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교육학회12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 초등학교에서 개발한 ‘학교교과목’의 의미 탐색
이윤미 ( Lee Yun-mi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27~48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교과목’을 통해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활성화를 시도하고 있는 A초등학교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 학교에서 개발한 학교교과목 사례를 제시하고,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2019에서 2020년까지 A초등학교가 생산한 학교교과목 관련 문서를 분석하고 교사들을 인터뷰하였다. 그 결과, A초등학교에서 2019학년도에 실행한 5개의 학교교과목, 2020학년도에 실행 중인 4개의 학교교과목 사례를 제시하였고, A초등학교 교사들이 학교교과목을 통해 그동안 개발해온 교사교육과정을 체계화하고 있고, 자체적으로 (학교)성취기준을 만들어 교육과정을 개발함으로써 교육과정의 실질적인 지역화, 학교화를 실현하고 있음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밝힌 학교교과목이 갖는 의미는 첫째, 학교교과목이 교사들이 만든 교육과정을 공식적 교육과정으로 형상화하고...
TAG 학교교과목, 학교교육과정, 교육과정 혁신, 교사교육과정, school subject, school-focused curriculum, curriculum Innovation, teacher curriculum
초등학교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구종서 ( Goo Jong Seo ) , 신상명 ( Shin Sang My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49~7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아직까지 연구가 부족한 잡 크래프팅과 관련하여 교사의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대구교육청과 경북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동기부여, 잡 크래프팅, 혁신행동 간의 경로계수와 직접효과·간접효과·총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동기부여와 잡 크래프팅은 혁신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정적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기부여는 잡 크래프팅을 매개로 하여 혁신행동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정적 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자면 학교 관리자는 잡 크래프팅이 제한되지 않도록 구성원들의 동기부여를 직무욕구, 자아 욕구, 관계 욕구 측면에서 증진시켜줄 방안을 찾고 직무를 디자인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한다. 또한 동기부여와 혁신행동...
TAG 잡 크래프팅, 동기부여, 혁신행동, Job crafting, Motivating, Innovative behavior
초등학교 고학년의 유튜브 이용동기가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을 매개하여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손동욱 ( Son Dong Wuk ) , 임선아 ( Lim Sun Ah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79~10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유튜브 이용동기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변인간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학교 5,6학년 1,239명의 남·녀 학생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SEM)과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이용동기의 유형은 스마트미디어 과의존과 학교생활적응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유튜브 이용동기의 관계추구, 재미추구 동기는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에 정적 영향을 주지만 정보추구 동기는 스마트미디어 과의존을 낮추고,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튜브 이용동기와 스마트미디어 과의존, 학교생활적응 변인들 간의 경로와 경로값이 성별에 따라...
TAG 유튜브 이용동기, 스마트미디어 과의존, 학교생활적응, YouTube Usage Motivation, Smart Media Overdependence, School Life Adaptation
초등체육에서의 무도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 -교육비평과 SWOT분석을 중심으로-
장병권 ( Chang Byung-kweon ) , 박세원 ( Park Se-won ) , 김영식 ( Kim Young-sik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101~121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체육에서의 무도교육 활성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교육비평과 SWOT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연구참여자는 무도 수업을 경험한 초등교사 6명(남:3, 여:3)과 전문가 4명이다. 자료는 문헌고찰, 개방형설문, 집단면담, 전문가협의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반복적 비교분석법과 SWOT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무도교육의 강점은 우리나라 전통무예가 제시되었다는 점과 신체활동가치중심 교육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도교육의 약점은 한정적 종목(씨름, 태권도)과 교사 전문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도교육의 기회는 풍부한 외부 지원과 관심으로 나타났다. 넷째, 무도교육의 위협은 사교육 중심의 교육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른 초등체육에서의 무도교육 활성화 방안으로는 첫째, 풍부한 외부 지원과 ...
TAG 무도교육, 교육비평, SWOT분석, 초등체육, Martial Arts Education, Educational Criticism, SWOT Analysis,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 요인 탐색
유성열 ( You Sungyeol ) , 정광순 ( Jeong Kwangs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123~143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Q 방법론을 활용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 요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 해석 및 교육과정 문해력 관련 연구 문헌 48편을 수집한 뒤 Q 방법론으로 분석하여 총 6개 요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의 교육과정 해석 요인으로 학생을 고려하여 경험을 선정하는 활동(요인 1), 교과를 고려하여 가르칠 내용을 정하는 활동(요인 2), 환경이나 학생을 고려하여 목표를 정하는 활동(요인 3), 교사나 학생을 고려하여 목표를 정하는 활동(요인 4), 학생을 고려하여 목표와 내용을 정하는 활동(요인 5, 6)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가 교육과정을 해석한다는 것은 첫째, 학생을 고려하여 ‘경험’을 정하는 일, 둘째, 교과를 고려하여 ‘내용’을 정하는 일, 셋째, 교사, 학생, 교과 등을 고려하여 ‘목표...
TAG 교육과정 해석, 교육과정 분석, 교사교육과정, Q 방법론, curriculum interpretation, curriculum expertise, teacher curriculum, Q methodology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생의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을 중심으로
박수진 ( Park Soo Jin ) , 박창열 ( Park Chang Yeol ) , 이동훈 ( Lee Dong Hu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145~170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특성을 살펴보고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이 비선호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P광역시에 소재한 2개 초등학교 4~6학년 8개 학급을 대상으로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과 비선호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먼저 사회연결망분석 프로그램인 Netminer 4.0을 활용하여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분석을 하였고, 주도적/반응적 관계적 공격성과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중앙성 지표 간의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의 밀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고 대체로 1개 하위집단의 남녀혼성 집단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핵심 중심자에 집중화된 경향이 보이며 주로 핵심 중심자와 매...
TAG 초등학생, 주도적, 반응적 관계적 공격성, 학급비선호또래연결망, 사회연결망분석,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oactive, reactive relational aggression, non-preferred peer networks, social network analysis
초등학생용 학업적 열정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솔비 ( Kim Sol Bi ) , 임효진 ( Lim Hyo Ji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171~20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적 열정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열정 이론에서의 개념과 정의를 참고하여 학업적 열정의 강도에 해당 하는 중요함, 좋아함, 시간/에너지 투자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열정 이원론에 의거하여 강박열정, 조화열정 요인을 포함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초등학생 4, 5, 6학년 221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열정의 5요인 구조를 잠재적으로 확인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5요인 모형과 부분 2차 모형을 비교하여 부분 2차 모형을 최종 모형으로 확정하였다. 모형의 수렴타당도와 변별타당도를 활용하여 준거타당도를 확인한 결과 개발된 열정 척도와 기본심리욕구, 안녕감, 학업 변인, 그릿 등과의 상관이 선행 연구에서와 대체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작위 추출한 두 교차집단의 적합도 지수들은...
TAG 초등학생, 학업적 열정, 열정 척도, 조화열정, 강박열정, academic passion sc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rmonious passion, obsessive passion, passion scale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 학교행복감 향상 방안에 대한 Q방법론적 분석
최정임 ( Choi Jeong-im ) , 류아영 ( Lyu A-young ) , 유순화 ( Yoo Soon-hwa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201~22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사의 학교행복감 향상 방안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교사의 행복감과 관련된 양적 선행연구들은, 연구자가 제한적으로 제시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연구참여자인 교사들의 관점, 견해, 의견 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연구자의 관점이 아닌 교사의 관점에서 그들의 요구, 견해, 경험 등을 수용하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선행연구자들의 제언에 따라 본 연구는 참여자의 주관성을 연구하기에 용이한 Q방법론을 통해 초등교사의 학교행복감 향상 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먼저,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주관식 설문과 문헌연구를 통해 180개의 Q모집단을 구성한 후, 그 중에서 대표성을 가진 34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이 진술문을 초등교사 48명...
TAG 초등교사, 학교행복감, Q방법론적 분석,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hool happiness, Q-methodology
교사와 교육과정 이론과의 관계 탐구
김세영 ( Kim Se-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229~25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인 교사가 교육과정 이론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그 과정을 탐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 교사가 교육과정 이론을 탐구하고 그것을 어떻게 실제 현장에 적용하며, 그 과정에서 교육과정 이론을 어떻게 변이하여 내면화하는지 탐구했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과정 이론과의 상호작용에서 다음과 같은 과정을 보였다: (1) 다면체로서의 교육과정 인식, (2) 이론의 사용, (3) 실제의 보완, (4) 실제적 이론 형성, (5) 실제적 이론 해석. 이 과정에서 교사는 교육과정 사용자 및 변용자의 면모를 보이며 절충적 기예를 발휘했으며, 자신만의 실제적 이론을 생성해냈다. 즉, 교사와 교육과정 이론과의 관계는 이론을 실제에 적용하는‘이론→사례’가 아닌 ‘이론→(실제적)이론’의 관계가 될 수 있으며, 이 때 교사가 생성한 실제적 이론은 교...
TAG 교육과정 이론, 실제적 이론, Schwab, curriculum theory, the Practical
학교의 정서적 환경과 초등학생의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다중요인: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집행기능 곤란
최지수 ( Choi Jisu ) , 박유미 ( Park You-me ) ,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0] 제33권 제3호, 259~282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학교의 정서적 환경과 학업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연구(PSKC)의 10차년도(2017) 조사에 참여한 600쌍의 교사와 초등 3학년생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학교의 정서적 환경이 학업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해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와 집행기능 곤란을 매개변인으로 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직접효과와 병렬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정서적 환경은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 학업수행능력과 정적 상관을, 집행기능 곤란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학업수행능력은 교사 및 또래와의 관계와 정적 상관이, 집행기능 곤란과 부적 상관이 있었다. ...
TAG 학교의 정서적 환경, 학업수행능력, 교사 및 또래 관계, 집행기능 곤란, affective school environment, academic abilities, teacher-child relationship, peer relationship, executive function difficul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