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시인의 궁달(窮達)과 시의 공졸(工拙)의 관계에 대한 논의 연구 -조선 후기 논의를 중심으로-
안순태 ( Soon Tae An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1] 제19권 319~342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시능궁인, 詩能窮人, 시궁이후공, 詩窮而後工, 구양수, 歐陽修, 궁달, 窮達, 공졸, 工拙, Poetry impoverishing poets, Getting to the bottom and being versed in poetry, Ou Yangxiu, impoverishment, advancement, achievement of poem
기획주제: 18세기 한국한시의 다양성 : 18세기 초 문인의 은둔자적 생애와 시적 표현
이경수 ( Kyung Soo Lee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5~28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18세기, 인둔, 이만부, 권구, 윤동수, 이하곤, 김원행, 우음, 偶吟, 재야학자, 당쟁, 18th century, hermic Life, Lee man-Boo, Kweon Koo, Yoon Dong-Soo, Lee Ha-Gon, Kim Won-Haeng, exile Life, Sino-Korean Poetry, political rivalry turmoils
기획주제: 18세기 한국한시의 다양성 : 김창업(金昌業)의 채소류 연작시(連作詩)와 조선 후기 한시사(漢詩史)의 한 국면
이종묵 ( Jong Mook Lee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29~54페이지(총26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김창업, 金昌業, 화훼연작시, 花卉連作詩, 채소연작시, 菜蔬連作詩, 식생활, 食生活, 허목, 許穆, 이만부, 李萬敷, 신경준, 申景濬, 신후담, 愼後聃, 김려, 이학규, 李學逵, 박윤묵, 朴允默, Kim Chang-eub, series-poem of flowers and ornamentals, series-poem of vegetables, dietary Life, Heo Mog, Yi Man-bu, Sin Hu-dam, Kim Rye, Yi Hag-g
기획주제: 18세기 한국한시의 다양성 : 국포(菊圃) 강박(姜樸)의 상고적(尙古的) 시세계
부유섭 ( Yoo Seob Bu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55~81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국포강박, 菊圃姜樸, 근기남인, 近畿南人, 의고시, 擬古詩, 고시, 古詩, 민풍, 民風, 상고, 尙古, 표절, Gukpo Gang Bak, Imitation, archaistic poem
한시(漢詩)에서 “언외지의(言外之意)”의 개념과 그 구현 원리에 대하여
구본현 ( Bon Hyeon Gu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83~110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한시, 漢詩, 언외지의, 言外之意, 함축, 含蓄, 상징, 象徵, 생략, 省略, Classical Chinese Poetry, “Eonoejiui”, Implication, Symbols, Omission of Information
새해맞이 한시 연구 -설날 의례와 풍속 관련 한시를 중심으로-
성범중 ( Beom Joong Seong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111~156페이지(총46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설날, 세시풍속, 매곤, 賣困, 매치, 賣癡, 매용, 賣傭, 매서, 賣暑, 문안비, 問安婢, 피사, new Year`s Day, annual customs of several seasons, selling tiredness, selling stupidness, selling Laziness, selling the canicular hear, Say-hello-maidservant, evil expulsion
선시(禪詩)를 통한 깨달음의 계합(契合) -한국(韓國) 선승(禪僧)의 정로게(呈露偈) 및 전법게(傳法偈)를 중심(中心)으로-
조상현 ( Sang Hyun Jo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157~192페이지(총36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자각, 自覺, 불심, 佛心, 계합, 契合, 정로게, 呈露偈, 전법게, 傳法偈, 념화미소, 拈花微笑, 한국 선시, 韓國 禪詩, 려말삼사, 麗末三師, 덕산선감, 德山宣鑑, 향엄 지한, 香嚴 智閑, enlightenment, Buddha`s mind, communication, Jeongroge, jeonbeopge, Yeomhwamiso, Korean Seon poems, yeomal-samsa, Deoksan-seongam, Hyangeom-jihan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 시(詩)의 표현(表現) 양상(樣相)과 미의식(美意識)
김종서 ( Jong Seo Kim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193~229페이지(총37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삼봉, 三峯, 정도전, 鄭道傳, 정경교융, 情景交融, 호방, 豪放, 당풍, 唐風, 함축, 含蓄, 언외지의, 言外之意, 흥취, 興趣, SamBong, Jeong Do-jeon, Unifying the Scenery and Feeling, Audacity, Dang Style, Suggestiveness
성수시화(惺수詩話)의 비평양상(批評樣相)
박수천 ( Soo Cheon Park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231~257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시균, 詩筠, 성수시화, 시사, 詩史, 작가선택, 作家選擇, 작품선택, 作品選擇, 당풍, 唐風, Heo-gyun, Seongsoosihwa, History of sino-korean poems, Selection of artist, Selection of work, T`ang Style
옥소(玉所) 권섭(權燮)의 기행시문(記行詩文) 연구
강혜선 ( Hye Sun Kang )  한국한시학회, 한국한시연구 [2010] 제18권 259~287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는 시인의 窮達과 시의 工拙의 관계에 대해 조선 후기에 이루어진 논의의 양상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이른 시기부터 시가 시인을 곤궁하게 한다는 ``詩能窮人``의 說이 통용되다가 구양수에 의해 그것이 부정되고 시는 곤궁함을 겪고 나서야 더욱 좋아진다는 ``詩窮而後工``說이 부각되면서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해 집중적인 관심을 보였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李穡등이 관심을 환기한 이래 조선 후기에 이르기까지 여러 문인들이 이 문제에 대한 논의를 이어갔다.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 ``詩能窮人``說을 부정하는 데서 출발한다. 본고에서는 ``詩能窮人``說을 어떠한 논리로 부정했는가에 따라 조선후기에 이루어진, 시인의 궁달과 시의 공졸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 양상과 그 특징을 다음과 같...
TAG 권섭, 『옥소고』, 기행시문, 경화사족, 향촌사족, 산수미, Kwon Seop, Oksogo, the collection of Kwon Seop`s work, travel notes and poetry, the nature`s beau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