기술, 분석,해석, 종합하여 학생들을 평가할 수 있는 실천적 독서 평가 강의의 가능성을 탐색해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는 연구자가 강사로 참여하는 실행연구로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는 2015년도 1학기 수도권 사립 대학교에서 독서 교육 평가 강의를 수강한 9명의 대학원생들이었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독서 평가 프로그램의 인프라가 부족한 것이 독서평가를 진행하는 가장 큰 장애 요인으로 드러났다. 즉, 교사들이 이용할수 있는 실천적 연구 성과, 독서 평가 ...
TAG 국어교육 평가, 독서 평가, 대안적 평가, 대학 강의, 예비 교사,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ading assessment, alternative assessment, university education, pre-service teacher
문제 해결 상황에서 독자의 눈동자 움직임 및 뇌파 특성 분석: 독해력 수준에 따른 독자의 과제집착력(task commitment) 양상을 중심으로
서혁 ( Hyuk Suh ) , 김지희 ( Ji Hee Kim ) , 편지윤 ( Ji Yun Pyeon ) , 신윤하 ( Yun Ha Shi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225~25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문제 해결’이라는 고부담 읽기 상황에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독자의 눈동자 움직임 및 뇌파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독해력과 문제해결력을 읽기 기능 및 전략 등의 인지적 차원으로 한정해논의한 것에서 나아가 독자의 읽기 행동을 살필 수 있는 새로운 접근 통로로 정의적 속성이 강한 과제집착력을 제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독해력 수준에 따라 독자의 과제집착력이 유의미한 차이를 살펴보는 것으로 설정하고, 선택적 주의집중 양상과 지속적 주의집중의 양상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독해력 수준에 따른 두 집단으로 하였고, 복잡성이 높은 정보적 텍스트를 대학생 수준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독해력 수준에 따라 과제(문제) 해결을 위해 주의를 기울이는 부분에 차이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독해력 수준이 ...
TAG 과제집착력, 시선추적, 아이트래커, 뇌파, 주의집중, Reading, Task Commitment, Eye-tracking, EEG, attention
호흡과 감응: 읽기에 관한 신체론적 이해
최지현 ( Ji Hyun Cho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255~276페이지(총22페이지)
이 논의의 목적은 읽기 행위가 갖는 본래적 의미를 되살리기 위한 일환으로 읽기의 신체성 개념을 검토하려는 데 있다. 읽기 행위란, 의미를 구성하는 기호적 실천으로서, 그 행위가 행위 주체로서 독자의 실재성을 드러내며, 행위로서 읽기의 실천성을 포착하고, 행위의 지향처로서 필자의 현전성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따라서 이를 위해 필요한 개념적 요구를 충족해야한다. 곧, 읽기 행위는 물리적이며, 주도적이고, 감각적인 과정으로 규정되어야 한다. 논의의 배경에는 근본적으로는 읽기의 소통 불가능성이라는 문제상황이 자리 잡고 있다. 언어에 대한 객관주의적 설명이 야기한 이 문제상황은 이후 구성주의와 의사소통이론에 의해 해소되는 듯 보였지만, 독서교육의 장에서이 입장들이 읽기 과정에 대한 합리주의적 설명을 시도하면서 다시금 근본문제에 부닥치게 되었다. 의미 구성 과...
TAG 읽기, 호흡, 신체성, 소통 불가능성, 공명, 감응, Reading, respiration, corporality, incommunicability, resonance, inspiration
핀란드 국어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징 분석
정혜승 ( Hye Seung Chung ) , 서수현 ( Soo Hyun Seo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38권 65~96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핀란드 국어 교육과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어 교육과 국어 교과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에 있다. 핀란드 모국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핀란드의 국어교육은 실용주의적 관점을 토대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텍스트를 접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핀란드의 대표적인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Kirjakuja』는 주제 중심으로 구성되어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과정 속에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통합적으로 학습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지식과 기능 학습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 밖에서 학생들이 즐겨읽는 텍스트를 교실 안으로 들여와 학교 안과 밖을 연결하는 실제적인 문식활동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제공하고, 온오프라인을 연계한 ...
TAG 핀란드 국어교육, 핀란드 교과서, 교과서 체제, 교과서 분석, 단원 구성 방식, 언어 교육, Finnish language art education, Finnish language art textbook, textbook system, textbook analysis, unit composing system, Language Arts Education
매체 언어 교육의 한계와 변화 방향성
김대희 ( Dae Hee Ki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5] 제37권 67~84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매체 언어 교육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토대로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매체 언어 교육이 지니는 한계와 문제점을 진단한 후,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변화를 위한 실마리를 찾는 데 있다. 현행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매체 언어 교육의 한계를 몇 가지 지적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내용으로 다루는 정보라는 것이 ‘화법, 독서, 작문’이라는 틀 안에 갇혀 매체언어적으로 가치가 있는 정보가 사장되고 있다. 둘째, 교육 내용으로 선택된 매체 정보가 나선형 교육과정이라는 미명 하에 진부함을 추구하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매체의 장르가 너무 제한적 이어서 교육적 가치가 있는 다수의 매체 정보가 간과되고 있다. 넷째, 교육내용에 있어서 학생들의 삶과 관련하여 실제성이 떨어진다. 매체 언어 교육의 외연을 확장하고 스펙트럼의 변화를 추동할 수 있는...
TAG 매체언어교육, 자동화된 루틴, 매체언어 교육의 한계, 매체언어 교육의 방향성, media literacy education, automated routine, limit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direc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
예비 국어 교사의 읽기 영역 평가 문항 개발 양상 분석: 예측하며 읽기 성취기준의 지필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박준용 ( Jun Yong Park ) , 백혜선 ( Hye Sun Pai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5] 제37권 85~121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국어과 예비 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예측하며 읽기’ 단원에 대한 평가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으며, 개발된 선다형 문항과 서답형 문항의 양상과 유형을 분석하여 보았다. 문항의 ‘양상’은 문항 제작 원리라는 관점에서 발문 작성, 선택지 구성 등의 세부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문항의 ‘유형’은 각 문항이 무엇을 어떻게 묻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타당한 평가 문항이라 한다면 학습 내용에 대한 출제자의 정확한 이해가 문항을 통해서 충실히 드러나야 한다는 관점을 반영한 것이다. 먼저, 예비 교사가 개발한 문항을 문항 제작 원리에 비추어 그 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문항 구성 요소 활용의 문제, 제시문의 문제, 선택지의 문제, 서답형 문항 지시어의 문제 등이 나타났고, 예비 교사가 개발한 문항의 유형을 살...
TAG 평가 전문성, 문항 개발, 예비 교사, 읽기 평가, 예측하며 읽기, teacher`s assessment competency, items development, pre-service teacher, reading assessment, predict reading
개화기 독본의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에 관한 연구
박치범 ( Chi Beom Par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5] 제37권 123~159페이지(총37페이지)
이 글은 개화기 독본에 수록된 한글 깨치기 관련 학습 자료를 분석하여 이들의 특징을 밝힐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개화기에 발간된 국어 과 교재 중 한글 깨치기 학습 자료가 수록된 『심상소학』, 『초등소학』, 『국어독본』, 『초등소학』, 『신찬초등소학』 등 5종의 교재를 대상으로 ‘한글 깨치기지도법에 따른 특징’과 ‘반절표 제시 양상에 따른 특징’, ‘한자 사용 여부에 따른 특징’ 등의 세 가지 기준에 따라 이들 교재에 수록된 한글 깨치기 학습자료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한글 깨치기 지도법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면, 『심상소학』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들은 발음 중심 지도 자료와 의미 중심 지도 자료를 병용한 ‘절충적지도 자료’를 수록하였다. 이 중 의미 중심 지도 자료가 다소 우세하게 나타난『초등소학』을 제외한 나머지 교재들은 두 가지 지도 자료가 거의...
TAG 한글 깨치기 학습, 개화기, 국어 독본, 한글 깨치기 지도법, 반절표, 한자, 발음 중심 지도 자료, 의미 중심 지도 자료, Hangul learning materials,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anguage textbook, “Banjul-pyo”, phonics instruction material, meaning approach material
초등학생의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
류보라 ( Bo Ra Ryu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5] 제37권 161~184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갖고 있는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이 독서의 목표와 독서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알아보기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초등학생들의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들의 좋은 독자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생들의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과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의 세 가지이다. 연구 방법은 좋은 독자에 대한 인식을 그림, 글, 단어로 표현하도록 하였고, 좋은 독자 인식에 영향을 준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 조사를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학생은 서울소재 3개 학교의 3학년 학생 65명과 6학년 학생 72명으로 남학생 67명, 여학생 70명이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들은 좋은 독자는 책상 앞에 의자를 놓고 바른 자세로 앉아서 책...
TAG 좋은 독자 인식,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 읽기 태도, 읽기 정체성, perception of good reader, reader self-perception, reading attitude, reading identity
디지털 독자의 자기 인식에 관한 연구: 인터넷은 나의 사고방식을 어떻게 바꾸었는가?
김지연 ( Ji Youn Ki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5] 제37권 185~207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존 브룩만이 기획한 엣지 프로젝트에서 착안하여 기획되었다. 2011년 올해의 질문(Annual Question)은 “인터넷이 당신의 사고방식을 어떻게 바꾸었는가?(Is the internet changing the way you think?)”였으며, 세계석학 150명이 이에 대답하였다. 이 연구는 대상을 달리하여, 디지털 원주민인 20대 대학생 독자 100여명에게 동일한 질문을 던졌으며, 이에 대한 글을 수합하여 분석 자료로 삼았다. 이 연구는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Nvivo10으로 정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이 자주 언급하는 내용들을 주요 화두로 삼아 추출한 결과, 이들이 인터넷을 자연스럽고 익숙한 “환경”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현재 “모바일” 등의 스마트 기기의...
TAG 디지털 원주민,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독자, 인터넷, digital natives, digital literacy, digital reader, internet
설명문 읽기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특성 분석
이지원 ( Ji Won Lee ) , 박영민 ( Young Min Par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5] 제37권 9~36페이지(총28페이지)
설명문 읽기 과제를 수행할 때 나타나는 뇌파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설명문읽기 과제 수행에서 나타나는 뇌파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설명문 읽기 과제에 따른 뇌파의 차이는 무엇인가? 셋째, 뇌파의 특성 분석을 통해 얻을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무엇인가? 연구를 위하여 10명의 능숙한 대학생 독자를 대상으로 설명문의 주제 유형별로 나타나는 읽기 특성을 뇌파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세타파 상대파워의 우측 전두엽 부위 과제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며, 중심내용 추론 과제가 문항 해결 활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알파파 상대파워에서 좌측, 우측 전두엽 부위의 과제 간 차이가 나타났으며, 문항 해결활동에 비해 두 개의 읽기 과제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베타파 상대파워는 좌...
TAG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읽기 과제, 읽기 문항, 읽기 인지, 유목적적 읽기, 적극적 읽기, reading comprehension, main idea, reading task, cognitive activity, literal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brain wav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