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 반영된 매체언어 교육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심유나 ( Yuna S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1~27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국어교육에서 사용되는 ‘매체’, ‘매체언어’라는 용어 사용의 모호함을 논의하고, 이에 대한 교육이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국어교육의 핵심이 텍스트를 통한 의미 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표현하는 데에 있다면, 매체언어 교육 역시 다양한 매체에서 나타나는 여러 개의 개별 모드를 이해하고, 이들이 결합할 때 생성되는 의미를 구성하고 읽어내는 것이 매체언어 교육의 본질이라고 보았다. 특히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매체언어교육은 디자인과 매체 변환에 초점을 둘 필요가 있다.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매체언어 교육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의 매체언어 교육 내용은 복합양식 문식성의 관점에서 잘 수용된 것이 있는 반면, 개별 매체의 특성을 나열하는 식의 방식이거나 단편적 지식이나 태도 교육으로 치우친 것을 확인할...
TAG 매체, 매체언어, 매체언어 교육, 복합양식 문식성, 복합양식 텍스트,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Media, Media language, Media language education, Multimodal literacy, Multimodal text,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2011-revised)
소멸위기 언어 보전의 관점에서 본 지역방언 교육의 방향 - 제주방언 말소리 아래아(",")를 중심으로 -
이철기 ( Cheolki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29~52페이지(총24페이지)
국어는 다양한 지역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주방언을 유네스코는 2010년 9월에 심각한 소멸위기에 처한 언어로 분류하였다. 제주방언에는 독특한 단모음 아래아(‘·’)가 존재하는데, 이는 내륙방언에서 16-18세기에 걸쳐소멸된 ‘·’와 관련이 있다고 여겨진다. 현재 ‘·’를 발음할 수 있는 제주방언화자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고 이내 소멸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 논문은 문법교육에서 지역방언을 다룰 때 제주방언 아래아(‘·’)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두 가지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통시적 접근법으로 내륙방언에서 16세기부터 소멸되기 시작한 ‘·’와 관련짓는 방법이다. 다른 하나는 공시적 접근법으로 ‘·’를 포함하는 제주방언의 단모음 체계를 현대국어의 단모음체계와 관련짓는 방법이다. 제주방언의 아래아(‘·’)는 학습자가 언어의 생명력...
TAG 지역방언, 지역방언 교육, 제주방언, 아래아(", "), 소멸위기 언어, 지역방언 재활성화, 지역방언 보전, 국어교육 지역화, regional dialect education, Jeju dialect, endangered language, Are-a(, ), regional dialect revitalization, regional dialect maintenance
고등학생용 한글 맞춤법 지식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하성욱 ( Sungwook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53~67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한글 맞춤법 지식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한글 맞춤법 지식 측정 도구는 학습자의 한글 맞춤법 지식정도를 어느 정도 유추할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는데, 이 도구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R&D(Research & Development)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즉, 본연구에서는 ‘문헌 조사 및 자료 수집’ → ‘평가 요소의 선정’ → ‘평가 요소의 정의’→ ‘문항 개발’ → ‘1차 전문가 검증(내용 타당도, 객관도, 어휘 수준)’ → ‘1차 현장 검증(신뢰도, 변별도, 난이도)’ → ‘2차 전문가 검증’ → ‘2차 현장 검증’ → ‘도구 완성’에 따라 도구를 완성하고, 완성된 도구를 다시 학교 현장에 환류하여 고등학생들의 한글 맞춤법 지식을 측정해 보았다. 이러한 과정...
TAG 한글 맞춤법, 한글 맞춤법 지식, 측정 도구, 한글 맞춤법 지식 측정 도구, the Korean orthography, the Korean orthography knowledge, measurement tool, tool for measuring the Korean orthography knowledge
성장소설의 가족주의 양상 연구
김미성 ( Miseong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69~93페이지(총25페이지)
일반적으로 성장은 긍정적 이미지를 가진다. 교육현장에서 ``성장소설``은 청소년기 아이들의 정서를 순화하고 방황을 바로잡아주는 교육적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런데 교육현장에서 성장소설로 다루어지는 작품들에 나타나는 성장의 양상에 부정적인 측면은 없는지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보인다. 하나는 성장이 가족 개인에 대한 동정에 머무름으로써 세계관의 확장을 저해하고 계급을 고착 시킬 가능성이다. 둘째는 폭력, 외도, 주정과 같은 아버지의 부정적인 측면까지 대물림할 가능성이다. 남아 성장소설이 아버지와의 ‘화해’에 이르는 경우 ‘불쌍한 가장’에 대한 동정이 자기연민과 동일시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셋째는 어른과 아이의 갈등관계에서 화해가 약자인 아이의 전적인 양보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아무리 약한어른도 아이와의 관계에서 권력적...
TAG 성장소설, 계급 고착, 대물림, 폭력, Growth story, Class Fixation, Pass down, Violence
타자(他者)에 대한 사랑과 자아(自我)의 발견 - 한용운의 「알 수 없어요」에 대한 고찰
성은혜 ( Eunhye Seo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95~118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는 한용운의「알 수 없어요」를 작품 내적 요소와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알 수 없어요」는 문장의 종결형, 감각적 표현으로 나타난 ‘누구’, 변형된 문장 구조에서 드러난 ‘누구’와 ‘나’의 관계 등을 통해 사랑하는 대상에 대한 탐구의 의지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1-5행에서 반복되는 의문형과 6행에서 변형되어 나타나는 평서형의 문장 종결, 문장 구조, 수식어, 감각어로 느끼는 구체적 대상에 대한 갈망 등은 이러한 화자의 마음가짐과 태도를 표출한다. 또한 이 시는 모든 자연물과 자연 현상에서 사랑하는 대상(‘누구’=‘님’)에 대한 ‘나’의 집중과 몰입을 보여준다. 이는 스탕달이 언급한 사랑의 결정 작용과도 일맥상통하는 심리이며, 사랑에 대한 소유 욕망과 연결된다. 시의 1-5행은 여러 자연현상을 ...
TAG 한용운, 「알 수 없어요」, 심리주의 비평, 사랑, 탐구, Han Yong-Un, "I Can`t Know", Psychological criticism, love, exploratory
고쳐쓰기를 통한 유의어 교육 방안 연구
이현주 ( Hyunju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119~140페이지(총22페이지)
국어 교과는 풍부하고 정교화 된 언어 사용으로 학습자들의 언어와 사고를 교육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해 어휘와 사용 어휘의 통합적 교육을 위한 ‘유의어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서 어휘교육의 방법을 연구해 보고자 한다. 유의어의 섬세하고 세밀한 의미와 사용역을 이해하고 능숙하게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라면 그렇지 않은 학습자에 비해 그 사고과정도 섬세하고 유창할 것이라고볼 수 있기 때문이다. 유의어는 의미가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기 때문에 섬세한의미 차이와 사용역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러한 의미와 사용의 차이를 섬세하게 인식하고 드러낼 수 있도록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2장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폭넓은 의미 영역을 지닌 단어의 의미를 분석하고, 또 유의어군으로 묶일 수 있는 단어의 의미 변별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3장에서는 학습자가 쓴 글을 ...
TAG 유의어, 의미 정교화, 고쳐쓰기, 이해 어휘, 사용 어휘, Synonym, Semantic elaboration, Rewriting, Receptive vacabulary, Productive vocabulary
컴퓨터 작문 연구의 특성에 관한 연구
임태원 ( Taewon L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141~16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컴퓨터 작문 연구의 특성과 쟁점을 살펴보기 위하여 2000년 이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컴퓨터 작문 연구의 특성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수집 된 국내 컴퓨터 작문 연구는 총 111편이며, 연구 유형, 연구 주제, 연구 방법으로 구분된 기준 질문을 활용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국내 컴퓨터 작문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연구 특성은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으며, 연구들이 다른 견해를 내보이고 있는 쟁점 또한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컴퓨터 작문 연구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작문 연구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작문으로 집중되고 있다. 둘째, 컴퓨터 작문 연구는 작문 교육과 연계하여 컴퓨터 작문 교육을 목표로 하는 연구가 중점적으로 수행되었다. 셋째, 컴퓨터 작문 연구는 ...
TAG 컴퓨터 작문, 컴퓨터 작문 연구, 컴퓨터 작문 교육, 작문 교육 특성, 인터넷 글쓰기, Computer Writing, Computer Writing Research, Computer Writing Istruction, Features of Writing Instruction
중학생의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 발달 양상 연구
정지은 ( Jieun J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8권 167~193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중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어떠한지, 자기 인식은 학년과 성별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중학생 1, 2, 3학년 330명을 대상으로 RSPS2를 활용한독자 인식을 설문 47문항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들의 독자 인식의 평균은 153.81점이었으며, 이를 5점 척도로 산술평균으로 환산하면 3.27에 해당하는 점수로 보통 수준의 독자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학교 2학년까지 독자 인식이 감소하다가 3학년에서 다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독자 인식의 평균을 살펴보면 남학생은 152.69점, 여학생은 154.84점으로 여학생이 조금 더 높은 독자 인식을 ...
TAG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 독서 자아개념, 정체성, 독자의 정의적 영역, reader self-perception, reading self-concept, identity, affective domain
근대 학교 교육과 국어 독본
박치범 ( Chibeom Par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1~30페이지(총30페이지)
이 글은 광복 이전에 발간된 독본 형태 국어 교과서의 성립 과정과 그 특징을 국어 교과서관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국어 교과서는 근대적 학교교육과 국어 교과의 성립을 전제로 한다. 대한제국의 근대적 학교 교육은 1895년 반포된 교육입국조서를 통해 구체화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당대학교 교육에서는 독서, 작문, 습자 등의 ‘국어’와 함께 한문을 정규교과로 설정하였다. 이 때 국어는 주로 근대 지식을, 한문은 전통적 가치관을 주로 다루는 교과로서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수신의 경우 전통적 가치관의 근대화라는 관점에서 이 둘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국어과 한문, 그리고 수신 교과는 모두 국문과 한문이라는 언어를 매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탄생한 국어 교과서의 형태는 여러 가지 읽을거리를 모아 놓은 독본의 형태가 되었으...
TAG 근대 학교 교육, 국어 교과서, 국어 교과, 국어 독본, 국어교과서관, 유학경전의 위상, modern schooling, Korean language textbook, the subject of Korean language, a reader of Korean language, view of Korean language textbook, the status of scriptures of Confucianism
중등 국어 교과서의 매체 영역 반영 양상 연구
백혜선 ( Hyesun Paik ) , 김지연 ( Jiyeo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5] 제17권 31~51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는 매체와 관련된 성취기준이 교과서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중학년군 교육과정에서 매체를 직접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두 성취기준을 선정하여 3종의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3종 교과서의 단원구성과 학습활동을 정리하여 교과서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여 연구진의 협의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였다. 먼저 매체 교육에 대한 교육 내용이 부족하여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식과 이론, 그리고 실천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교과서에 구현된 활동의 실제성과 구체성이 부족하여 매체 영역의 교육 내용에 따른 교수 모형이나 전략 등이 더 다양하게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체 교육 내용의 전이성을 높이기 위해 학습해야 할 중심 개념을 도출하고 전이력이 높은 활동으로 구안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AG 국어 교과서, 매체, 2009 개정 교육과정, 프레젠테이션, 영상 언어, Korean textbooks, media, 2009 reviesed curriculum, presentation, visual languag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