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시민교육연구10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사회과에서 사회 공연론적 접근이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와 적용 방안
은지용 ( Eun¸ Ji-y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156~187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사회적 공연 접근이 시민교육에 주는 함의와 적용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공연 접근은 사회적 쟁점 사건과 관련된 사회적 행위자들의 의도, 대중 설득을 위한 공연 과정에 관여되는 정치 권력 및 경제적 이해관계 세력의 영향, 대중의 관람을 유도하는 미디어의 역할, 구조적 수준의 문제가 개별 시민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등을 비판적·종합적으로 통찰하는 안목을 제공한다. 사회 문제나 이슈에 대한 비판적 인식 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과의 성격을 고려할 때, 사회적으로 쟁점이 되는 사건의 구조와 양상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사회적 공연 접근을 사회과 교수·학습 활동 및 이와 연관된 교재구성의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
TAG social performance, social drama, civic education, social studies education, social studies textbook, 사회적 공연, 사회적 드라마, 시민교육, 사회과 교육, 사회과 교재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이바름 ( Lee Bareum ) , 정문성 ( Jeong Moonseo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187~212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인식조사를 통해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의 현황을 확인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초중등교사 2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의 실천은 어려우나 필요성, 중요성, 효과성, 학생의 반응은 긍정적이라고 인식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는 학생들의 일상생활 관련이슈와 역사적 평가 등 논쟁성이 낮은 주제를 많이 다루었으며 중등교사는 사회적 이슈와 인권 등 논쟁성이 다소 높은 주제를 다루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토론수업에서 교사의 입장으로 공정한 중립형과 공정한 참여형을 가장 선호하고 실제 수업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보이나 하나 어느 한 가지 입장만을 고수하기 보다는 교실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입장을 선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와 비교해볼 때 토론수업에서 ...
TAG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 교사 역할, 교사 인식, social studies, controversy, debate class, teacher role, teacher perception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영역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분석 : 성취 상위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소연 ( Lee So Yeon ) , 구남욱 ( Koo Nam Wook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213~237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영역 결과에 나타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특성을 성취 상위국인 일본, 에스토니아, 캐나다, 핀란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상위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학생 비율과 평균 점수, 그리고 하위 성취수준에 해당하는 학생 비율과 평균 점수가 모두 5개국 중 가장 낮았다. 이에 성취수준별로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추가 분석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남녀학생 간 평균 점수 차이가 큰 편이며, 상집단 보다는 중집단과 하집단에서 남녀 학생 간 평균 점수 차이가 더 컸다. 따라서 협력적 상황에서 남학생의 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의 협력적 문제해결력 영역 성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 ESCS’...
TAG PISA 2015, 협력적 문제해결력,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국제 비교 연구,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사회지배성향과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미치는 영향 : 이방인에 대한 공감의 매개효과
황미애 ( Hwang¸ Mi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239~270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지배성향과 미디어 노출이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이방인 혐오)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 사회지배성향·미디어 노출과 제노포비아 간 관계에서 이방인에 대한 공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도의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41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바론과 케니(Baron & Kenny, 1986)의 3단계 검증 절차 및 PROCESS Macro 3.3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지배성향은 청소년의 제노포비아에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이방인 관련 긍정적 미디어 노출은 제노포비아를 완화한 반면, 부정적 미디어 노출은 제노포비아를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지배성향이 제노포비아에 ...
TAG 제노포비아, 이방인 혐오, 사회지배성향, 미디어 노출, 공감, 청소년, xenophobia, social dominance orientation, media exposure, empathy, adolescent
중·고등학생의 학급임원 경험 유형과 특성 : 학생 자치활동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황미영 ( Hwang¸ Mi-yo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3호, 271~300페이지(총30페이지)
학급임원은 학급 동료들의 직접 투표에 의해 선출되어 학교와 관련된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함으로서 학생 자치활동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급임원들이 자신의 역할을 어떻게 인식하고,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무엇을 느끼고 경험했는지 깊이 있게 탐구하지 못한 측면이 있다. 본 연구는 주관성 검증 방법인 Q 방법론을 활용하여 중·고등학생들의 다양한 학급임원 경험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고등학생들의 학급임원 경험 유형은 총 5개로 분류되었다.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학생 자치로 나아가지 못한 학급 봉사자’, ‘수동적인 교사 보조자’, ‘사회적 인정 지향 지도자’, ‘참여과정에서 좌절의 경험을 가진 학급 대표자’, ‘신뢰와 정치 참여 의지를 함양한 학생 대표자’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학급임원이 된 동기나 역할수...
TAG 학급임원, Q 방법론, 학생 자치, 자치활동, class executives, Q methodology, student autonomy,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ies
공론화를 적용한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방안 -숙의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을 지향하며-
구정화 ( Koo Jeonghw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2호, 1~2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숙의 민주주의에 기반을 둔 공론화를 적용하여 사회적 합의를 강조하는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은 민주시민 양성을 위한 역할을 하지만, 더하여 시민사회에서 강조하는 합의적 의사소통을 학생이 경험할 수 있도록 공론화를 적용한 수업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다. 우선 기존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의 특징을 분석하고, 숙의 민주주의에서 강조하는 공론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론화를 적용한 논쟁문제 수업방안으로서 아홉 단계의 수업 과정과 그에 따른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논쟁문제를 제시하고 학생의 의견을 파악한다. 둘째, 협동 모둠을 구성한다. 셋째, 논쟁문제에 대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파악하게 한다. 넷째, 모둠별로 논쟁문제자료를 검토하게 한다. 다섯째, 모둠 내에서 논쟁문제 관련 자유로...
TAG 공론화,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 토론, 민주시민교육, deliberation, social studies, controversial issues classes, discuss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선거법 개정에 따른 교과서의 선거교육 내용 진단
김명정 ( Kim Myung-jung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2호, 27~45페이지(총19페이지)
선거는 민주주의의 핵심적인 제도이기 때문에 정치교육에서도 중요한 내용 요소로 다루어 진다. 선거교육은 유권자가 경험하게 될 현행 선거제도를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러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선거교육이 과연 현행 선거제도를 이해하는 데 적합한가를 살펴보았다. 특히 선거법 개정으로 인한 두 가지 중요한 변화인 선거 연령 18세 하향 조정과,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국정인 초등학교 『사회』와 검정인 중학교 『사회』8종 교과서에는 구체적인 선거제도에 대한 내용은 없었다. 대신 보통선거를 설명하는 내용에서 선거권 연령을 19세로 표기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수정은 필요하다. 분석의 주요 대상인 고등학교 『정치와 법』에서는 선거법 개정 이전의 제도는 모두 다루고 있지만 새로 도입된...
TAG 선거교육, 초등학교 『사회』, 중학교 『사회』, 고등학교 『정치와 법』, 공직선거법, 선거 연령 18세, 연동형 비례대표제, election education,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high school 『Politics and Law』textbook, election law, voting age 18, mixed member proportional electoral system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시기별 학술 담론의 특징 분석 -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를 중심으로 -
김재우 ( Kim Jaew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2호, 47~90페이지(총44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과정을 주제로 한 학술 담론들이 7차 이후의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어떤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가를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총 1,471편의 학술지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잠재 디리클레 할당과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학술 담론의 주제와 의미 구조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총 18개의 잠재 토픽을 발견하였고, 각 토픽이 교육과정 시기에 따라 어떤 변화 양상을 보이는가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각 교육과정 시기별 핵심 키워드들의 연결망 구조도 파악하였다. 특히, 각 교육과정 시기마다 높은 출현비중을 나타내면서 꾸준하게 논의되는 담론 주제들을 발견하였으며, 동시에 특정 교육과정 시기에 두드러지는 담론 주제들을 확인하였다. 또한 핵심 키워드들이 형성하고 있는 담론의 의미 구조도 각 교육과정 시기별로 차이가 발생하였...
TAG 사회과 교육과정, 학술 담론, 텍스트 마이닝, 잠재 디리클레 할당, LDA, 의미 연결망 분석, social studies curriculum, academic discourse, text mining,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semantic network analysis
듀이의 ‘반성적 사고’의 의미와 사회과교육에의 적용
김찬미 ( Kim Chanmi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2호, 91~112페이지(총22페이지)
헌트와 메트칼프(1968)는 듀이의 반성적 사고를 적극적으로 사회과교육에 적용하였는데, 이들은 반성적 사고를 실증주의적 사고로 해석하고 있다. 실증주의적 사고는 가치 용어를 측정가능한 조작적 용어로 환원시키며, 환원될 수 없는 가치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 또한 이 문제는 학문과 경험의 분리라는 더 뿌리 깊은 이론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 위싱크』, 『경험으로서 예술』등 듀이의 다양한 저작들을 검토해보면, ‘반성적 사고’는 실증주의적 사고가 아니라 논리적 진술과 사실 확인을 특징으로 하는 ‘과학적 사고’와 언어로 다 담을 수 없는 구체적인 대상의 질성을 포착하는 ‘질성적 사고’가 통합된 사고이다. 반성적 사고내에서 과학적 사고와 질성적 사고는 둘 다 중요하며, 서로가 서로에게 의존한다. 듀이의 반성적 사고를 이렇게 해석하면, 구체적인 ...
TAG 반성적 사고, 실증주의적 사고, 과학적 사고, 질성적 사고, 가치 탐구, 학문과 경험의 연결, reflective thinking, positivistic thinking, scientific thinking, qualitative thinking, value inquiry, linkage between discipline and experience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자아 정체성에 대한 비판적 연구
박선운 ( Park Sun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2호, 113~154페이지(총42페이지)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국가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자아 정체성 확립을 중요한 교육 목표 중 하나로 언급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교육 내에서 이에 대한 논의는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서 자아정체성의 ‘어떠한’ 내용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자아 정체성을 설명하는 세 가지 이론인 일반 정체성 이론(identity theory), 사회 정체성 이론(social identity theory), 개인 정체성 이론(personal identity)을 살펴본 후, 세 이론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집필된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자아 정체성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서 자아 정체성은 포괄적이고, 비구체적...
TAG 자아 정체성, 일반 정체성 이론, 사회 정체성 이론, 개인 정체성 이론,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 self-identity, identity theory, social identity theory, personal identity theory,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