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수촌(水村) 임방(任?)의 한시에 나타난 이은(吏隱)의 형상 연구
홍영주 ( Hong Youngjo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329~362페이지(총34페이지)
시대를 막론하고 문인 관료들은 出仕와 隱逸 사이의 깊은 고뇌를 시로 표출했다. 이은은 이러한 상반된 선택의 기로의 타협안으로서 중국 당대(唐代)부터 제시되었는데 ‘도성과 떨어진 지역의 지방관이나 중앙의 낮은 관직에 있으면서 유유자적하게 은일하듯 살아간다’라는 뜻이다. 조선시대 문인 관료들의 시에 ‘이은(吏隱)’이 등장하는 것은 知人이나 일가친척이 지방관으로 나가는 경우 그들을 이은이라고 지칭하는 것과 작자 자신의 관직생활을 이은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의 작품이 전자의 유형인 것에 반해 17세기 조선의 당쟁을 주도한 노론 경화사족의 일원이었던 수촌임방의 한시는 후자의 경우가 훨씬 많은 것이 특징이다. 자신을 ‘이은’으로 지칭한 그의 한시들은 기대에 못 미치는 내·외직에 제수되었거나 정치적으로 수세에 몰려 서울을 떠나게 되는 부정적 현실 하...
TAG 이은(吏隱), 임방, 노론계 경화사족, 당쟁, Yi-eun, Lim bang, Noron-Nobleman in Seoul, Factional stripe
「허생전」에 대한 다양한 시각과 글쓰기 교육의 활용 방안 연구 - 「허생의 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을 중심으로
양윤모 ( Yang Yoonmo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363~384페이지(총22페이지)
연암 박지원의 「허생전」은 200여년이 지난 후에도 패러디로 재창작 되고 있으며 「허생의 처」와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은 원작의 익숙한 텍스트를 기반으로 독자에게 익숙함을 느낄 수 있도록 반복하면서 패러디 작품이 독창적 창작이라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허생의 처」는 허생의 처의 입장에서 허생이 조선 후기 경제, 사회, 정치 상황의 모순을 비판하지만 정작 자신은 그의 아내에게 가부장적 억압을 강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허생의 처는 허생이 실리는 없이 명분만을 추구하는 허울뿐인 선비임을 깨닫고 허생에게 절연을 요구하며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으로 다시 태어난다.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은 교원노조에 가입한 국어선생님에 대한 학교당국의 억압과 탄압으로 「허생전」을 배우던 국어수업은 미완인 채로 막을 내리지만 끝없이 이어지는 ‘왜?’라는 질문과 정밀한 독서...
TAG 허생전, 허생의 처, 허생전을 배우는 시간, 패러디, 글쓰기 교육, 창의성, Heosaengjeon, Heosaeng`s wife, A Time to Lean Heosaengjoen, Parody, Writing education, Creativity
이승우 소설에 나타난 집의 의미
양선미 ( Yang Seonm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307~327페이지(총21페이지)
현대소설에서의 공간은 작품을 이해하는 핵심이 될 뿐 아니라 작가의 의식을 살피는 중요한 기제가 될 수 있다. 이승우의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은 집이다. 이승우는 인물들의 내면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집을 선택한다. 이승우 소설에서 집은 인물들에게 죄책감과 트라우마의 공간으로 기능한다. 많은 경우 집은 그곳에서 가족과 나눈 경험 때문에 친밀감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이승우의 인물들에게 집은 고통을 환기시키고 죄책감에 시달리게 하는 공간일 뿐이다. 하여 인물들은 끊임없이 집에서의 탈주를 꿈꾸지만 결국 회귀하는 악순환에 빠져든다. 인물들을 악순환에서 빠져나올 수 있게 하는 것은 글쓰기이다. 글쓰기를 통해 인물들은 치유를 경험한다. 보다 완벽한 치유를 위해 인물들은 고통을 환기시켜주는 집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집은 창작의 원천으로 기능하기에 이른...
TAG , 트라우마, 죄책감, 악순환, 치유, 승화, Home, Trauma, Guilt, Vicious Circle, Heal, Sublimation
한국형 이중언어강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 이중언어강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원진숙 ( Won Jinso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443~478페이지(총36페이지)
이중언어강사 제도는 고학력 결혼 이주 여성들의 강점인 이중언어 구사능력과 간문화적 경험을 학교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을 위해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제도는 2009년 도입되어 수년간 성공적으로 시행되었으나 2012년을 기점으로 현실적인 행·재정적 이유와 이해 관 여자들 간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중언어강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심층 면접을 통해 한국형 이중언어강사 제도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이중언어강사들이 느끼는 어려움 등을 짚어보고 그 발전적인 개선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이중언어 강사의 전문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한국어 이중언어강사 제도 개선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AG 한국형 이중언어강사 제도, 다문화교육, 이중언어교육, Bilingual instructor system in Korea, Multicultural education, Bilingual education
예비 교사의 진로 탐색 저널 쓰기에 대한 연구
최건아 ( Choi Geonah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65~9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학습자로서 예비 교사들이 저널 쓰기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 교사의 저널 쓰기 사례를 분석하였다. 저널에서는 학습 내용 또는 상황에 대한 논평, 지난 저널 읽기를 통한 재진술, 양식 변경을 통한 저널 쓰기 촉진과 같은 ‘학습 및 성찰’ 측면의 특징, 사건의 나열, 양식 변경에 따른 제한점과 같은 ‘정체’의 특징이 나타났다. 연구에서 다룬 사례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있으나, 예비 교사들의 지속적, 자기주도적 학습 도구로서 저널쓰기는 의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첫째, 다양한 양식의 개발, 둘째, 저널 쓰기 자체에 대한 학습 기회 제공, 셋째, 저널 쓰기가 자기 주도적 학습과 연계되도록 돕는 교육과정 마련, 넷째, 지속적인 면담 체계 및 관리 시스템 구축을 제안하는 바이다.
TAG 예비 교사, 저널 쓰기, 자기주도적 학습, 성찰, 진로 탐색, Pre-service teacher, Journal writing, Self-directed learning, Introspection, Career exploration
상위인지 읽기 전략의 국어 교과서 수용 양상에 대한 비판적 검토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백혜선 ( Paik Hyesu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37~6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 교과서가 상위인지 읽기 전략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중학교 3학년 14종 검정 교과서 중 관련 성취기준을 반영한 대단원 혹은 소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기준을 바탕으로 교과서를 개방 코딩 후, 분석 기준별로 14종의 교과서를 횡적 교차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상위인지 읽기 전략 지도에서 중요한 읽기 목적을 설정하기 위해 메타 텍스트를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교과서에 제시된 설명 텍스트가 읽기 과정에 따른 읽기 전략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상위인지 읽기 전략의 가장 중요한 읽기 점검과 조절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였다. 상위인지 읽기 전략을 연습하기 위한 자료 텍스트 유형을 다양화하고 읽기 과정에 대한 점검과 조정을 학습할 수 있는 활동 텍스트가 필요하다. 상위인지 읽기 전략을 ...
TAG 상위인지, 읽기 전략, 점검과 조절, 교과서, 학습활동, Metacognition, Reading strategy, Monitoring and regulation, Textbook, Learning activity
Halliday의 체계기능언어학 관점에서 본 형용사-동사 통용어의 체계와 의미 기능
정려란 ( Cheng Lila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189~212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체계기능언어학(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이론을 바탕으로 국어의 형용사-동사 통용어가 서술어로 쓰일 때의 체계와 의미 기능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체계기능언어학의 이론에 대해 소개하므로 타동성 체계를 통해서 서술어로 쓰이는 형용사-동사 통용어의 성격을 파악하였고, 3장에서는 국어의 형용사-동사 통용어가 동사로 사용될 때의 어휘ㆍ문법적 특징 및 의미 기능이 밝혔다. 즉, 형용사-동사 통용어는 형용사의 전형적 특징을 지니고 있으면서 서술어로 사용될 때 [-타동성]의 특징이 보이고 사건의 내용은 형용사성 자동사로 이루어진 과정(process)을 통해서 실현된다. 본고의 의의는 체계기능문법의 기준에 의한 형용사-동사 통용어가 서술어로 쓰일 때의 의미 기능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법을 제안한다는 ...
TAG 체계기능언어학, 타동성 체계, 형용사-동사 통용어, 형용사성 자동사, Adjective-verb multi-category words, Semantic function
해석문법의 국어교육적 적용
김의수 ( Kim Uis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129~159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은 해석문법에 대한 소개와 함께 그것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그 동안의 연구 주제 및 내용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해석문법은 한국어 기술문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문장 및 텍스트를 분석하고 그 복잡성과 다양성을 음운, 어휘, 통사, 화용 차원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론을 통해 그동안 문학 작품 분석과 한국어교육 및 통번역에서의 연구, 그리고 국어교육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국어교육 차원에서는 교과서 분석과 대입 시험 지문 분석, 학습자 언어 분석, 그리고 국어교육과 한국어교육 간의 접점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TAG 해석문법, 문장, 텍스트, 국어교육, 한국어교육, Analytic grammar, Sentence, Text, Korean language education, KFL, KSL
초등국어교육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 국어 교과서와 시 교수·학습 영역을 중심으로
진용성 ( Jin Yong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407~441페이지(총35페이지)
이 논문은 국내의 초등국어교육 분야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안한 연구이다.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체계적 문헌 고찰법을 활용하였고, 1994년부터 2017년까지 Riss에 등재된 228편의 논문을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술지 논문과 학위논문은 연도별 경향과 주제영역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으며, 시 교육 이론을 통해서 볼 때, 특정 영역에 편중되거나 연구가 누락된 항목들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향후 탐구해야할 과제로 19개를 제시하였으며, 이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초등국어교육의 상황에서 시 교수학습과 교과서의 연구가 꾸준히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시 교육의 위계성과 학습자의 특성, 아동문학연구와의 연계 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될 필요가 있겠다. 둘...
TAG 초등국어교육, 시 교육, 아동문학, 초등학습자, 초등교사의 전문성, Korea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s, Poetry Education, Children`s Literature, Elementary School Learner,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좋은 청소년 독자’의 경험 탐구 - 19살 우찬의 생애사 내러티브 탐구
강연진 ( Kang Yeonj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8] 제24권 7~36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좋은 청소년 독자’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를 통해 좋은 청소년 독자의 독서경험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좋은 청소년 독자’는 긍정적인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을 갖고, 즐겨 읽고, 많이 읽으며 잘 읽는, 13-18세의 청소년 독자를 의미한다. 이러한 ‘좋은 청소년 독자’의 구체적인 경험을 보다 세밀하게 탐구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좋은 청소년 독자’ 개념에 가장 적합한 우찬의 생애사를 살펴보았다. 우찬의 생애사 내러티브는 자신의 길을 구축해나가는 이야기였다. 우찬은 독서를 통해 형성한 내적역량(empowerment)을 바탕으로 갈등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우수한 독서능력을 바탕으로 문제를 해결하기도하고, 독서를 통해 내적 동기를 강화하기도 했다. 다양하고 깊이 ...
TAG 좋은 청소년 독자, 독자 경험, 청소년 독자, 내러티브 탐구, 고등학생 독자, Good adolescent readers, Reader experiences, Adolescent readers, Narrative inquiry, High school reader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