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어의 근사 유의어와 준유의어 설정 시고- ‘틈/겨를’과 ‘까닭/때문’의 예를 중심으로 -
이영제 ( Lee Youngj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20권 119~146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의미 변화에 따라 유의 관계가 변화하면서 의미적으로나 분포적으로 非전형적인 유의 관계에 놓여 있는 유의어들을 대상으로 하위 분류를 시도하였다. 유의 관계를 보이는 조건을 의미([+유의])와 분포([+교체])에 따라 나누고, 각각의 조건에서 유의 관계를 보이는 경우와 아닌 경우로 구별하여 유의 관계와 非유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의미상 유의 관계를 보이면서 유의어로서 분포적으로 제한적인, 그러나 상대적으로 제한의 정도가 약하여 대체가 가능한 유형들을 근사 유의어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반면에 분포적으로 극히 제한적이어서 대체 가능성이 불가능에 가까운 유형을 준유의어로 보고자 하였다. 전자에 속하는 유형으로 종전에 일반적 유의 관계로 다루어지던 ‘틈/겨를’의 분포 양상을 검토하였고, 후자의 유형으로 종전에 유의...
TAG 근사 유의어, 준유의어, 유의 관계, 교체, 유의어의 분류 체계, Near-Synonyms, Quasi-Synonyms, Synonymy, Substitution, Classification of Synonyms
중급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하채현 ( Ha Chae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20권 199~229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어 어휘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를 위하여 출간된 어휘 교재를 분석하고 어휘 교재의 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개발된 어휘 교재 모델은 전략적인 어휘 학습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어휘 학습을 위한 제시 방법으로 연상, 기억, 추론 작용을 활성화하는 ‘텍스트 기반’의 주제별 어휘 학습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텍스트 기반의 어휘 교재는 다음과 같은 강점이 있다. 첫째, 어휘 지식 안에 포함된 문화 지식을 자동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어휘 사용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둘째, 어휘 학습 전략을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학습자 중심의 정격적인 어휘 학습이 가능하다. 셋째, 특정 어휘가 포함된 문형을 가르쳐서 학습자가 어휘와 문법을 분석적으로 이해하며 나선형 학습을 할 수 있다. 본고는 중급 한국어 학습자...
TAG 중급 한국어, 어휘 교재, 학습 전략, 텍스트 기반의 주제, 문화 지식, 나선형, 한국어 Ⅱ, intermediate-level Korean, vocabulary textbooks, learning strategy, thema of text-based, cultural knowledge, spir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Ⅱ
국어교과서에서 문학 제재의 위상과 중요성
정재림 ( Jai Rim J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1~22페이지(총22페이지)
교과서에 문학성을 갖춘 작품, 문학사적 가치가 있는 작품이 실어야 한다는 묵계가 오랫동안 지켜져 왔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이후, 정전에 대한 비판이 본격화되면서 교과서 수록 제제에 대한 반성적 검토가 시작되었고, 이로 인해 제재 선정의 기준이 상당히 완화되었다. 대중문화와 매체를 적극 활용해야한다는 ‘현실론’과 문학성을 갖춘 문학텍스트를 실어야 한다는 ‘원칙론’은 교과서 구성에서 절충을 보이고 있는 듯하다. 본문의 바탕글에는 문학텍스트가 실리고, 도입이나 학습활동에서는 대중가요나 학생작품 등이 활용되는 식이다. 그런데 이 같은 이원화된 배치가 문학텍스트의 위상 약화를 초래한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즉 지식, 개념 이해나 표현하기 활동이 중요하게 다루어지면서, 오히려 문학텍스트 이해와 감상이 뒷전으로 밀리게 된다는 것이다. 기존의 정전이 심각한...
TAG 국어교과서, 문학텍스트, 교과서 구성의 이원화, 고전 목록, 박완서 소설, Korean Textbook, Literature Text, Dual of Textbook, List of Classic, Park Wan Seo`s works
고전문학교육과 텍스트 해석의 문제 -2009 개정 문학교과서 소재 사설시조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윤섭 ( Yun Seop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23~44페이지(총22페이지)
하나의 텍스트가 적지 않은 교육적 의미들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해석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어떤 측면에서는, 텍스트와 연계된 수다한 문제들 중 텍스트에서 어떤 의미를 뽑아내는 해석적 차원의 문제는 텍스트를 선정하는 이념적 차원의 문제나 텍스트의 물리적 성격을 논하는 문제들에 우선한다. 고전문학 텍스트는 어떻게 해석될 때 보다 나은 교육적 가치를 지닐 수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2009 개정 문학교과서에 소재한 사설시조 작품들을 통해 이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명을 시도하였다. 문학은 기본적으로 他者의 산물이다. 그럼에도 ‘나’와는 상관없는 문학작품들을 우리가 읽고 감상하는 이유는 평생을 통해 경험할 수 있는 경험의양이 지극히 제한적이어서 ‘나’라는 한정된 세계를 확장하기 위해서는 다른사람의 다른 경험을 대신 체험하는 일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TAG 고전문학교육, 텍스트, 해석, 2009 개정 문학교과서, 사설시조, Kor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Text, Analysis, the Revised Literature Text Book of 2009, Saseol Sijo
『꽃과 뱀』의 대중소설적 위상
김영애 ( Young Ae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45~69페이지(총25페이지)
본고는 그간 김말봉 연구에서 배제되었던 장편소설 『꽃과 뱀』(1949)을 원환적 서사구조와 신화적 상징성의 측면으로 접근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꽃과 뱀』이 취하고 있는 원환의 구조는 종교적 구원의 메시지와 긴밀하게 만난다. 즉 원환의 구조 속에서 『꽃과 뱀』의 서사는 운명론적으로 반복, 순환되는 인간의 삶과 그 업보의 윤회를 말한다. 또한 원환적 서사구조는 개별적인 사건들이 지닌 우연성을 하나의 주제로 수렴한다는 측면에서 이 작품이 노정하는 우연성의 과잉이라는 플롯의 결함을 상쇄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꽃과 뱀』은 선악의 대결구도 대신 현실과 운명의 대결구도를 취하고 이를 신화와 종교의 차원으로 넘긴다. 『꽃과 뱀』의 주제와 정조는 철저히 무시간성과 신화·종교적 상징의 차원에 놓인다. 인물들의 합일과 구원욕망은 역사적 현실을 넘어선 유토피아적 공간을 ...
TAG 김말봉, 꽃과 뱀, 운명론, 원환 구조, 원형, 신화적 장치, 상징, 비극성, Kim Mal-bong, The flower and snake, fatalism, structure ofcircle, archetype, mythological set. symbol, tragedy
문학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 "보편성과 특수성" 개념에 관한 연구
조혜숙 ( Hye Sook J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71~96페이지(총26페이지)
연구자는 2015년 고등학교 2학년 문학 수업에서 ‘한국 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과 관련하여 학습 내용의 오류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한국문학의 보편성과 특수성’은 4차 교육과정 이후 지금까지 고등학교 문학 교육과정에서 학습 내용으로 선정되어 왔다. 이 개념은 민족 문학적 관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선정된 것으로, 이는 식민지를 겪은 역사적 경험으로 인해 문학의 자생적 근대화를 설명하고자 하는 연구 결과의 반영으로 교육 과정에 선정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문제는 이 개념이 몇 가지 문제가 있음에도 비판적 검토 없이 학습 내용으로 선정되어 왔다는 것이다. 이 개념이 교과서에 구현되며 나타난 문제는 정확하지 않은 개념 설명, 학습 문제의 무리한 구성,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해 작품을 적절하지 않게 해설하는 문제로 나타남을 확인...
TAG 보편성, 특수성, 교육과정, 성취 기준, 교과서, 구체적 보편, universality, specificity,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extbook, concrete universal
정철의 술회시(述懷詩) 창작에 나타난 자기치유의 효용 탐색
박태진 ( Tae Jin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97~119페이지(총23페이지)
본고는 정철의 술회시 창작에 나타난 자기치유의 효용을 탐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정철은 수학기부터 임종 10일전까지 평생 다양한 종류의 한시를 창작했다. 정치계에 입문한 후 정철은 당쟁으로 인한 시름에서 자유로 울 수 없었고, 시름들을 해소하고자 술회시를 창작했다. 필자는 자기치유의 관점에서 정철의 정치적 문제 관련 술회시 3편을 선정했다. 이후 정철이 이 3편의 술회시를 창작할 때 각 시편마다 토로, 은유, 자부심, 위안, 해명등의 자기치유기제가 발현되어 자기치유의 효용을 보았음을 고찰해 보았다. 이 연구는 현대의 학습자들도 일상생활에서 갖은 시름으로 회포가 쌓일 경우 이를 시의 제재로 삼아 창작할 때 자기치유의 효용을 볼 수 있고 건강한 주체로 성장할 수 있게 한다는 전망을 갖게 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AG 술회시, 창작, 자기 치유, 자기치유의 기제, 자기 치유의 효용, sulhoe poem, creative writing. self-healing, mechanism of self-healing, value of self-healing
시사 토의 담화의 사회언어학적 분석 -사회자의 관여 전략과 토의자의 협력 원리를 중심으로-
이경숙 ( Gyeong Suk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121~160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는 시사 토의 담화를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사회자의 관여 전략과 토의자의 협력의 원리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시사 토의 담화의 특성과 시사 토의 담화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텔레비전에서 방영된 4편의 시사 토의 자료를 전사하여 담화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사회자의 관여 전략으로 ‘절차에 따른 진행, 논지의 명확화, 중립성 전략, 개인적 느낌 제시’가 나타났다. 또 토의자의 협력 원리로 ‘그라이스의 협력 원리 및 브라운과 레빈슨의 예의 이론’의 구체적인 양상이 나타났다. 본고는 지금까지 비교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토론 담화와 달리, 연구가 희박한 토의 담화를 텔레비전 시사 토의 담화 자료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토의...
TAG 시사토의담화, 관여전략, 협력원리, 사회자의역할, 토의자의 역할, current affairs discussion, involvement strategies, cooperative principle, moderator`s role, discussant`s role
읽기 전략에 대한중학생의 인식 조사
김경환 ( Kyoung Hwa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161~192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 전략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먼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읽기 전략 26개를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 협의를 통해 설문 내용을 확정하였다. 읽기 전략에 대한 중학생 인식은 중요도와 활용도로 나누어 조사되었다. 연구 대상은 설문에 응답한 중학교2학년 116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읽기 전략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이 활용도에 대한 인식보다 높았다. 둘째 비슷한 유형이나 동일한 목적을 지닌 전략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인식이 나타난 경우가 있었다. 셋째, 남학생집단은 읽은 내용의 심화·확장에 초점을 두고 있었고 여학생 집단은 내용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넷째, 읽기 능력에 대한 인식이 보통인 집단은 내용 이해에 초점을 두고 있었고 상 집단은 읽기를 조정하는 전략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
TAG 읽기 전략, 학습자의 인식, Reading strategies,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텍스트 난도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해인 ( Hae I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6] 제19권 193~220페이지(총28페이지)
학습자에게 적정 난도의 텍스트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트의 난도를 평가하는 연구는 읽기 교육의 주요 연구 주제로 수십년간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이독성 지수나 수준별 교재의 유용성에 대한 논쟁은 계속되고 있으며, 텍스트의 난도는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이 독성공식에서부터 텍스트 복잡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진 해외의 연구 동향과 비교했을 때 국내 연구는 그 역사가 짧은 편이며, 연구자의 관점에 따라 그간의 유의미한 연구 성과들이 취사선택되어 적용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이 시점에서 기존의 연구물들을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사용하여 텍스트 난도연구와 관련하여 이 분야의 현재까지의 국내 연구 성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앞으로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
TAG 텍스트 난도, 텍스트 복잡도, 난도, 난이도, 이독성, text difficulty, text complexity, difficulty, readibilit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