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AND 간행물명 : 동아시아불교문화64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불교의 관점에서 본 원자력과 생명, 그리고 평화
민병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29(총1페이지)
한국사회의 에너지와 핵문제 해결을 위한 불교윤리적 대안
박병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59~85페이지(총27페이지)
21세기 초반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 중에서 에너지와 핵문제는서로 연결되어 있는 핵심 문제 중 하나이다. 밝음과 빠름이라는 현대 문명의 흐름 속에 들기 위한 노력의 성공으로 얻게 된 외적 풍요는 실 존의 근원적 어두움과 느림의 미학을 밀어내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 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더 절박한 과제로 다가오는 것은 화 석에너지의 고갈과 그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핵폭탄 및 핵발전소 건설로 인한 인류의 소멸 가능성 내지 거대한 재앙의 가능성이다. 이미 우리는 그것을 오존층 파괴와 기후변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으 로 체험하고 있음에도, 우리들이 느끼는 체감온도는 결코 높다고 볼 수 없다는 데서 더 큰 위기의식을 갖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현실에 관한 객관적인 통찰로서의 지혜와 ...
TAG 화석 및 핵에너지, 밝음과 빠름, 지혜와 자비의 윤리, 불교 사회 윤리, fossil and nuclear energy, rightness and speed, ethics of wisdom and benevolence, Buddhist social ethics
세속오계의 배경과 근거 - 초기불교의 흔적을 찾아서 -
임승택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89(총1페이지)
21세기 초반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과제 중에서 에너지와 핵문제는서로 연결되어 있는 핵심 문제 중 하나이다. 밝음과 빠름이라는 현대 문명의 흐름 속에 들기 위한 노력의 성공으로 얻게 된 외적 풍요는 실 존의 근원적 어두움과 느림의 미학을 밀어내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 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현실적으로 더 절박한 과제로 다가오는 것은 화 석에너지의 고갈과 그 사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 핵폭탄 및 핵발전소 건설로 인한 인류의 소멸 가능성 내지 거대한 재앙의 가능성이다. 이미 우리는 그것을 오존층 파괴와 기후변화.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등으 로 체험하고 있음에도, 우리들이 느끼는 체감온도는 결코 높다고 볼 수 없다는 데서 더 큰 위기의식을 갖게 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현실에 관한 객관적인 통찰로서의 지혜와 ...
불교 세시풍속의 전승양상 - 조계사 세시풍속을 중심으로 -
구미래 ( Koo Mee-R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111~138페이지(총28페이지)
불교 세시풍속의 범위는 불교적 배경에 따라 정립된 불교세시와 명절,절기 등 민간세시에 행하는 불교적 풍습으로 구분된다. 이들 두 유형은 출발점이 다르지만 오랜 세월 생활문화로 전승됨에 따라 ‘불교세시의 민속화’, ‘민간세시의 불교화’라는 특성을 드러내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조계사에서 행하는 세시풍속을 분석하여 한국인의 연례적 삶에 불교가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다루었다. 조계사의 세시풍속을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시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첫째, 한 해의 시작과 끝, 사계절의 변화와 같이 시간의 분절적 흐름을 지닌 세시를 중요하게 수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입춘, 대보름과 같은 정초세시에 중점을 두어 새해를 맞는 불교 세시풍속이 다양하게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여름에는 ‘여름밤, 구미호를 쫓다’는 젬족이 철야참선수행과 ‘화기애...
TAG 불교세시, 민간세시, 자연력, 명절, 절기, 음력문화, Buddhist seasons, folk seasons, holiday, solar terms, lunar culture
한어 성조의 입성과 범패의 맺음형 -영남범패를 중심으로-
윤소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145~176페이지(총32페이지)
『작법귀감』에 설명되고 있는 4성은 당나라 츠우종(處忠ch.zh.ng)스님이 저술한 『원화운보元和韻譜yuanheyunp』(806-827)의 내용과 일치한다. 영남지역에는 지금도 작법귀감의 4성에 준하여 소리를 지어가므로 당대 의 4성 원리가 다소 살아있다. 실제 영남범패를 채보해 보면 대개 4음의 범주 안에 머물고 있고, 이들은 한어 성조와 연결되는 성격이 많다. 이 는 한국의 범패가 중국 당대의 음운 체계와 현재까지도 깊은 관련이 있 음을 말해주고 있다. 오늘날 북경의 보통화 성조에는 ‘ㅍ.ㅌ.ㅋ’와 같은 받침이 있는 운 미를 촉급하게 맺는 입성이 사라지고 없다. 입성은 당말(唐末)부터 소실 되기 시작하여 원대를 거치며 몽고어와 한어의 충돌로 완전히 소실되었 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지금까지도 평상거입 4성을 토대로 소리 를 ...
TAG 범패, 영남범패, 성조와 범패, 입성, 범패의 종지형, Korean Buddhist ritual music, Yeongnam Beompae, Gyeongje Beompae, The cadence of Beompae, The Chinese phoneme and Beompae
중국불교의 호교론적 공자인용
강경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213~245페이지(총33페이지)
중국에서 생산된 불교논서들에는 중국의 이질적 문화환경 속에서 공자를 빌려 중국토양에 적응하고자 하는 노력들이 자주 발견된다. 불교 가 안착하고 난 뒤에도 대중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러한 노력들이 계 속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공자의 가르침이 상식이었던 중국사회에 서 불교의 설법자들은 그 비유, 대비적 사유의 장점을 십분 발휘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불교의 공자인용을 통한 호교론적 교 리전개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불교에는 공자가 부처 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그를 유일한 성인으로 인정하였다는 기록을 강 조하는 논리가 있었다. 중국에는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天毒으로 불렸 던 인도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논리는 일정한 설득 력을 갖는다. 유학자였던 이상은이 역사적 선후관계에 기반하여 공자의 스승으로 노자를 세우...
TAG 호교론, 공자, 선후관계, 상동성, 문화적 편견, 다원적 공존, 護敎論, 孔子, 前後關系, 相同性, 文化偏見, 多元性和平共處
혜원의 신체 중심적 인간 이해
조윤호 ( Cho Yoon-H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241~272페이지(총32페이지)
4~5세기 중국사상계는 중국과 인도, 대승과 소승이라는 이질적 문화와 세계관의 각축의 장이었다. 중국의 불교도로서 혜원은 이같은 사상적 상황 속에서 한편으로는 불교비판에 대응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자신의 사상적 지반을 확보해야만 했다. 윤회보응, 법신 등은 중국전통에서 매우 낯선 사유였으며, 이들 문제의 이해 과정에서 혜원에게는 중국의 현상 실재론과 설일체유부의 법실재론적 사유가 혼재된 상태로 드러난다. 『명보응론』에서 혜원은 윤회보응의 발생과 전개를 설일체유부의 삼세양중 업감연기설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동시에 그는 생명체의 탄생과 전개를 중국고유의 사유전통에 의해서 이해한다. 『구마라집법사대의』에서도 혜원은 반야, 공의 사유로 온전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 그의 인간 이해에는 색법의 실재 및 유,무의 이분법적 사고가 전제되어 있으며, 몸을 기본적으로 ...
TAG 혜원, 신체, 명보응론, 구마라집법사대의, Hye-Won, the body, Dharma-body, the explanation on nemesis, the meaning of Mahayana by Kumarajiva Dharma-preacher
『중론(中論)』의 연기(緣起)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
박용주 ( Yong Joo Par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279~319페이지(총41페이지)
『중론』의 핵심개념인 연기(緣起, prat.tyasamutp.da)의 의미를 명확하게 밝힘으로써 『중론』 전체의 내용을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는 교두보를 확보하도록 하겠다. 기왕(旣往)에 『중론』 연기에 대해서는 국내외의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있고 그 성과가 축적이 되어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이전 연구들과 달리 『중론』 연기에 대해 명제논리 (Propositional Logic)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기존의 연구자들이 자연언어를 통해 이루어놓은 연기에 대한 이해의 성과 위에 논의의 정밀성과 명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명제논리라는 인공언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중론』의 연기에 대한 명제논리적 분석의 결과 『중론』 연기는 연(緣)과 과(果)의 존재에 대한 실질적 동치(material equivalence)관계를...
TAG 『中論』, 緣起, 명제논리, , , Mulamadhyamakakarika, MMK, pratityasamutpada, proposition, law, sunya
『십지경(十地經)』십중십이인연관 (十重十二因緣觀) 제10항목에 대한 고찰
박보람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8권 321~352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은 『십지경(十地經)』또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십지품(十地品).에 설해지는 십중십이인연관(十重十二因緣觀) 제10항 목의 이름에 대한 고찰을 내용으로 한다. 즉 십중관이 설해지는 경문에 대해서 두 가지를 논하였다. 첫째는 십중관의 이름을 열거하는 부분 마 지막에 보이는 ``觀``(pratyavek.a.a, rab tu rtog pa)을 어떻게 이해하는 가에 대해서이다. 기존에는 이를 제10항목의 이름에 포함시켜서 제10 항목의 이름을 ``무소유진관(無所有盡觀)`` 또는 ``유진관(有盡觀)``으로 파 악하였다. 그러나 문맥이나 여러 이역본을 대조해본 결과 ``觀``은 제10항 목의 이름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열거된 10항목 전부에 대한 것 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십중관 제10항목의 불일치에 대한 것이다. 십중관...
TAG 『십지경, 十地經』, 『대방광불화엄경, 大方廣佛華嚴經』, 십중십 이인연관, 十重十二因緣觀, 무소유진관, 無所有盡觀, 유진관, 有盡觀, Dasabhumisutra, Buddhavata.sakasutra,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non-existence and destruction" , abhavaks.ayata, 無所有盡, "「links of」 becoming and destruction", bhavaksa
법현(法顯)이 적용한 Yojana에 대한 재검토
차유만 ( You Man Cha ) , 정승석 ( Seung Suk Jung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동아시아불교문화 [2014] 제17권 3~38페이지(총36페이지)
유순(yojana)은 거리를 계량하는 기본 단위로서 인도에서 고대로부터 통용되어 왔다. 그러나 1유순의 거리는 학자들 사이에서 4km로부터 23km로까지 산정될 만큼 이견이 분분하여 아직까지도 정설로 확정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에 일본에서는 모리 쇼지(森 章司)와 모토자와 츠 나오(本澤 綱夫)의 공동 연구로 1유순의 거리를 면밀하게 고찰하고 현 지 답사로 그 거리를 계량했다. 이들은 11km대의 거리가 1유순일 것이 라는 결론을 도출해 낸 동시에, 절대 단위로서 1유순의 거리가 13km일 개연성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이처럼 다소 납득하기 어려운 견해 는 자료 분석의 방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선행 연구에서 제공하는 자료들을 충분히 활용하 면서 1유순의 거리에 대한 계량을 독자적인 방식으로 시도했다....
TAG 법현, 아리야바타, 요자나, 유순, 의정, 현장, Aryabhata, Faxian, 法顯, Yijing, 義淨, Yojana, Xuanzang, 玄奬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