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구결학회 AND 간행물명 : 구결연구42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조사(助詞) 표기자(表記字)로 본 이두(吏讀)의 변천(變遷)
이용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7] 제38권 109~149페이지(총41페이지)
이 연구는 이두 조사 표기자의 시대별 양상에 대해서 조사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조사 표기자의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기존의 업적을 참고하여 조사를 전반적으로 정리하고 조사로 보기 어려운 것들은 제외하는 방향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처럼 조사의 대상이 정해진 뒤에 격조사와 보조사로 나누어 각각의 조사들이 보이는 시대별 사용 양상을 하나하나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두에서는 처음에 ‘中’, ‘以’ 등 한문에서 기원한 조사 표기자들을 쓰고 있었다. 한자의 음을 빌려서 처음으로 조사를 표기한 것은 8세기의 일이다. 10세기에 들어서면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는데 그것은 주격조사, 대격조사, 속격조사를 한자의 음을 빌려서 표기한 것이다. 따라서 10세기는 이두 조사 표기자의 발달에 있어서...
TAG 이두, 조사, 표기자, 격조사, 보조사, 吏讀, 助詞, 表記字, 格助詞, 補助詞
여말선초(麗末鮮初) 순독구결(順讀口訣) 토(吐) ‘□□□/□며히’의 형태 구성 분석을 통해 본 부사형 어미 ‘-□/며’와 ‘-□/히’의 문법적 특징
이건식 ( Lee Keon-sik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7] 제38권 151~199페이지(총49페이지)
이 연구는 여말선초 순독(順讀) 구결 자료에 나타난 ‘□□□/□며히’의 형태 구성과 의미 기능을 분석하였다. 여말선초 순독 구결 자료의 ‘□□□/□며히’가 중앙의 언어에서는 15세기 중반에 소멸하였으나 지방의 언어에서는 16세기 중반까지 존속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며히’와 ‘-□/히’가 ‘조건’의 의미만이 아니라 다양한 ‘종속’ 의미를 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며히’의 ‘-며/□’와 ‘-면’의 ‘-며’가 15세기 ‘병렬’의 의미를 표현하는 ‘-며’일 가능성을 밝혔다. 이 연구에서는 ‘-면, -안/언’ 동이 보조사 ‘-ㄴ’이 결합된 형태에 근거하여 15세기 부사형 어미 ‘-곤’이 ‘-고(부사형 어미)+-ㄴ(보조사)’임을 새로이 제안했다. 15세기 부사형 어미 ‘-안/언’과 ‘-곤’에 의한 ‘조건’ 표현이 종속절이 전체 집합을 말하면...
TAG 順讀 口訣, 麗末鮮初, 부사형 어미, '□□□/□며히', '-□/며', '-□/히', sundok-gugyeol, lat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on dynasty period, adverbial suffix, 'hamyeohi, □□□/□며히', '-myeo, -□/며', '-hi, -□/히'
동일 어원 한자어의 평음·격음 교차 양상에 대하여
金春月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7] 제38권 201~236페이지(총36페이지)
이 글은 동일한 한자 어원을 갖고 있으면서 격음형과 평음형이 모두 확인되는 어형들 사이의 교차 양상 대해 실제 문헌자료에 입각하여 유형별로 정밀하게 추적한 것이다. 평음형이 우선 문증되는 경우와 격음형이 우선 문증되는 경우로 나누어 고찰한 결과, 전자의 경우 어두에서 평음과 격음의 대립을 이루며 고형으로부터 신형으로의 교체를 반영한 대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후자의 경우는 한음의 영향이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용례가 기중 높은 비중을 보였다. 또한 두 경우 모두 한자음과 일치한 쪽이 살아남는 변화의 경향성을 보인다. 이들과는 대조적으로 평음형과 격음형의 후대형이 현재까지 공존하는 대상들은 대다수가 의미 분화를 일으키고 있다는 점, 그리고 어느 한쪽이 한음이 반영된 어형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띤다. 이처럼 다양한 교체 양상을 보이게 된 데는 성부의 유추...
TAG 동일 어원, 한자어, 평음, 격음, 평음형, 격음형, 신형, 구형, 교차 양상, 同一詞源, 漢字詞, 平音, 激音, 平音形, 激音形, 新形詞, 舊形詞, 交替現象
상고上古 중국어漢語 어두 자음군複輔音
허지우잉 , 신아사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7] 제38권 238~267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는 하구영허지우잉·何九盈1)(1991/2015) 교수의 『상고음上古音』 중 어두 자음군複輔音과 관련 있는 ‘제5장 여론餘論 제1절’과 ‘2차 교정 후기二校後記’ 부분을 번역한 것이다. 주된 논점은 (1) 원고遠古 중국어漢語에서는 어두 자음군複輔音이 틀림없이 존재했다. (2) 상고上古 중국어漢語에서는 어두 자음군複輔音 체계는 이미 사라졌지만, 연면어聯綿詞, 동일 기원어同源詞, 이문異文, 우음又音, 독약讀若, 성훈聲訓, 가차자假借字 등의 예에서 어두 자음군複輔音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어두 자음군複輔音은 한국한자음韓國漢字音 연구에 있어 중요한 논제 중의 하나이며 시사점도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가 국어사와 한국한자음韓國漢字音 연구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TAG 어두 자음군複輔音, 한국한자음韓國漢字音, 연면어聯綿詞, 동일 기원어同源詞, 이문異文, 우음又音, 독약讀若, 성훈聲訓, 가차자假借字
고대(古代) 한국한자음(韓國漢字音)의 연구(硏究)(Ⅰ) -최근 발굴된 각필(角筆) 성점(聲點) 자료(資料)를 중심으로-
權仁瀚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5~38페이지(총34페이지)
이 논문은 8세기 문헌인 大谷大學藏 『判比量論』, 東大寺藏 華嚴經 卷12-20, 11세기 문헌인 誠庵古書博物館藏 周本 華嚴經 卷57에 나타난 聲點 資料를 중심으로 古代 韓國漢字音의 聲調 問題를 고찰한 것이다. 총 36항목, 35자에 걸쳐 나타난 聲點들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8세기 중엽에서부터 上聲의 去聲化로 출발하여 11세기 후반에 와서 去聲의 上聲化 경향까지 더해져서 “上去無別(/相混)” 現象의 深化를 가져왔음을 角筆 聲點 資料로써 추적할 수 있다. 2) 중국과의 접촉을 통하여 中古音의 四聲體系가 都給으로 한국어에 移植되었을 가능성을 알려줌으로써 한국어 韻素體系에 있어서의 大變化 가능성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게 해준다.
TAG 古代 韓國漢字音, 角筆, 聲點, 大谷大學藏 『判比量論』, 東大寺藏 華嚴經 卷12-20, 誠庵古書博物館藏 周本 華嚴經 卷57
석독구결 자료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의 원문 검토와 특징적인 현토 양상 고찰
김성주 ( Kim Seong-ju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39~66페이지(총28페이지)
이 논문은 최근에 발견된 석독구결 자료인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에 기입된 석독구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원문 대교와 원문과 석독구결의 관계에서 특별한 점을 지적한 것이다.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의 한문 원문 텍스트의 대교에는 고려 재조대장경 보유편과 신수대장경의 『자비도량참법』, 조선 세조 조에 발간된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을 이용하였으며, 신수대장경의 교정본으로 사용한 元版大藏經인 普寧藏과 明 洪武南藏인 報恩寺版을 이용하였다.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의 한문 원문 텍스트의 대교를 통하여 이 문헌이 소위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이전의 舊本 『자비도량참법』임을 알 수 있었다. 원문과의 관계에서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에 현토된 석독구결의 특징으로는 ‘廣及’의 ‘及’을 접속사로 처리하지 않고 동사로 처리하고 있으며, 더욱이 단독의 접속부사 ‘及...
TAG 기림사본 『자비도량참법』,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석독구결, '廣及', '攝受', '眷屬獄', Jabidoryangchambeop, 자비도량참법, housed in Kirimsa, 祈林寺, Temple, SanggyojeongbonJabidoryangchambeop, Seondokkugyol, 釋讀口訣, 'kwanggeup', 'Seopsu', 'kwonsokok'
‘-롯’과 ‘-록’의 관계에 대하여
문현수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67~100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에서는 고대국어와 중세국어에 사용된 ‘-□□/롯’과 ‘-□□/록’의 용례를 검토함으로써 이들이 어떤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5종의 자토석독구결자료와 새로 발견된 자토석독구결자료인 『慈悲道場懺法』 권4에서 쓰인 ‘-□□’과 ‘-□□’의 용례는 물론, 점토석독구결자료에 쓰인 ‘-□□’과 ‘-□□’의 용례도 모두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고대국어에서 어떠한 관련성을 맺으며 쓰이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주본 화엄경 점토석독 구결에서 25(.·)이 ‘□□’으로 해독되는 점토임을 발견한 것은 큰 소득이라고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고대국어의 ‘-□□’, ‘-□□’과 중세국어의 ‘-롯’, ‘-록’을 비교하여 ‘-□□/롯’과 ‘-□□/록’이 어떠한 이유로 유사한 쓰임을 보이게 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본고의 논의...
TAG -롯/□□', '-록/□□', 고대 국어, 중세 국어, 속격 조사, 강세 첨사, 古代國語, 中世國語, 屬格助詞, 强勢添辭
대명률직해의 한자어 번역 유형
진윤정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101~132페이지(총32페이지)
대명률직해는 명나라 법전인 대명률을 이두로 번역하여 1395년(태조 4)에 간행된 책이다. 이 글에서는 원문과 직해문을 상세히 비교·대조하여 원문의 한자어가 번역된 양상을 살피고, 유형을 분류한 다음 유형별 구체적인 용례를 검토하였다. 검토한 결과 원문의 한자어는 상당 부분 조선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되어 번역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원문의 한자어를 동일한 의미의 조선에서 주로 사용되던 한자어로 바꾸어 번역하였다. 둘째, 하나의 한자어를 상황에 따라 각각 다른 한자어로 번역함으로써 문맥에서 파악되는 구체적인 의미를 밝혀 주었다. 셋째, 경제, 법률 등의 전문 용어를 이해하기 쉬운 어휘를 사용하여 구 또는 절로 풀어 번역하였다. 넷째, 원문에 생략된 주어나 목적어 등을 직해에서 추가하여 번역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을 통해 직해가 조선의 독...
TAG 대명률직해, 대명률, 한자어 번역, 번역 유형, 대응 양상, 大明律直解, 大明律, 漢字語 飜譯, 飜譯類型, 對應形態
문자언어로서 한국어의 발생과 발달에 관한 시론적 접근
이용 ( Lee Yong )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133~163페이지(총31페이지)
고대 시기 한국인은 한자의 유입과 더불어 문자를 접하기 시작했다. 본격적인 문자문화의 도입은 한문 텍스트의 수용에서 시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중국에서 한문 텍스트를 받아들이고 점차 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게 되면서 문자의 필요성을 깨닫고 자신에게 일어난 일도 문자를 통해 기록하려는 욕심을 가지게 되었을 것이다. 처음에 고대 한국인은 기록을 필요로 할 때 한문으로 쓰기를 시작했다. 그러나 한국인에게 있어 한문은 결코 쉽지가 않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한국어적 요소가 쓰기에 스며들었다. 처음에는 어순과 토의 표기에 한국어적 요소가 스며들면서 점차 문자언어에 한국어의 음성언어가 반영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훈을 이용하게 되면서 한국어의 음성언어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표기된 고대국어 자료를 보면 문자언어와 음성언어가 유리...
TAG 차자표기, 문어로서 한국어, 음성언어, 문자언어, 잡종언어, 표기법, 용자법, Chaja Pyogi, borrowed writing systems in Korean, Korean as written language, spoken language, written language, blended language
중세한국어의 ‘곤가’와 관련 어휘에 대하여
박지용  구결학회, 구결연구 [2016] 제37권 165~193페이지(총29페이지)
이 논문은 중세한국어의 동사 활용형 ‘곤가’의 어간을 분석하고, 그 형태적 특징과 의미를 파악한 후, ‘곤가’와 어원적 측면에서 유관하다고 여겨지는 어휘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곤가’에서는 중세한국어의 단일 용언 어간에 거의 나타나지 않는 /ㄴㄱ/의 음소 연쇄가 나타난다. 이처럼 독특한 음소 배열이 나타난 ‘곤가’는 特殊語幹交替를 보였을 것으로 추정되며 그 어간은 ‘*고□-/곤ㄱ-’로 분석된다. 만약 ‘곤가’가 진정으로 특수어간교체를 보였다면 이는 ‘ㄴㄱ’형 특수어간교체 중 용언의 예로는 유일한 것이다. ‘곤가’는 중세한국어 문헌에서 모두 세 차례 발견되는데 각각 [헤아리다], [따르다], [찾다]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는 것으로판단된다. ‘*고□-/곤ㄱ-’와 형태적, 의미적 관련성을 보이는 형태로는 「隨喜功德歌」의 ‘擬可’, 「總結無盡歌」의 ...
TAG 곤가, 特殊語幹交替, 擬可, 趣可, 고노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