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 어문학 > 언어학
Syntactic Complexity of EFL Learners’ Casual Conversation, Monologue, and Writing
( Park Shinjae ) , ( Yoon Soyeon )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2021] 제37권 제1호, 75~89페이지(총15페이지)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syntactic complexity differs depending on production modes. To this end, we examined a learner corpus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comprises casual conversations, monologues, and writing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ach mode was measured by an auto...
TAG syntactic complexity, casual conversation, monologue, writing, learner corpus
Phonological Variations of Korean Language Use in Online Contexts
( Park¸ Chaehee )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2021] 제37권 제1호, 63~74페이지(총12페이지)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syntactic complexity differs depending on production modes. To this end, we examined a learner corpus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comprises casual conversations, monologues, and writing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ach mode was measured by an auto...
TAG Korean, online language, nasals, honorific speech styles, consonants and vowels
Linguistic Differences in EFL Learners’ Direct and Translated Writing in Two Genres
( Lee¸ Jeong-won )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2021] 제37권 제1호, 49~61페이지(총13페이지)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syntactic complexity differs depending on production modes. To this end, we examined a learner corpus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comprises casual conversations, monologues, and writing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ach mode was measured by an auto...
TAG syntactic complexity, lexical complexity, genre, direct writing, translated writing
ESFWN-based Event Structure Frame Type Classifier for Event Structure-dependent Inferencing
( Im¸ Seohyun )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2021] 제37권 제1호, 37~48페이지(총12페이지)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syntactic complexity differs depending on production modes. To this end, we examined a learner corpus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comprises casual conversations, monologues, and writing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ach mode was measured by an auto...
TAG Event Structure Frame, ESF Type Classifier, Event Structure-based Inference Generation (ESIG) system, ESFWN, EWISER
한국 EFL 학습자의 영어 발표에서의 담화표지 사용
한미향 ( Han¸ Mihyang )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2021] 제37권 제1호, 21~35페이지(총15페이지)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syntactic complexity differs depending on production modes. To this end, we examined a learner corpus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comprises casual conversations, monologues, and writing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ach mode was measured by an auto...
TAG discourse markers, English presentation, EFL learners, speech topics, English proficiency
영어 무성 마찰음의 음향 및 스펙트럼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숙 ( Park¸ Jin-sook )  한국현대언어학회, 언어연구 [2021] 제37권 제1호, 7~19페이지(총13페이지)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syntactic complexity differs depending on production modes. To this end, we examined a learner corpus obtain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which comprises casual conversations, monologues, and writings. The syntactic complexity of each mode was measured by an auto...
TAG spectral moments, fricative duration, COG (center of gravity), variation, skewness
한시 의상(意象) 통계 연구의 성과와 과제 -해외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임준철 ( Lim¸ Jun-chul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301~349페이지(총49페이지)
이 글은 향후 한국 한시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구축할 때 참고하기 위해 意象/이미지 통계분석 관련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도출한 것이다. 미국의 Burton Watson은 『唐詩三百首』를 대상으로 樹木類, 草類, 花類, 鳥類, 獸類, 蟲類, 天體類, 날씨류, 山類, 水類, 계절류라는 분류기준으로 이미지 사용 통계를 내고 이를 바탕으로 당시 자연 이미지에서 特稱보다 總稱이 우위에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Watson의 통계는 낱글자 어휘만을 기준으로 삼아서 이미지의 실상을 파악하는 데 일정한 한계가 있다. 홍콩의 鄭樹森(William Tay)은 Watson의 통계방식으로는 이미지의 구체성을 판별할 방법이 없다고 비판하고, 葉維廉의 영역본 『王維詩選』을 텍스트로 王維 시 자연 이미지에 대한 통계분석을 시도하...
TAG 한시, 意象, 통계 연구, 한국 한시 DB, 버튼 왓슨, Burton Watson, 윌리엄 테이, William Tay: 鄭樹森, 매리 챈, Marie Chan, 천즈어, 陳植鍔
권위를 생성하는 글쓰기와 변계량의 문장의 문학사적 의의 -조선의 전통과 중화주의의 길항-
김풍기 ( Kim¸ Pung-gi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269~300페이지(총32페이지)
변계량의 시문 창작 능력은 조선 초기의 문인들 중에서도 손에 꼽을 만하다. 그의 시 창작 능력에 대해서는 일부 선행 연구가 있지만, 문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형편이다. 그의 문집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글들이 공식적인 차원에서 지어진 작품이므로 문학사적 의의를 논의하기가 어려웠다. 그러나 공식적인 글쓰기가 가지는 관용성이 언제나 문학적으로 불필요한 것 혹은 논의의 가치가 없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변계량이 당면했던 조선 초기의 상황에서 공적 글쓰기는 새롭게 개국한 조선 왕조와 국왕의 권위를 만들어 내고 수식함으로써 건국의 명분과 수성(守成)의 기초를 닦는 역할을 수행했다고 여겨진다. 그의 문집에 보이는 다양한 문체의 글들은 조선이 공적 차원에서 필요로 했던 것들인데, 변계량은 그 글들의 모범을 제시하여 이후의 공적인 글들을 쓰는 모델의 역할을 수행했던 것이...
TAG 변계량, 조선 초기 문학사, 공식적 글쓰기, 글쓰기의 제도화, 글의 권위, 글쓰기의 규범, 글쓰기의 권력, Byeon Gye-ryang, the literary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formal writing, institutionalization of writing, authority of writing, norms of writing, power of writing
근대전환기 잡지에 수록된 야담의 존재양상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237~267페이지(총31페이지)
본고는 1900~1910년대 잡지에 야담이 수록되는 양상을 살펴본 것이다. 전근대 시기 ‘집’의 형태로 향유되었던 야담은 근대적 매체인 잡지와 만나면서 개별적인 이야기로 수록되었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수용되었다. 견문의 기록을 표방하는 야담의 특징은 소식을 전달하는 언론 매체로의 잡지 성격에 힘입어 당대의 사건을 기록하는 형식으로 수용되기도 하였고, 과거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역사적 사실로 소환되기도 하였다. 또한 야담이 지니고 있는 서사성은 이를 허구적 이야기로 소비하도록 만들기도 하였다. 즉 전대 야담의 복합적 성격이 이 시기 잡지 매체에 수용되면서 다양한 방향으로 분화되어갔던 것이다. 본고에서는 몇몇 사례를 통해 당시 야담과 잡지 매체가 만나는 방식을 세 가지 층위로 분류하였다. 첫째, 야담 형식의 수용과 새로운 가치의 제시, 둘째, 역사기록 및...
TAG 근대, 야담, 잡지, 대한자강회월보, 서우, 신문관, 청춘, 아이들보이, 가정잡지, 별건곤, modern era, yadam, magazine, Daehanjaganghoe Monthly, 大韓自强會月報, Seo-woo, 西友, Cheong-chun, 靑春, Aideulbo, Home Journal, 가뎡잡지, Byeolgeongon, 別乾坤
1900~1910년대 지식층의 신경쇠약 개념에 대한 수용과 전유
박성호 ( Park¸ Sung-ho )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Journal of korean Culture (JKC) [2021] 제53권 203~235페이지(총33페이지)
신경쇠약은 문명병, 근대병 등으로 불리며 20세기 초 근대인들의 정신질환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문학을 비롯한 예술 분야에서는 결핵과 더불어 예술가의 독보적 정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작용했다. 한국에서의 신경쇠약은 이미 1900년대부터 대중매체 등을 통해 등장하기 시작했고, 당대의 정신질환 체계 내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약 광고에서부터 전문가의 기고문에 이르기까지 신경쇠약은 다양한 범주를 포괄했고, 당대의 위생 담론 내에서 예방과 치료의 대상으로 자주 거론되기에 이른다. 이는 신경을 하나의 기관으로 간주하고 이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쇠약증을 겪는 일을 피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신경쇠약 개념은 지식층에 의해 새로운 맥락을 획득하게 된다. 정신위생 담론을 거스르고 신경의 피로를 자발적으로 선택함으...
TAG 신경쇠약, 위생, 지식층, 소년, 청춘, 학지광, Nervous Breakdown, Higyene, Intellectuals, Sonyen, Cheongchoon, Hakjigwa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