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종교교육학연구71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무의식의 담론과 마음교육-대행선사(大行禪師)와 프로이트(S. Freud)를 중심으로-
김영래 ( Kim Young Rae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7] 제53권 77~100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무의식의 담론에 근거한 마음교육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대행선사(大行禪師)와 프로이트의 마음관과 마음교육관을 비교분석하였다. 대행선사는 인간 본성(本性)의 회복 과정을 `현재의식`과 `잠재의식`의 관계를 가지고 설명하고 있으며, 본성의 깨달음이란 현재의식과 잠재의식이 합일되는 경험이라고 설파한다. 프로이트도 이와 유사하게 마음을 `의식`과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으며, 무의식(또는 이드)의 영토를 현재의식(또는 자아)의 영토로 편입시켜가는 것이 정신분석의 목표임을 천명하고 있다. 그러나 두 담론의 용어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종교담론과 학술담론으로서의 내용적인 차이가 적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담론은 마음의 심층구조에 대한 통찰에 있어서 구조적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의식과 잠재의식, 의식과 무의식의 ...
TAG 대행선사, 프로이트, 주인공관법, 정신분석, 현재의식, 잠재의식, 무의식, Daehaeng Seon Master, Sigmund Freud, Ju-in-gong meditation, Psychoanalysis, Consciousness, Sub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
이향만 ( Lee Hyang Ma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151~169페이지(총19페이지)
현대교육에서 새롭게 부각된 과제 가운데 하나가 인성교육이다. 현대의 교육이 취업을 위한 도구적인 교육에 치중하면서 인성교육의 역할을 상실한데 그 원인이 있다. 인성교육은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인격체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종교교육은 인성교육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따라서 종교교육은 실종된 인성교육을 회복하기 위한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인성교육으로서의 종교교육은 선교나 교리교육의 차원이 아니라 보편적 인성함양의 차원에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종교문화를 구성하는 보편적 요소가 갖는 교육적 측면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특별히 종교현상학적 관점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서사, 수행, 의례, 윤리, 사회에 내재되어있는 인성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이미 시행되어온 전통적인 인성교육의 의미를 되짚어보...
TAG 종교교육, 인성교육, 서사, 수행, 의례, 윤리, 사회, 종교문화, religious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narrative, performance, ritual, ethics, society, religious culture
도덕적 리더십의 관점에서 본 예수와 공자의 교육 리더십
구본만 ( Koo Bonma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39~70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도덕적 리더십의 원리들이 예수와 공자의 제자 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에 대해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낸 도덕적 리더십의 9가지 원리는 가치에의 팔로워십 구축, 윤리덕목의 내면화, 도덕적 권위 형성, 가치와 이상의 공유, 자기 동기화의 강화, 권한화(리더십 공유), 협력문화 구축, 신뢰관계 구축, 도덕적 공동체 형성 등이다. 이 9가지 원리에 따라 예수와 공자의 교육 리더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수와 공자는 가치와 비전에 대한 확고한 `팔로워십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예수와 공자는 `윤리덕목이 내면화된 모범적 삶`을 통해 몸소 제자들의 본보기가 되었다. 셋째, 예수와 공자는 지혜와 학문적 전문성에서 나오는 `전문적 권위`와 올바른 가치에의 충실성과 솔선수범하는 삶을 통해 형성한 `도덕적 권위`...
TAG 도덕적 리더십, 가치에의 팔로워십, 윤리덕목, 도덕적 권위, 도덕적 동기유발, 가치와 비전의 공유, 자기 동기화, 임파워먼트, 도덕적 공동체, moral leadership, followership for values, ethical virtue, moral authority, moral motivation, shared values and vision, self-motivation, empowerment, moral community
우리시대 양극화 현상 극복을 위한 대순진리회 종교교육의 역할과 전망
윤재근 ( Youn Jaekeun ) , 김영주 ( Kim Yeongjoo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1~18페이지(총18페이지)
최근 우리 사회에서는 극심한 양극화 현상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는 양극화 현상의문제가 단지 경제적 불균형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삶의 전 영역에까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빈부의 양극화가 기회의 불평등으로 이어지고 다시 사회의 고정된 계급을 양산하여 분리된 계급간의 갈등이 고조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전 근대사회로의 퇴행을 연상케 한다. 이와 관련해 본 논문에서는 증산의 상생이념과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에 주목하여 양극화 현상 해소를 위한 이념적 모색을 시도하고자 한다. 증산의 종교 활동기였던 조선 후기 사회는 철저한 신분제가 근간을 이루는 불평등의 사회였다. 이는 오늘날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양극화 현상에 비견된다. 증산은 이러한 시대상황을 `진멸지경(盡滅之境)`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이러한 사회적 불균형의 해결방안으로 상생의 이념을 주창하...
TAG 양극화 현상, 한국 신종교, 증산, 상생, 대순진리회, 종교교육, Polarization problems, New-religion in korea, Jeung-San, `Sang-Saeng`, `Daesoonjinrihoi`, `Religious education`
양극화 극복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에 대한 다층적 접근의교육역할과 방향
정시구 ( Jeong Sigu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19~38페이지(총20페이지)
본 논문의 목적은 양극화 현상의 극복을 위해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에 대한다층적 접근으로 교육적 역할과 방향을 탐색하고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있다. 현재 우리사회의 양극화 현상에서 가장 심각한 것은 사회경제적 양극화에서 윤리적·정치적 양극화로의 복합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신자유주의자들은 사회복지비의 확대가 경제를 침체시키고 국민의 자립정신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한다. 만약에 신자유적 시장자본주의 만을 용인한다면 정부의 최종적 역할은 매우 한정된 실패자의 구제만을 보장할 뿐 양극화 문제는 해결할 수 없다. 종교교육에서도 양극화 문제를 사회공동체의 윤리적·정치적 문제로 인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양극화 현상 극복을 위한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공생공영공의주의의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TAG 공생주의, 공영주의, 공의주의, 양극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Co-livingnism, Co-prosperitinism, Co-righteousnessnism, Polarization, Family Federation for World Peace and Unification
신라시대 불교 강경(講經)의 교육적 의의
안경식 ( An Gyeongsik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71~101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은 신라 시대의 불교의 강경 활동 및 강경 의례에 대한 기록을 몇 가지 관점으로 분류하여 검토하고, 그 속에 담긴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즉, 강경 활동과 의례는 강경의 목적, 강경의 대상, 강경의 장소, 강경의 방식과 형태, 강경의 시기, 강경(회)의 주최자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라 강경의 개념도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는 고승개인에 의한 강경(Ⅱ장)과 국가에 의한 강경인 백좌강회(Ⅲ장), 그리고 사원 법회에서의 강경(Ⅳ장) 등 세 가지로 나누어 고찰해보았다. `고승 개인에 의한 강경`에서는 원광을 비롯하여 자장, 원효, 의상, 진표, 승전의 강경 활동을 고찰하였다. 강경 활동에 참여한 고승 가운데 화엄종 고승들의 강경 활동 비율이 높았으며, 당나라에 유학하고 돌아온 고승들의 비율이 높았다...
TAG 불교 강경, 신라불교, 불교교육, 백고좌회, 강경 의례, 강경 법회, Buddhist Jiangjing(Buddhist lecture meeting, 講經), Buddhism in Silla, Buddhist Education, Bakgojwabuphwei(Buddhist mass of one hundreded high seats, 百高座法會), ritual of Jiangjing, Buddhist mass of Jiangjing
연봉동자상이 불교아동교육에 주는 시사점 탐색
나정 ( Na Jung Lee ) , 이영림(범우) ( Youngrim(ven. Beomwoo)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103~12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연봉동자상의 지물을 중심으로 그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불교아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봉동자상은 국립청주박물관(2003)의 『불교동자상』에서 29 점과 문화재청·불교문화재연구소(2002-2014)의 『한국의 사찰문화재』에서 25점 그리고 홍윤식 등(1991)의 『전국 사찰 등 소장 동자상 조사보고서』에서 6점, 총 60점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봉동자상의 특징은 연꽃, 연잎, 연봉가지, 연봉오리, 연잎줄기 등을 지물(소지하고 있는 물건)로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 연봉오리가 가장 많았다. 또한 동자상의 얼굴은 둥글고 입가에는 미소를 짓고 있는 밝은 표정이며, 머리가 크고 몸이 상대적으로 작은 실제 어린이의 모습과 비슷하였다. 연봉동자상이 불교아동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상은 ...
TAG 연봉동자상, 불교아동교육, 아동상, 교육관, 인성교육, Lotus Buddhist Boy Attendants, buddhist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s image, educational view, personality education
다 종교사회에서 학교종교교육의 목적설정 및 교수학습방법에 관한 연구
김광철 ( Kim Kwang Chul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2권 127~150페이지(총24페이지)
국가 주도의 종교교육과정은 제4차 교육과정(문교부 고시 제442호, 1981.12.31.)이 시행되면서 종교 과목이 자유선택교과로서 교육과정 편제에 들어옴으로써 본격화 되었다. 그 후 제 5, 6, 7차교육과정을 거쳐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학교종교교육은 현재 교육당국에서 발전시켜온 `보편적 종교 지식` 중심의 종교문화교육과 각 종교 교단 및 교파 별로 실행되고 있는 `신앙` 중심의 종교교육 형태가 불완전한 공존을 거듭하고 있다. 이러한 종교교육에 대한 하나의 통일된 목적설정의 어려움은 종교교육 자체의 성격을 모호하게 만들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자는 종교교육 목적 설정의 모호성의 원인을 분석하고 향후 학교종교교육의 목적이 종교적 다원사회의 현실인식 위에서 종래의 `지식`과 `신앙`의 편향적 강조가 아닌 상호보완적 관계를...
TAG 학교종교교육, 종교적 정체성, 종교성, 상호종교교육, 대화, 이해와 관용, 종교적 다양성, religious education, religious identity, religiosity, interreligious education, dialog, understanding and tolerance, religious diversity
국가 교육과정(종교학)의 개정 흐름과 2015 종교학 교육과정
고병철 ( Byoungchul Ko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1권 1~30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종교학 교육과정의 개정 흐름에서 2015 종교학 교육과정의 내용과 위상을 분 석하고 미래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 종교학 교육과정의 개정 흐름, 제3장에서 2015 종교학 교육과정의 구도와 특징을 분석하고, 제4장에서 종교학 교육과정의 방향 과 과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장에서는 제4차 교육과정 이후 종교학 교육과정의 개정 흐름을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종교학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내용 영역과 조직,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부분에 서 종교 중심의 서술이 학습자 중심의 서술로 점차 전환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제3장에서는 2015 종교학 교육과정의 구도와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교육과정이 ‘종교 언어의 번역과 소통 가능성’ 이라는 구도에서 설계되었다는 점, 종...
TAG 2015 국가 교육과정, 종교학(종교) 교육과정, 종교 언어의 번역과 소통, 성찰적 종교교육, 학습자 중심 교육, 2015 National Curriculum, 2015 Religious Studies Course, Translation and Communication of Religious Language, Reflexive Education about Religions, Learner-centered Approach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나타난“종교학”교과 교육의 쟁점과 과제
김귀성 ( Gui Sung Kim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6] 제51권 31~51페이지(총21페이지)
이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종교학” 교과의 성격, 내용체제, 편성 및 운영 등을 위주 로 그 쟁점과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교육과정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얻은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종교학 교과의 성격(교과 특성, 교과교육의 필요성, 역할, 교과의 역량제시)은 성찰적 안목과 태도, 6대 핵심 역량 등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고교생들의 눈높이 수준의 설정, 특정 종교 위주의 내용, 유관 교과(사회, 도덕)와의 차별화(정체성), 핵심역량의 명료화, 실현 가능성의 구체화 등은 쟁점의 여지를 안고 있다. 둘째, 종교학 교육과정 체제와 관련해서는 교육과정 총론과 종교학 교 육과정 세부 내용간의 일관성, 교육목표, 내용체계 및 성취수준, 교수...
TAG 2015 개정 교육과정, 종교학, 교육과정 체제, 편성과 운영, 교육과정 개발, Revise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f korea in 2015, Subject matter education of Religion, System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Curriculum, Curriculum Developmen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