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과 동료 교사의 수업 논평을 통해 본 국어 교사의 수업 전문성
구자윤 ( Ja yun K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53~8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국어과 교사가 동료의 수업을 논평하면서 주목한 국어 수업에 대한 ‘실제적 평가 기준’은 어떠하며, 그것의 시사점은 무엇인지를 알고자 하는 데 있다. 국어과 교사의 논평을 분석해 본 결과 ‘학생의 학습(적극적인 참여), 교사의 설명, 피드백, 주의 집중과 수업 장악, 교사/학생의 상호 작용, 수업목표 제시’ 등의 순으로 지적(指摘) 빈도가 높았다. 이에 지적 빈도가 높은 항목을 중심으로 ‘국어과 수업의 실제적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런 ‘실제적 평가 기준’은 국어 교사들의 수업 평가 관점과 기준이 반영된 결과이면서 국어 수업에 대한 현상적 관점이라 볼 때, 국어 수업이 교사의 교수 행위와 학생의 학습 행위가 교섭적으로 작용하는 협력의 과정이라는 시사점을 던져 준다.
TAG 국어 수업 평가 기준, 수업 논평, 수업 평가, 수업 전문성, 교사 전문성, Evaluation criteria for Korean language classes, comment on instruction, class evaluation, quality of instruction, teacher’s expertise
국어과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비판적 검토
김상희 ( sang hee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81~110페이지(총30페이지)
교육부는 창의 인성 교육에 적합한 평가 제도의 개선을 취지로 하는 중등학교 학사 관리 선진화 방안?(교육과학기술부, 2011)을 발표하였다. 중등학교 학사 관리 선진화 방안의 주요 내용은 ‘평가 방법의 질적 혁신’과‘성취 평가제 도입’이다. ‘평가 방법의 질적 혁신’이란 학생의 창의성,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서술형 평가와 수행평가의 질적 제고를 추진하는 것이다. ‘성취평가제’는 학생들 간 상대적 서열 중심의 규준 참조 평가 또는 상대평가에서 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목표 중심의 준거 참조 평가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기존 절대평가제도가 절대기준만을 강조하여 성적 부풀리기에 취약했던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성취 평가제’도 학교 현장에 안착하기까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성취 평가제 안착을 위해 국어과 성취기준, 성취 수준을 ...
TAG 국어과 성취 평가제, 성취 기준, 성취수준, achievement assessment system, achievement standards, achievement levels
국어 교과서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 연구
배재성 ( Jae seong Ba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111~138페이지(총28페이지)
이 논문은 국어 교과서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식을 다양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국어 교과서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서울 소재 중학생 115명, 고등학생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의미변별척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 모두 국어 교과가 중요하다고 인식한 반면, 국어 교과서의 사용 비중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고등학생에 비해 중학생에게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생들이 인식하는 국어 교과서의 중요한 요소는 제재와 학습 활동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자유 서술한 응답의 많은 부분이 이와 관련된 내용이었다. 셋째, 국어 교과서에 대한 태도는 고등학생들이 중학생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
TAG 국어 교과서, 중·고등학생, 학습자의 인식, 학습자의 태도, 의미변별척도, Korean language textbook(KLT),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 Attitud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청소년 인터넷 언어의 문법교육적 수용에 대한 연구 - 학습자 인터넷 언어의 자기 점검 활동을 중심으로 -
신희성 ( Hee seong Sh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139~175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언어학적으로 다양하게 연구되어 온 청소년 인터넷 언어를 문법교육적으로 수용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먼저 그간 매체 언어 교육 연구들에서 제시된 문법교육 관련 내용을 살피고 이를 재범주화하여 인터넷 언어의 문법교육적 내용을 마련하였다. 이는 인터넷 언어의 ‘매체적’ 특징, 인터넷 언어의 ‘언어적’ 특징, ‘적절한’ 인터넷 언어 사용 태도이며 순서대로 위계를 가진다. 다음으로 청소년 인터넷 언어의 특징에 대한 언어학적인 연구들을 메타적으로 점검하고 교수학적으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오류, 실수, 선택이라는 세 기제를 고려하여 청소년 인터넷 언어의 특징을 크게 교정의 대상이 되는 것과 교정의 대상이 되지 않는 것으로 재분류하였다. 교정의 대상이 되는 것은 다시 형태음운론적 요인이 오표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우와 띄어쓰기가 틀린 경우로 나뉘었으며 ...
TAG 청소년 언어, 인터넷 언어, 매체 언어, 문법교육, 언어 사용 자기 점검, Adolecents’ Language, Internet Language, Media Language, Grammar Education, Self-monitoring of Language Use
대학 글쓰기 교재 분석 연구 - 2005년, 2014년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
윤철민 ( Chul Min Y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177~204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고려대학교의 2005년 개정판 대학 글쓰기 교재와 2014년에 개발된 대학 글쓰기 교재를 비교 분석하여, 고려대학교 글쓰기 교재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고려대학교 2005년 교재와 2014년 교재의 비교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교재 분석 준거를 ‘형식 요소’와 ‘내용 요소’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하위분류 항목을 제시하였다. 두 교재의 ‘형식 요소’ 중 ‘제목’을 살펴보면, 2005년 1학기 교재는 ‘글쓰기의 기초’, 2014년 1학기 교재는 ‘대학 글쓰기의 이해’이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2005년 글쓰기 교재는 일반적인 글쓰기 교재로서 글쓰기의 기초적인 내용들을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반면 2014년 교재는 ‘이해라는 제목과 같이 전반적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란 무엇인지를 학습자들이 이해하고...
TAG 대학 글쓰기 교재, 대학 작문 교재, 대학 글쓰기 교육, 글쓰기 교재, 사고와 표현, College Writing Textbooks, College Writing Education, College Composition Textbooks, Thinking and Expression
저소득층 아동 대상 기초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현황과 전망 - 국립국어원 언어 소외 계층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
이유원 ( You Won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208~254페이지(총47페이지)
국립국어원은 국어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체계적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그 역할 중 하나로 1992년부터 ‘국어문화학교’라는 이름으로 교육 연수 기능을 수행하 고 있다. 본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교육 연수 기능과 관련하여 ‘국어문화학교’를 소개하고, 언어 소외 계층인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사업 부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현황과 진행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더불어 현 단계에서의 한계점을 검토해 보고 앞으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수립과 발전 방향에 대한 당위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어 교육은 대부분 정규 교육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규 교육 과정을 따라가기에는 기초 국어 능력 차원에서 부족한 ...
TAG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 국어 정책, 국어교육, 기초 국어 능력, 언어소외 계층, 저소득층 아동,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Korean language Policy, Korean language Education, Primary Korean Education, the underprevileged,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이용악 시 연구 -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
최은자 ( Eun Ja Choi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253~281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는 이용악의 시에 나타난 내면의식을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이용악은 1930-40년대 식민지 시대 우리 민족의 궁핍하고 고통스런 삶을 탁월한 기법으로 형상화하여 그만의 독특한 문학 세계를 이뤄낸 시인이다. 내용상으로 이용악 시는 전체적으로 실향의 고통과 귀향에 대한 소망, 가난으로 인한 개인적 고통과 절망, 일제치하 민족의 고난과 비극적 삶, 유이민의 삶의 비애 등이 주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내면의식은 앞의 시어 분석을 통하여 주로 공간을 나타내는 시어들에 의해 형상화되거나 구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시어들은 ‘길’, ‘하늘’, ‘바다’, ‘거리’, ‘산’, ‘(두만)강’, ‘북(쪽), ‘집’, ‘고향’, ‘항구’ 등이다. 이러한 시어들은 위 네 가지 내면의식을 표출하는데 있어, 각기 어...
TAG 공간, 내면의식, 고향, 고통, 민족적 비극, 유이민, space, inner consciousness, hometown, anguish, national tradegy, drifting and emigrant persons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 중등 국어 교사의 인식 연구
김동욱 ( Gim Dong U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1~26페이지(총26페이지)
디지털 기술의 발달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매체의 발달은 사회 구성원 간의사소통 방식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쳤고,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 언어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새로운 문식 능력인 매체 문식성(media literacy)이 필요 해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향에 맞춰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 중등 국어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관심과 교육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8문항, ‘매체 문식성 수업을 진행하는 데있어 어려운 점과 요구사항’을 살펴보기 위한 7문항의 총 1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을 바탕으로 총 90명의 중등 교사의 매체 문식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 연구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들의 매체 문식성 수업에 대한 관심과 교육 현황에 대해 살펴보면, 교사들은 대체로 관심이 있는 편...
TAG 매체 문식성, 매체 문식성 수업, 국어 수업, Media literacy, Media literacy class, Korean language class
초등교사의 그림책 추천 기준에 대한 연구
김해인 ( Hae I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29~54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초등교사가 그림책을 어떠한 기준으로 추천하는지를 알아본 연구이다. 연구 문제는 1) 그림책을 읽은 뒤 초등교사가 각 그림책을 얼마나 추천하는지, 2) 초등교사가 그림책을 추천하는 기준은 무엇인지로, 이를 초점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83명의 초등교사들이 설문에 참여하였으며, 교사들은 주어진 그림책을 읽은 뒤 읽은 그림책을 초등학교 1-2학년에게 추천할 것인지, 그 여부와 그 이유에 대해 응답하였다. 교사들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도서 추천 과정에서 다양한 요인들을 골고루 고려하고 있었다. 교사들은 그림책의 내용과 특징에 따라 유연하게 추천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으며, 독자 요인, 교육적 활용 등을 모두 고려하여 그림책을 추천하였다. 특히, 교사들은 독자를 강하게 염두에 두고 그림책을 추천하였다. 이 결과를 통해 그림책의 독자 ...
TAG 초등교사, 그림책, 추천도서, 추천 기준, Elementary school teacher, Picture book, Recommended book, recommending reference
시어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이용악 시 세계 연구
나정연 ( Jeong Yeon N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57~82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이용악의 시에 자주 나타나는 시어를 분석하여 그의 시 세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주 등장하는 시어는 ‘나, 너, 우리, 동무, 함께, 모두’와 ‘신체관련부분’에 속하는 것들이었다. 이는 이용악이 ‘신체관련부분’에 관련된 시어를 사용하여 ‘나’와 ‘너’를 ‘우리’로 매개하고 현실의 어려움을 공동체의 아픔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길, 집, 없다, 속, 뒤, 밤, 검은색 계열, 어둠’ 범주에 들어가는 시어들의 빈도수도 높게 나타났는데 어두운 시대상황 속에서 길을 찾지 못했던 시인의 내면을 드러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용악은 현실의 ‘집 없음’에 절망하지 않고 ‘꿈’을 꾸었으며 험한 길을 헤치고 나아가려 했다. 그의 시에서 ‘꿈, 꽃, 별, 하늘, 푸른색 계열, 불(등불)’이 자주 등장하는 것이 이러한 해석을...
TAG 우리, 공동체, 집 없음, , 하늘, us, community, be homeless, dream, sky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