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시민교육연구10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지지 성향 -정치참여 경험을 한 청소년들의 정치 신뢰가 하락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송두리 ( Song¸ Duri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101~130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정치참여가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경험적인 논의가 그동안 부족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민주주의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민주주의 지지의 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정치참여와 민주주의 지지 성향 사이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민주주의 발전에 핵심적인 지지의 유형과 긍정적 관계에 있는 개인적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정치참여와 정치발전 사이의 관계를 다룬 이론들을 고찰하였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민주주의의 지지 개념을 원칙 차원과 현실 차원으로 나누어서 정치참여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주의 체제 선호가 민주주의 발전에 핵심적이다. 둘째, 정치참여 경향이 강할수록 이상적...
TAG 정치참여, 민주주의 지지, 비판적 시민, 정치교육, political participation, democratic support, critical citizens, political education
윤리적 소비는 합리적 선택의 일환일 수 있는가?
이의원 ( Yi¸ Ui-won ) , 박도영 ( Park¸ Do-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131~151페이지(총21페이지)
통합사회 과목의 교육과정은 ‘합리적 선택’과 ‘윤리적 선택’이라는 개념이 만들어지고 활용되어 온 분야가 상이함에도 이를 기계적으로 연결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에게 혼란을 불러올 수 있도록 서술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합리적 선택’과 ‘윤리적 선택’의 관계를 재구성하여 윤리적 소비 또한 합리적 선택의 일환일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합리적 선택이 이기적인 선택이 아니라 주어진 선호를 극대화하기 위한 도구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한 선택이라면 타인과 공동체를 고려하는 사회적 선호도 합리적 선택의 동기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사회적 선호를 바탕으로 한 윤리적 선택 또한 극대화의 대상이 될 수 있다면 윤리적 소비 또한 합리적 선택의 일환일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TAG 합리적 선택, 사회적 선호, 윤리적 선택, 윤리적 소비, rational choice, social preference, ethical choice, ethical consumption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운영 현황 분석 -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주주자 ( Ju¸ Juj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153~188페이지(총36페이지)
본 논문은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운영교를 대상으로 사회 교과특성화학교의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 현황을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계획서를 분석하고, 교원과 학생 면담을 통해 운영 현황에 대해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와 국제화 교과특성화학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특성화 과목으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일반선택뿐만 아니라 진로선택, 교양교과, 전문교과가 다수 개설되었으며, 개설학년과 단위 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선택과목은 특히 단위수 격차가 크게 존재하였고 교육과정 다양화를 위해 공동교육과정과 소인수강좌개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면담 결과, 진로선택 과목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학생 활동과 참여중심 수업으로 인한 학생성장효과 및 시민성 함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TAG 사회 교과특성화학교,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기획력, social studies education specialized school,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curriculum planning
박정희 정부 시기 <국민윤리>에 나타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
최선 ( Choi¸ S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189~21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박정희 정부 시기 국민윤리 교과서 속에 나타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에서 권위주의시기에 형성된 국가주의적 이데올로기는 국가발전을 위해 국민동원을 정당화하는 기제로 활용되었다. 박정희 정부는 부족한 정당성을 만회하기 위해 경제발전을 통한 조국 근대화를 가장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고 국민통합을 시도하는 수단으로 교과서를 활용했다. 박정희 정부는 국민윤리 교과서를 활용하여 반공이데올로기를 강화하고 근대화 및 국가발전을 강조하거나 10월 유신을 합리화했다. 1963년부터 시작된 제2차 교육과정기에는 종전의 사회과에서 ‘도덕’으로 지도하던 것을 ‘국민윤리’로 개칭하고 ‘우리 국민윤리’와 ‘근대화’ 등의 내용이 새롭게 등장하였고, 국민교육헌장이 선포된 1968년 이후에는 국민교육헌장의 이념과 근대화, 민족중흥 등이 본격적으로...
TAG 박정희 정부, 국민윤리, 국가주의, 이데올로기, 교과서, Park Chung Hee administration, national ethics, nationalism, textbook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실시된 중학교 사회과 원격수업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황미영 ( Hwang¸ Mi-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211~24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사회과 원격수업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0년 4월부터 10월까지 서울 소재 중학교에서 실시된 사회과 원격수업을 관찰하고 교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사회과 교사들은 주로 영상콘텐츠와 과제를 융합한 콘텐츠 활용 중심 수업을 실시하고 있었다. 둘째, 사회과 원격수업은 수업의 각 단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교사들은 교수-학습 시작 단계에서 학생들의 흥미유발을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사회과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수업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넷째, 사회과 교사들은 실시간 쌍방향 수업, 다양한 온라인 참여형 기술 도구를 수업에 활용하는 등 조금씩 성장하였으며, 이는 사회과 교사 협의회를 통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충분한 준비 없이 갑작스럽게 실...
TAG 원격수업, 온라인 수업, 사회과, 코로나19 팬데믹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정치학 : 보수·진보 진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 (2003-2020)
박상영 ( Park Sang-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1~33페이지(총33페이지)
본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우리사회의 보수와 진보 정부들이 각각 실행해온 민주시민교육 정책의 차이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 정부들에서 실행된 범교과적 민주시민교육 정책들과 개별 교과목으로서 민주시민교육 관련성이 가장 높은 사회과 교육 정책들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보수와 진보진영의 민주시민교육 정책은 정치적 지향성, 내용과 범위, 그리고 실행 방식과 주체 면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보수진영의 민주시민교육 정책은 개인의 인성 강화를 강조하고, 경제 및 근·현대사 관련 교과의 중요성을 제기하면서, 이를 위한 국가의 역할과 개입 정도가 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반면 진보진영의 민주시민교육 정책은 참여적 시민성을 추구하며, 다소 광범위한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동시에 이를 실현하기 위한 지역 시·도 교육청의 역할이 두드러지고 있다. 민주시...
TAG 민주시민교육, 인성교육, 사회과 교육과정, 역사교과서, 보수와 진보,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character education, social studies curriculum, history textbooks,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2015 개정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갈등’ 내용 분석
박새롬 ( Park Sae-rom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35~62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 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갈등’ 내용을 분석하여, 사회과 갈등해결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갈등 서술 방식, 갈등의 유형 및 사례, 갈등 관련 활동으로 구분하여 갈등 내용의 타당성, 현실과의 일치성, 행위성 등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갈등에 대한 직접적인 서술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부마저도 갈등을 부정적 현상으로 기술하였다. 둘째, 갈등의 사례로는 이해관계 갈등이나 대등한 주체 간 갈등, 전통적으로 강조되어온 갈등 사례가 주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갈등 관련 활동유형으로는 이해 활동이나 갈등관리과정의 일부만을 경험할 수 있는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이는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 갈등에 대한 개념이나 사례 등을 제한적이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갈등해결능력을 함양하는 데 제약...
TAG 사회과 갈등해결교육, 사회 교과서, 갈등, 갈등 관리, 갈등해결교육,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in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textbook, conflict, conflict management,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중학생 학업성취 분석 : 2015∼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성경희 ( Sung Kyunghe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63~89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 및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따라 4년간(2015∼2018년) 출제된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및 결과를 분석하여 성취수준 집단별로 성취기준 숙달여부를 파악하였다. 즉 각 성취기준을 어느 학력 수준의 학생들까지 숙달하였는지 분석한 후, 내용타당도(CVR), 합의도 등의 통계 분석을 활용하여 포커스 그룹을 대상으로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우수학력 학생들조차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의 비율이 사회 문화(10%)보다 경제(33%), 정치(50%) 영역에서 더 높게 나타나 이 영역들에 대한 학생의 성취가 상대적으로 저조하였다. 경제 영역에서는 수요 공급 변화 관련 성취기준에서 수요 공급 곡선을 직접적으로 ...
TAG 사회과 교육과정, 학업성취도 평가, 성취기준, 사회과 평가, 사회 학업성취, social studies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ocial studies assessment
무상의무교육 관점에서 재외 한국학교의 법제 분석 -재외국민교육법의 위헌성 및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송성민 ( Song Seong-min ) , 박성혁 ( Park Sung-hyeok ) , 최윤경 ( Choi Yoon Kyung ) , 김경래 ( Kim Kyong R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91~11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재외 한국학교에 재학하는 재외국민 자녀에게도 국내와 동일하게 무상의무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재외 한국학교는 헌법, 교육기본법, 재외국민교육법에 근거를 두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규교육기관이며, 재학생인 재외국민의 자녀 또한 대한민국 국민으로 당연히 헌법상 기본권의 주체가 된다. 그러나 해외에 소재하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불합리하게 무상의무교육의 사각지대에 놓여 소외되고 있어 위헌 소지가 있다고 본다. 이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우선 의무교육의 법적 개념과 특성을 고찰해 보았고, 이를 통해 의무교육에 대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확인하였다. 나아가 의무교육의 무상성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무상교육에 대한 학설, 법령, 세계적 추세를 분석하여 무상의무교육의 기준과 원칙을 정립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원칙에 입각하여 한국...
TAG 재외 한국학교, 재외국민교육법, 의무교육, 무상교육, 교육기본권, 재외국민, overseas Korean school, Act on the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Korean Nationals, Overseas Korean Nationals Education Act, compulsory education, free education, fundamental rights of education, overseas Korean nationals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와 현황에 대한 분석
송현정 ( Song Hyun-jung ) , 강대현 ( Kang Dae-hyun ) , 박주현 ( Park Joohy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119~154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는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민주적인 정치 과정과 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 학교에서 시민교육을 제도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부터 청년층의 낮은 투표율 등으로 민주주의 위기가 감지되고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자국 내의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학교 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영국에서는 크릭 보고서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과 핵심 요소를 정하고, ‘시민교육’ 교과목을 구심점으로 교과 및 교과 외 활동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기존의 사회적 전통에 따라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TAG 시민교육, 영국 시민교육, 시민교육 제도화, 학교 시민교육, 학교 밖 시민교육, citizenship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UK, public education,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resources outside of schoo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