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 AND 간행물명 : 독서연구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독서 연구 방법의 변화 경향성 탐색 : 『독서연구』와 『RRQ』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종윤 ( Kim Jong-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2권 29~5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간의 독서 연구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현재의 모습과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6년에서 2015년 사이에 발행된 국내 『독서연구』에 수록된 연구 방법을 분석하는 한편, 이 학술지에 대응하는 국외의 독서 연구 학술지인 『Reading Research Quarterly(RRQ)』에 사용된 독서 연구 방법의 경향성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독서연구』의 경우 개념·문헌 연구이 비중이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개념·문헌 연구는 전체의 79.4%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경험 연구는 20.6%를 차지하였다. 이에 비해 『RRQ』에서 개념 연구는 16.8% 정도로 그 비중이 낮고, 경험 연구는 83.2%로 연구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TAG 독서 연구, 연구 방법, 개념 · 문헌 연구, 경험 연구, reading research, research methods, conceptual study, empirical study
근현대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의 국어교육사적 의의
김경남 ( Kim Kyungna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2권 61~86페이지(총26페이지)
독본(讀本)은 `본`, 곧 `모범`이 될 만한 글을 읽기 목적으로 모아놓은 책을 말한다. 근대식 학제 도입을 시작으로 독본은 교과용 도서의 하나로 편찬되기 시작했다. 근대 계몽기 독본이라는 명칭은 국어나 일본어 또는 한문과 같이 언어 교과의 교과서명으로 사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특정 독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독본이 등장했다. 이 논문은 근대 계몽기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저술된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의 내용과 기능을 국어 교육사적 관점에서 살피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출발했다.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은 `소년`, `아동`, `아이들`, `어린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는데, 이러한 명칭은 엄밀한 의미 구분이 없이 사용되었으며, 소년(어린이, 아동) 독본은 대부분 소학(초등학교) 수준의 필수 교양과 정서를 내용으로 하였다. 소년 독본이 처음 등장한 것...
TAG 독본, 소년, 국어 교육, 필수 교양, 정서, Dokbon(讀本, reading books), Sonyeon(young people), Korean education, essential knowledge, emotion
운율 교육에서 현대시 읽기 방법의 모색
이상아 ( Lee Sang-ah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2권 87~106페이지(총20페이지)
본고의 목표는 현대시의 운율을 시 교육에서 활용하기 위한 읽기 방법을 모색하는 데 있다. 운율은 개념 자체가 지닌 혼란에 더불어 국내로 수용되면서 서구의 언어 및 시사(詩史)와의 차이로 인해 명확한 합의가 어려운 용어가 되었다. 본고는 운율 교육의 목표가 지식을 `아는 것`이라기보다 이를 활용하여 시를 읽고 해석할 수 있는 능력 함양에 있다는 데 주목하였다. 따라서 운율을 느끼기 위해 학습자의 시 읽기는 음독 상황을 뜻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러한 음독의 과정에서 시의 전체적 의미와 운율 간의 관계를 찾을 수 있어야 한다는 조건 아래 연구를 진행하였다. 길이와 형태 측면에서 자유로운 확대를 꾀한 현대시 텍스트를 음독하며 학습자들은 의도된 호흡의 패턴을 느낌으로써 시의 의미를 추론해 나갈 수 있다. 이러한 경험은 이후 시의 다양한 운율에 대한 주체적 발...
TAG 리듬, 운율, 시 읽기, 시 교육, 음독, 낭송, 휴지, 호흡, Rhythm, Poetry reading education, Reading aloud, Recitation, Pause, Respiration
잠재적 의미 분석(LSA)을 활용한 독해 과정에서 추론 양상 분석
이경남 ( Lee Gyeongna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2권 107~131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독해 과정에서 추론의 개념과 유형을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과학적으로 추론을 측정할 수 있는 잠재적 의미 분석(latent semantic analysis)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독해 과정에서 추론은 텍스트의 내적 응집성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독자의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독자의 심상 모형을 구성하는 사고 과정이다. 추론을 측정할 수 있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잠재적 의미 분석은 의미 단어의 합을 하나의 의미 차원으로 만들어 코사인 유사도(cosine similarity) 값을 도출하는 방법이다. 잠재적 의미 분석을 활용하여 추론 과제를 통해 회상한 텍스트를 분석한 코사인 유사도를 분석한 결과 우수한 학생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활용하여 과제 텍스트를 잘 회상하였고, 능숙하지 않은 학생은 텍스...
TAG 추론 생성, 추론적 읽기, 잠재적 의미 분석(LSA), 말뭉치, inference generation, inferential reading, latent semantic analysis, corpus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인터넷 포털 뉴스의 담화구조 분석: `구의역 사건`을 중심으로
김윤경 ( Kim Yunkyoung ) , 백목원 ( Baik Mokwon ) , 권순희 ( Kwon Soonh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2권 133~171페이지(총39페이지)
이 연구는 인터넷 포털 뉴스의 제목, 기사, 댓글, 대댓글에 대한 분석을 통해 미디어 주체 간의 소통 양상 및 담화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구의역 사건`을 키워드로 하는 네이버 뉴스(2016. 5.28.~6.6.)의 제목 667건, 최다 댓글 제목의 기사문 10편, 각 기사문의 댓글 중 상위 추천 댓글 300편, 그리고 최다 공감 댓글의 대댓글 189편을 추출하였다. 제목과 댓글은 IOEA(정보, 의견, 정서, 행동), 기사는 V2P(목소리, 권력-입장), 대댓글은 2P(권력-입장)의 분석틀로 코딩하였다. 분석 결과, 제목은 정보에서 정서로, 기사는 [약자-비판]에서 [강자-비판] 및 [약자-옹호]로 변화하였다. 반면 댓글은 의견에서 행동으로 변하였고, 대댓글은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강자-비판]으로 그 양...
TAG 실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미디어 담화구조, 미디어 주체, 소통구조 문식성, Acting Media Literacy(AML) education, Media discourse structure, Media agent, Literacy of communication structure
책 읽어주기 과정에서 나타나는 아동의 서사 수용 양상
남지현 ( Nam Jihyu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7] 제42권 173~211페이지(총39페이지)
이 연구는 책 읽어주기 과정에서 아동이 서사 텍스트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며 어떤 전략을 사용하여 수용하는가를 통해 아동의 서사능력을 구체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두 학급의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단편 동화 「나를 데리러 온 고양이 부부」의 책 읽어주기와 간단한 문학토의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기술하였다. 수업 결과 두 학급의 아동은 판타지 장르의 초현실적 설정에 대한 의구심을 나타내고 서사의 갑작스러운 결말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고 뒷이야기를 이어쓰려는 강한 동기를 나타냈다. 아동은 판타지 장르의 설정을 논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서사의 빈틈을 채우거나 시공간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이를 동화라는 장르 규범의 하나로 이해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졌다. 서사의 갑작스러운 결말은 아동이 추구하는 결말과의 불균형을 야기했고 그로 인해 이어질 내...
TAG 책 읽어주기, 문학능력, 서사능력, 서사 수용, 판타지, 결말, reading aloud, literary competence, narrative competence, narrative acceptance, fantasy, ending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한 신문 매체 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 연구※ : 한자 난도와 세대에 따른 양상을 중심으로
류수경 ( Ryu Su-kyeong ) , 서혁 ( Suh Hyuk ) , 김정우 ( Kim Jung-woo ) , 김은성 ( Kim Eun-sung ) , 정소연 ( Chung So-yeon ) , 권순희 ( Kwon Soon-h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41권 49~71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청소년부터 중노년에 이르는 일반 독자를 대상으로 신문 매체텍스트의 한자어 이해 양상을 시선추적장치를 활용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대체로 일반 독자들은 한자어 난도가 높을수록 한자어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중노년층이 다른 세대에 비해 한자어의 뜻을 이해하는 정도가 낮았고 청장년이 한자어 이해도가 가장 높았다. 청소년의 경우 한자어의 난도가 높아질수록 한자어 이해도가 큰 폭으로 줄었다. 다음으로, 대체로 한자어의 난도가 높을수록 시선의 고정 빈도가 높고 고정 시간이 길었다. 이를 세대별로 살펴보면 대체로 중노년층의 시선의 고정 빈도가 높고 고정 시간이 길었으며, 청소년의 경우 난도에 따른 고정 빈도와 고정시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이를 바탕으로 신문 매체 텍스트를 중심으로 세대별 어휘 교육과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
TAG 신문 매체, 한자어, 세대, 시선추적장치, 어휘 난도, 주시 시간, 고정 횟수, 재방문 횟수, Newspapers, Sino-Korean words, eye-tracker, difficulty level of vocabulary, generation, dwell time, fixation count, revisit count
글의 수준을 평가하는 국어 이독성 공식
조용구 ( Jo Yong-gu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41권 73~92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글의 수준을 평가하는 국어 이독성 공식을 산출하는데 있다. 기존의 국어 이독성 공식은 주로 어휘 목록을 사용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도 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였다. 어휘 목록에 기초한 공식들을 살펴본 후에, 이를 개선하는 공식을 산출하기 위해 어휘 목록을 검토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식을 산출한 과정을 기술하였다. 공식은 1) 준거 지문의 선정, 2) 언어적 변수의 확인, 3) 상관분석, 4) 회귀분석의 과정에 따라 산출되었다. 산출된 공식은 다음과 같다. (학년 수준)=4.874+(0.591×평균 문장길이)-(9.201×쉬운 단어 비율3) 위의 공식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 프로그램(EasyWord 1.0)으로 구현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글의 수준을 평가할 때, 어휘 목록과 대조하여 쉬운 단어의 수를 세고 문장의 길이를 ...
TAG 국어 이독성 공식, 어휘 목록, 준거 지문, 회귀분석, 이독성 프로그램, Korean Lanugage Readability Formula, word list, criterion passages, readability, formula program
인성교육을 위한 `자기이해와 수용`의 문학 독서 : 박경리 소설 『토지』를 중심으로
최인자 ( Choi In-ja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41권 93~118페이지(총26페이지)
이 논문은 `자기 이해와 수용`을 지향하는 문학 독서 중심의 인성교육의 중요성에 주목하며, 박경리의 『토지』를 중심으로 그 가능성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논의한 `자기 이해와 수용`은, 의식에 국한된 자아를 넘어서 의식과 무의식의 전체 인격의 통합성을 추구하는 개념이다. 기존 인성교육이 주로 배려, 공감 등의 대인관계와 관련된 범주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자기 이해와 수용`을 통해 통합적이고 온전한 자아로의 발달과 같은 자아 성숙에 중심을 둘 필요가 있다. 문학 독서는 문학이라는 허구적 공간을 통해 자신의 열등한 그림자를 안전한 환경에서 수용하고 통합된 자아로서의 자기됨을 모색할 수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토지』에 나타난 자기 이해와 수용의 양상을 분석하고, 나아가 학습 독자의 『토지』 수용 경험을 살폈다. 그 결과 『토지』는 자신이 ...
TAG 자기 이해, 자기 수용, 문학 독서, 내적 인격, 외적 인격, 온전한 인간, 인성교육, self-understanding, self acception, whole man, inner personality, outer, personality, humanist education, literary reading
소셜 미디어의 신뢰성에 대한 국어교육적 고찰
김지연 ( Kim Ji-youn ) , 손예희 ( Son Ye-hu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16] 제41권 119~147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소셜 미디어의 소통 상황에서 신뢰성이 어떻게 확보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 이것이 국어교육에 어떠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지를 탐색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 발표된 교육과정 내용을 검토하고 교과서 단원과 활동들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아직 소셜 미디어의 특성을 고려한 매체의 신뢰성 확보 전략에 대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전통적 소통 상황에서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과 소셜 미디어 소통 상황에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비교하여 그 둘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 둘은 대립 관계나 상호 부정이 아닌 추가, 발전의 관계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앞으로 소셜 미디어를 교육 내용으로 할 때 어떤 점을 고려해야 할지에 대해 다각도의 측면에서 살펴보...
TAG 소셜 미디어, 신뢰성, 미디어 리터러시, social media, credibility, media literac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