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시민교육연구10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 도덕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국가 공동체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장수빈 ( Jang Soo B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9] 제51권 제1호, 175~206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은 2015 개정에 따른 초등학교 3~6학년 도덕 교과서에 재현된 국가 공동체의 모습과 애국의 의미를 노먼 페어클러프(Norman Fairclough)의 비판적 담론 분석의 프레임을 활용하여 읽어낸 것이다. 애국심과 애국주의 교육이 교화로 흐를 가능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살펴본 뒤,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 4권의 표지, 텍스트, 삽화를 장르, 담론, 스타일로 나누어 언어의 의미 작용(semiosis)과 상호 담론성(interdiscursiveness)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서 대한민국 국가 공동체는 북한과 대조되는 체제의 경제 공동체, 다문화주의를 품은 원초적 민족 집단으로 정체화되고 있었다. 또한, 애국의 의미는 전체를 개인이나 소수자보다 더 우선하는 위치에 놓는 것, 외세로부터 나라를 지키는 것...
TAG 국가 공동체성, 애국주의, 비판적 담론 분석, 초등 도덕 교과서, national identity, patriotism, critical discourse analysis,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
집단적 맥락에서 바라본 따돌림 양상 및 개선방안
전자배 ( Chun Jab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9] 제51권 제1호, 207~23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과 사회과교육의 통섭적 접근을 통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작동하는 또래집단규범의 영향력을 살펴보고, 다수의 무지로 인해 집단따돌림 현상이 심화되는지 확인 하였다. 조사 결과, 학급 내 집단따돌림 상황에서 강화자·방관자로 행동하는 절반 이상의 학생들은 학급 내 따돌림 상황에 대해 낮은 수준의 허용적 태도(높은 수준의 부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이 학생들은 학급 내 따돌림에 찬성하는 규범이 존재한다고 인지하여, 본래 따돌림에 찬성하지 않으면서도 따돌림을 지속시키는 방향으로 행동하고 있었다. 그리고 다수의 무지가 존재하는 경우(학생들이 실제보다 학급 내 따돌림에 허용적인 집단규범이 존재한다고 과대평가하는 경우), 집단따돌림을 보다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학생들은 행동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규범에 대한 학생들의 잘못된 인식을...
TAG 집단따돌림, 집단규범, 규범적 동조, 다수의 무지, 사회규범 접근법, 주변인, school bullying, peer group norms, normative conformity, pluralistic ignorance, social norms approach, bystanders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저출산·고령화 내용 분석
정문성 ( Jeong Moon Seong ) , 김경모 ( Kim Kyung Mo ) , 박기범 ( Park Kee Burm ) , 설규주 ( Seol Kyu Joo ) , 전영은 ( Jeon Young 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9] 제51권 제1호, 239~273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저출산·고령화 현상을 2015 개정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는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대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7개의 일반적 분석준거와 4개의 내용 주제 분석준거를 사용하여 16개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 성취기준, 성취기준 해설 등에 적합하게 기술되었지만 일부는 부정확한 표현들이 발견되었다. 둘째, 사실 위주의 다양한 자료를 제시하였지만 가치의 문제, 정책의 문제 등을 탐구하기에는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셋째, 일부 저출산·고령화 관념 개념이 정확하게 드러나지 않았으며 관련 개념들이 혼재되어 사용되었다. 넷째, 모든 교과서가 저출산·고령화의 부정적인 측면을 언급하는 한편, 긍정적인 측면은 언급하지 않았다. 다섯째, 저출산·고령화의 대응 방안으로 경제적, 사회적, 정책적 측면을 다루었...
TAG 저출산·고령화, 중학교 사회 교과서, 내용 분석, low fertility, aging,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textual contents
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시민성 교육에의 함의
최문선 ( Choi Moonsun ) , 박형준 ( Park Hyung Jo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9] 제51권 제1호, 275~310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예측 변수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시민성은 5가지 하위 요인, 기술적 인터넷 활용 능력, 지역사회 및 글로벌 쟁점에 대한 민감도, 온라인상 의사소통 및 협업, 비판적 관점, 인터넷 정치참여로 정의하였다. 예측 변수는 총 4가지로 교사 개인, 시민성 교육, 인터넷 사용, 그리고 심리학적 변인(인터넷 효능감/불안)으로 구성하였다. 최문선·박형준(2015)이 개발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를 사용하여 전국 단위의 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기술 통계, 분산 분석, 상관분석, t-검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 개인 변인 중 교원조직 가입여부, 시민성 수업 관련 변인 중 예비교사 시절 시민성 관련 수업 수강 경험과...
TAG 디지털 시민성, 인터넷 효능감, 시민성 교육, 교사 교육, digital citizenship, internet self-efficacy,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 education
학회지 목차 일람 (제1집, 1972~제50권 4호, 2018)
한국사회과교육학회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9] 제51권 제1호, 311~345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디지털 시민성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예측 변수를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디지털 시민성은 5가지 하위 요인, 기술적 인터넷 활용 능력, 지역사회 및 글로벌 쟁점에 대한 민감도, 온라인상 의사소통 및 협업, 비판적 관점, 인터넷 정치참여로 정의하였다. 예측 변수는 총 4가지로 교사 개인, 시민성 교육, 인터넷 사용, 그리고 심리학적 변인(인터넷 효능감/불안)으로 구성하였다. 최문선·박형준(2015)이 개발한 한국형 디지털 시민성 척도를 사용하여 전국 단위의 교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기술 통계, 분산 분석, 상관분석, t-검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사 개인 변인 중 교원조직 가입여부, 시민성 수업 관련 변인 중 예비교사 시절 시민성 관련 수업 수강 경험과...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시민’ 어휘 분석
김경은 ( Kim Kyoung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8] 제50권 제4호, 1~22페이지(총22페이지)
최근 정치 제도적 완성의 차원보다 사회적 통합 차원에서 시민교육에 대한 강화가 요청되고 있고 사회과는 학교시민교육을 담당하는 대표적인 교과라는 점에서 해당 교육과정에서 시민교육의 핵심이 되는 ‘시민’이 어떻게 규정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에 사회과 교육과정 문서 속에 나타난 ‘시민’의 어휘 분석을 통해 해당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시민’의 의미를 확인하였다. 연구를 위해 6차 사회과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언어학에 기반한 코퍼스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시민’ 어휘의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 콘코던스 분석을 실행한 결과, ‘시민’ 및 관련 어휘로 20종의 단어가 나타났고 시기별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시민’, ‘민주 시민’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세계 시민’은 7차 교육과정부터 나타...
TAG 시민, 시민성, 시민교육, 사회과 교육과정, 코퍼스 분석, citizen, citizenship, citizenship educat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corpus-based analysis
정치교육의 재구조화 방안 - 입법 중심의 고등학교 『정치와 법』
김명정 ( Kim Myung-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8] 제50권 제4호, 23~48페이지(총26페이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정치와 법은 교육과정 시기별로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정치』와 『법과 사회』로 분리되었다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법과 정치』로 다시 통합되었다. 최근 개정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정치와 법』으로 과목 명칭을 바꾸었지만, 기본적으로 정치와 법 내용이 반으로 분할된 형태의 과목이다. 이러한 형태의 통합을 특징으로 하는 『정치와 법』과목은 내용의 분절성, 학습 요소의 과다와 같은 문제로 인하여 비판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그러한 결함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입법교육을 통합의 준거로 삼는 새로운 『정치와 법』내용 체계를 제안한다. 입법을 중심에 둔 교육과정은 정치학과 법학으로 구분된 현행 교육과정을 유기적으로 재구조화하기에 적합하고, 학생들의 참여 경험을 촉진함으로써 인지적 학습은 물론, 가치와 ...
TAG 고등학교 『정치와 법』,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치교육, 법교육, 입법교육, 교육과정 통합, High School 『Politics and Law』,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Political Education, Law-Related Education, Legislative Education,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시민교육 관점에서 본 쟁점 중심 교육의 의의와 전략
노경주 ( Roh Kyungjoo ) , 강대현 ( Kang Dae-hy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8] 제50권 제4호, 49~76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교과 및 학문 중심 교육에 대응하여 쟁점 중심 교육이 시민교육 관점에서 지닌 의의를 재조명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사회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쟁점중심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소위 쟁점 중심 교육은 시민이 실제 정치과정에서 쟁점을 다루는 집단적 의사결정 과정을 그대로 교육 현장에 적용한 것이다. 따라서 쟁점 중심 교육은 현대 사회에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실질적인 시민교육의 내용이자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행 사회과교육은 교과 및 학문 중심으로 전개되어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시민교육에 실패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사회과와 도덕과의 분리로 인해 심화되는 측면이 있다는 점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종합적이고 전인적인 시민교육의 대안으로 쟁점 중심 교육이 지닌 가치를 설명하고, ...
TAG 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 쟁점 중심 교육, 시민 교과목, citizenship educat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sues-centered education. citizen subject
사회과 이슈 스토리 기반 학습 자료 개발
박윤경 ( Park Yun-kyoung ) , 박정서 ( Park Jungsu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8] 제50권 제4호, 77~101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초·중등 학생들의 민주 시민성 증진을 위해 사회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슈 스토리에 기반 한 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슈 학습 관련 국내외 문헌검토를 바탕으로 이슈 주제 영역을 설정하고 학습 자료를 개발한 후, 예비 적용 및 전문가 자문을 거쳐 자료의 적용 가능성 및 타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이슈 영역별로 각각 초등용 10개와 중등용 10개씩 총 20개의 자료를 개발하였다. 이슈 스토리 기반(Issue-story based) 학습 자료는 크게 자료 정보, 이슈 스토리 및 이슈 관련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슈 스토리는 하나의 이슈에 대한 등장인물들 간의 대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슈에 대한 배경 정보와 대립적인 관점을 포함한다. 이슈 스토리 기반 학습 자료는 우리 사회의 이슈를 등장인물의 입장...
TAG 사회과 이슈 중심 학습, 이슈 스토리 기반 학습 자료, 정치·사회적 이슈, 이슈대화 및 토론, 민주 시민성, Issue-center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ssue-story-based learning materials, Political and social issues, Issues conversation and discussion, Democratic citizenship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나타난 사회과 통합형 문항 분석 -대학수학능력시험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배화순 ( Bae Hwasoon ) , 송성민 ( Song Seong-min ) , 김재근 ( Kim Jaege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18] 제50권 제4호, 103~12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통합형 문항 분석을 바탕으로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과 영역 출제 문항과 비교함으로써 사회과 통합형 문항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관련 문항 개발 및 평가 방향 구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4년부터 2018년까지 시행된 중학교 3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을 분석하고 이를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형 문항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성취도 평가의 전체 문항 대비 통합형 문항의 비율은 연도별로 약 20% 내외 수준이며, 이는 초기 수능 문항의 통합형 문항 비율에 비해 대체로 높게 나타난다. 둘째,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통합 유형은 통합소재형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는 통합소재형 문항의 빈도가 가장 낮은 수능과 대비되는 결과이...
TAG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통합형 문항, 사회과 평가, 대학수학능력시험, 평가문항 분석,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tegrated Questions, Social Studies Assessmen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ssessment Questions Analysi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