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구결학회 AND 간행물명 : 구결연구42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18세기 초 가명(假名) 전사 자료에 반영된 한자음 운모(韻母)의 음성적 특징
허인영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195~233페이지(총39페이지)
18세기 초의 가나 전사 자료인 『全一道人』과 『朝鮮語譯』에 반영된 한자음의 韻母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음성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ㅕ/는 전체적으로 前舌的으로 실현되었으나, 韻尾에 따라 다른 속도로 後舌化되고 있었다. 한편, /ㅕ/와 /ㅖ/의 전사에서 나타나는 /-j/의 첨가와 탈락은 핵모음의 前舌性에 기인한 음성적인 현상이다. 둘째, 梗攝 2等字의 /ㆎ/가 -a-로 전사되는 것은 핵모음과 硬口蓋 韻尾 사이의 반모음 /-j/가 탈락했기 때문일 수 있다. 일부 梗攝字에서 韻尾가 -ŋi로 전사되는 것은 韻尾의 口蓋性과 관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ㆍ/의 비음운화는 齒音字가 많은 止攝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반면, /ㆎ/의 비음운화는 전반적으로 /ㆍ/보다 빠르다. 이는 宋敏(1986)에서 제시한 확산 과정을 뒷받침...
TAG 『全一道人』, 『朝鮮語譯』, 한자음, 운모, 가나 전사 자료, 근대 한국어, 漢字音, 韻母, 反名轉寫資料, 近代韓國語
동대사도서관(東大寺圖書館) 소장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의 교감을 통해 본 오기(誤記)와 이표기(異表記)
박부자 ( Pakh Bu-ja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5~38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는 東大寺圖書館 소장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의 교감을 통해 이 자료에 나타난 誤記와 異表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동대사본 화엄경을 돈황 사경, 초조대장경, 재조대장경 등 관련 자료와 교감한 결과, 자형상의 유사성으로 인한 誤字나 동일 구문 반복의 착각으로 인한 脫字 혹은 중복해서 적은 글자 등 잘못 書寫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혹 잘못 서사된 부분에 角筆로 잘못 서사한 글자를 교정하거나 빠진 글자를 보충하여 넣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잘못 서사한 글자는 총 70자로 집계되었다. 이외에도 음역자의 경우 교감 대상 문헌들과 다른 異表記를 쓰는 경우도 있었고, 다른 글자로 書寫되었으나 의미상 무관하지 않아 잘못 서사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이 관련 자료와 다른 글자로 서사된 부분들은 東大寺本 華嚴經이 얼마나 정...
TAG 東大寺, 『大方廣佛花嚴經』 권제12~20, 誤字, 脫字, 중복, 음역자, 異表記, 新羅 寫經, Todaiji, the volumes from twelve to twenty of the Avatamska Sutra, the Silla Dynasty manuscripts, erroneous Records, different transcriptions
남선사 소장 고려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8의 점토석독구결에 대하여
장경준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39~62페이지(총24페이지)
일본 교토 남선사 일체경에 포함된 고려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권8에는 고려시대 점토석독구결이 각필로 기입되어 있다. 이것은 성암고서박물관 소장 『유가사지론』 권8에 기입된 점토구결과 같은 계통의 구결로서, 서로 다른 사람이 독자적으로 토를 단 것이다. 남선사본과 성암본의 구결을 비교해 보면, 고려시대에 유가사지론의 표준 독법이 확립되어 있었고, 점토구결의 표기법도 정착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두 자료의 비교를 통해 유가사지론 계통 점토석독구결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남선사본의 서지와 추정 점도를 제시하고, ‘15(□)’을 ‘□□(□)’로 해독할 수 있는 사례, ‘51~52(.·)’를 ‘□□’로 해독할 수 있는 사례, 성암본에 없는 ‘□□’에 대응하는 ‘33~44(/)’이 출현하는 사례 등을 살펴보았다. 앞으로 ...
TAG 남선사, 초조대장경, 유가사지론, 점토석독구결, 南禅寺, 初雕大藏經, 瑜伽師地論, 点吐釋讀口訣
새 자료(資料),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남선사본(南禪寺本) 『사분율장제삼분(四分律藏第三分)』 권사십(卷四十)의 각필(角筆)에 대하여
남경란 ( Nam Kyeong-nan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63~93페이지(총31페이지)
일본 남선사 소장 『사분율장』은 지난 2004년에 조사, 발굴되었으나 전혀 연구가 이루어지지도 각필이나 자토에 대한 확인 작업도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기존에 각필을 확인하는 작업에서 벗어난 새로운 자료 확인 방법을 이용하여 11세기 각필의 실체를 정밀분석하고 이를 소개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사분율장』의 각필 부호는 단선이 80%(사선 +60, 직선 ±10)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점이 약 10%, 반달이 5%, 체크가 3% 그리고 그 외의 선들이 7%로 이루어져 있어 『사분율장』의 각필 부호 가운데 단선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 선들은 기존 각필 연구에서 논의된 바 있는 경계, 구분, 지시 등의 의미보다는 원문을 해석하는 주요 도구, 즉 석독구결 자형(또는 결합형)들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그대로 가지고 있...
TAG 『四分律藏』, 初雕大藏經, 角筆, 口訣, 精密分析, Sabunyuljang, Chojo-Taejanggyong, Korea First Tripitaka, Gakpil, Gugyeol, detailed analysis
가천박물관 소장 각필 점토구결 자료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에 대하여
안대현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95~120페이지(총26페이지)
이 글은 고려시대 『유가사지론』 계통 점토구결 자료 가운데 기존에 연구되지 않은 가천박물관 소장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을 소개하고 서지적 특징과 점토 및 부호의 특징을 개괄한 것이다. 기존의 『유가사지론』 점토구결 자료들과 비교할 때 이 자료는 서지학적 측면에서 묵서로 기입된 주석이나 교정이 없고, 마지막 장의 판수제가 장차만 표시되어 있으며, 피휘결획자가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문자론적 측면에서는 점토와 대응되는 구결자 ‘□□’, ‘□’, ‘□’를 각필로 기입한 것이 있고, 부호를 적게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앞으로 원본에 대한 실사와 정밀한 사진 촬영이 이루어져 자료의 성격과 가치가 충분히 밝혀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TAG 가천박물관, 가천본, 초조본, 유가사지론, 구결, 점토, 부호, 嘉泉博物館, 嘉泉本, 初雕本, 瑜伽師地論, 口訣, 点吐, 符號
수덕사(修德寺) 근역성보관(槿域聖寶館) 소장(所藏) 묘법연화경권제칠(妙法蓮華經卷第七)의 각필구결(角筆口訣)
河正秀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121~158페이지(총38페이지)
본고는 修德寺 槿域聖寶館에 소장된 절첩본 妙法蓮華經卷第七에 각필로 기입된 부호를 살펴, 그 기입 양상을 파악하고 그 부호들의 일부를 판독하고자 한것이다. 이 자료에는 단점, 쌍점, 직선, 곡선, 글자 등 다양한 형태의 부호가 각 필로 기입되어 있다. 그 부호들 중에서 점토에 해당하는 11(ㆍ)은 ‘□’로, 21(ㆍ)은 ‘□’로, 31(ㆍ)은 ‘□’로, 45(ㆍ)은 ‘□’로, 51(ㆍ)은 ‘□’로 해독을 시도하였다. 이들은 형태와 위치가 분명하여 판독이 비교적 용이한 예이다. 해독의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간경도감본 법화경언해의 언해 부분과 구결문을 참고하여 단점의 기능을 추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法華經第七의 추정 단점 點圖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고는 판독에 있어서는 기입된 각필 부호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 많고 자료의 분량이 적다는 점에서, ...
TAG 妙法蓮華經卷第七, 法華經第七, 법화경언해, 각필, 부호, 구결, 단점, 點圖, 法華經諺解, 角筆, 符號, 口訣, 單點
소망(所望) 표현에 대한 통시적 연구 -백화문 한글 번역본에 나타난 ‘욕(欲), 망(望), 원(願), 대(待), 요(要)’의 언해를 중심으로-
김한결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159~201페이지(총43페이지)
중세·근대 한국어 시기의 백화문 한글 번역본에서 등장하는 ‘欲, 望, 願, 待, 要’ 등은 소망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에 대한 언해는 당시의 소망 표현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한자들은 대체로 ‘전치된 소망 동사’, ‘명사구+소망 동사’ 구성, ‘소망의 연결 어미+포괄 동사’ 구성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언해되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현대 한국어의 소망 표현들을 살펴보면, 현대 한국어의 소망 표현에 나타나는 몇 가지 제약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중세·근대 한국어 소망 표현들의 통시적 변화에 의한 것인데, 이 글에서는 그 제약들 중에서 두 가지를 다루었다. 첫째, 소망의 연결 어미 뒤에서는 소망 동사가 통합될 수 없다는 제약이다. 당시의 언중들은 전치된 소망 동사의 여부에 따라 전형적인 소망 동사 구문을 두 가지로 분류하여 파악하기...
TAG 소망 표현, 소망 구문, 전치된 소망 동사, 소망의 연결 어미, 상·하위 문 주어, -과뎌, 意愿類表達方式, 意愿類句型, 前置意愿動詞, 意愿類連接詞尾, 上·下位句的主語
ㅿ-ㅸ의 연쇄로 본 ㅿ의 음가
張碩 ( Zhang Shuo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203~235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ㅿ을 다시 고찰하는 과정에서 쓴 글이다. 본고는 ㅿ-ㅸ의 연쇄를 통해 ㅿ의 음가를 바라본다. 2장에서 유성음-ㅸ의 연쇄를 살펴보았다. 모음, [j]활음, 유음, ㅿ 뒤에 후행하는 ㅂ은 ㅸ으로 실현됨을 다시 확인하였고 비음 뒤에 q이 오면 ㅸ으로 실현되지 않고 ㅂ이 그대로 실현되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ㅿ은 후행하는 ㅂ을 ㅸ으로 약화시킬 수 있지만 비음은 후행하는 ㅂ을 ㅸ으로 약화시키지 못하는 점과 분절음의 공명도, 약화의 유형, 음절 위치 등을 고려할 때에 ㅿ-ㅸ의 연쇄에서 ㅿ의 음가는 [□]으로 본다. 3장에서 언어 보편성, 문헌에서 ㅿ에 대한 기록, 한국한자음 등 측면을 통해 ㅿ을 살펴보았고 후기 중세한국어에서 ㅿ의 음가가 [□]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AG , 반치음, ㅿ-ㅸ의 연쇄, 접근음, 일모, 日母, 유성마찰음, semi-dental, ㅿ-ㅸ sequences, approximant, ilmo, voiced fricative
국어 복수 한자음의 자료에서의 반영 양상과 단순화 과정
이준환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6권 237~282페이지(총46페이지)
이 글은 국어사 문헌과 현대국어에서의 복수 한자음의 반영 양상과 단순화 과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이 글에서는 운서, 자전, 초학서와 속음의 발생에서 비롯한 복수 한자음의 반영 양상을 살펴보고, 현대의 자전, 한문 교육용 한자 및 대법원 인명용 한자, 국어사전에서의 복수 한자음의 반영 양상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복수 한자음이 단순화되어 가는 과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국어사 문헌의 검토를 통하여 살펴보고 단순화 유형을 나누어 제시하여 보았다. 국어 복수 한자음은 운서, 자전, 초학서에 충실하게 반영되고 있는 편인데 이는 운서와 자전이 한자음의 기준을 정하고 음에 걸맞은 뜻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고 초학서가 학습용으로 편찬된 텍스트란 점과 관련이 있다. 자전은 『康熙字典』에 근거를 둔 것과 관련이 높다. 하지만 실제 언어...
TAG 단순화, 음운 변화, 의미의 유사성, 어휘 형성, 유추, 複數漢字, 複數漢字音, 單純化, 音韻變化, 意味の類似性, 語彙 形成, 類推
가야어(加耶語)에 대하여
南豊鉉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5] 제35권 5~22페이지(총18페이지)
加耶는 三韓의 하나인 弁韓(卞韓)을 계승한 部族國家로 지금의 慶尙南道와 慶尙北道에 걸쳐 있었던 나라이다. 이 나라들은 기원 1세기에서부터 562년에 大加耶가 멸망할 때까지 존속하였던 나라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남긴 문자기록은 매우 희소하다. 이에 따라 몇몇 단편들을 가지고 加耶語의 특징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梁/돌(門)’은 신라어에는 없는 단어를 보여 주는 것으로 일찍부터 알려진 것이다. ‘珍/돌’은 新羅語에서 삼국시대의 訓을 보여 주는 것으로 주목되어온 단어였었는데 加耶語에서도 사용되어 그 기원이 加耶語에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이들은 訓을 이용한 표기로 加耶에서도 漢文을 釋讀하는 독법이 있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이밖에 首長의 뜻인 ‘干/간’, 존칭접미사인 ‘知, 智’ 등이 신라어와 공통됨을 볼 수 있다. ‘큰 나라’를 뜻하는 단어인 ‘加羅’...
TAG 三韓, 弁韓, 加耶語, 新羅語, 釋讀, 方言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