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한국어문교육3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어휘 교육 방법 변화의 필요성과 개선방안 연구
오상화 ( Sang Hwa Oh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85~107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어휘 교육이 단순 단어 교육 및 뜻풀이 교육으로 축소되어 교수되고 있는 현재의 모습에 의문을 품고 진행되었다. 그리고 어휘가 교육적인 관점에서 학습자들에게 좀 더 유의미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전제 아래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전의 어휘 교육과 현재의 어휘 교육을 토대로 앞으로의 어휘 교육 방법이 변화하여야 함을 밝히기 위하여 어휘 교육이 걸어온 길을 시기와 교육과정으로 구분하여 이들이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지를 살피었다. 그리고 어휘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와 현재의 어휘 교육이 개선되어야 하는 방향을 생각하여 보았다. 어휘 교육은 어휘의 정의에서부터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어휘를 ‘단어들의 집합’ 수준으로만 보아서는 안 되며, 어휘 교육의 방향은 학습자의 어휘력 신장을 도모하여 국어 사용 능력의 향상을 꾀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
TAG 어휘, 어휘 교육, 어휘 개념의 인식 변화, 어휘 교육 방법 변화의 필요성, Vocabulary, Teaching vocabulary, Change in perception of concept of vocabulary, Method of teaching vocabulary, Need for change
연극을 활용한 한국어교육 사례 연구
이강록 ( Lee Gang R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109~127페이지(총19페이지)
본 사례 연구는 공연을 위한 한국어 연극을 현장에서 지도한 사례와 그 효용성에서 착안하여 연극을 교실 교육으로 끌어들여 시도한 ‘연극을 통해 배우는 한국어’라는 교양 과목 수업 사례를 소개하였다. 교육연극 수업 사례 소개에서는 연극에 임하기 위한 기본 훈련으로서 발성 훈련, 발음 훈련, 반어적 표현 훈련 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비언어적 표현과 연기 연습의 일환으로 감정 표현을 몇 가지로 단순화 하여 연습하는 것을 소개하였으며 대본에서 억양의 표시 방법도 소개하였다. 대규모 연극에 쓰이는 대본으로 독해와 구연에 이르는 학습 과정과 소규모 연극 대본으로 실제 시연에 이르는 과정을 소개했다. 교육을 위한 연극 수업은 연극을 학습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연극 본연의 장점들을 포기해야 하는 면도 있다. 이를 보완하여 시도한 것이 소규모 연극 시연을 통해...
TAG 한국어 교육연극, 연극을 통한 한국어 교육, 한국어 연극, Korean drama in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drama, Korean drama
의미 능력 평가 문항 개발 연구 -1994~2014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어휘력 평가 현황을 바탕으로-
이경숙 ( Gyeong Suk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129~180페이지(총52페이지)
본 연구는 지금까지 출제된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어휘력 평가 문항을 분석하고,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의미 능력 평가 문항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어휘력 평가 문항 중 고쳐쓰기, 맞춤법, 발음, 어법 등의 문항을 제외한 어휘력 평가 문항은 총 143개다. 이를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문맥적 의미와 관련된 문항이 43문항(30%)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출제되었다. 다음으로는 유의 관계와 관련된 문항이 29문항 (20%)으로 출제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단어 의미(기본 의미)와 관련된 문항 및 사자성어와 관련된 문항이 각각 14문항(10%)씩 출제되었다. 결국,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어휘력 평가 문항은 문맥적 의미, 유의 관계, 단어 의미(기본의미)와 사자성어를 중심으로 출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
TAG 대학수학능력시험 언어 영역, 어휘력 평가, 의미 능력 평가, 어휘력 평가 문항, 의미 능력 평가 문항, Korean Language Subtext in Collage Scholastic Ability Test
연계전공으로서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관규 ( Lee Kwan Kyu ) , 정지현 ( Jeong Ji Hy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181~214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는 사범대학에 다문화 한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이 교육과정이 내용과 그 운영 방안에 대해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교육과정 목표 수립을 위하여 사회, 학습자, 교과 요인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내용 체계를 세 범주로 구분하였다. 1) 다문화적인식·태도의 발달, 2)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3) 다문화 한국어 교수· 학습의 실제의 세 영역 하에 각 교과목 개발을 진행하였다. 개발된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다문화적 인식·태도 발달 영역: <다문화 사회 이해>, <다문화 학습자 이해>, <다문화 교육의 이해> 한국어 교수의 지식·기능 습득 영역: <제2언어습득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교수이론>, <한국 문화의 이해>, <한국어학의 이해>, <한국어음운론>, <한국어문법론>, <한국어어휘...
TAG 다문화 교육, 한국어 교육, 교사 교육, 사범대 교육과정, 연계전공, Muti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development, Interdisciplinary course
좋은 국어과 수업 담화 분석 고등학교 -국어과 수업 담화의 양상과 이에 대한 교사,학습자 인식을 중심으로-
하빛나 ( Bit Na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6권 217~251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실제 국어과 수업 현장에서, 실제 수업 담화 공동체인 학습자로부터 좋은 국어 수업이라 인식되고 평가받는 교사의 수업 담화 양상을 면밀히 고찰해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해당 교사의 2차시에 해당하는 고등학교 3학년의 국어과 수업 담화 자료를 수집하여 전사한 후, ‘개시-반응-평가/피드백’의 대화 연속체를 중심으로 한 수업 구조에 따른 담화 전략, 수업 담화 전체에서 나타나는 언어 표현상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해당 교사와 학습자의 인식을 들여다볼 수 있는 설문을 실시하여 수업 담화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합의된 ‘좋은 국어과 수업’은 교사와 학습자가 활발하게 상호작용하는 수업 담화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수업담화 자료로부터 분석해 낸 담화 전략의 결과와 교사가 의도한 담화...
TAG 수업 담화, 담화분석, 담화공동체, 담화 전략, 개시-반응-평가, 피드백, 상호 작용, class discourse, discourse analysis, discourse community, discourse strategy, Initiation-Response-evaluation, feedback, interaction
종합교육으로서의 연극교육과 교육연극
심상교 ( Sang Gyo S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145~171페이지(총27페이지)
2011고시교육과정에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교육목표는 여러 종류의 학습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 사고를 길러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도록 지도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이런 교육목표를 달성하는데 연극수업은 매우 적합하다.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를 배양하면서 다양한 문화적 가치를 수요하는 수업에 연극을 활용하는 것은 아주 적절한 것이다. 연극이 종합예술이기 때문에 그러하다. 연극은 서사와 서정의 특성을 종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수업에 활용하는 것은 적절한 일이 된다. 이를 위해 연극이 교육에 얼마나 효율적인 면을 보여주는가를 살폈고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을 위한 실질적 방법을 제시하였다. 수업 적용과정은 설정단계-토의단계-발표단계-판단단계를 거치는 것이 효과적임을 보였다. 그리고 구성주의적 사고가 교육연극과 어떻게 맞물리며 이런 것이...
TAG 교육연극, 설정단계, 토의단계, 발표단계, 판단단계, 종합적 학습, Education Drama, Set-up Step, Discussion Step, Presentation-Step, Judging Step, Synthetic Education
중등 고전연극 교육의 현황과 전망 -고등학교 문학교과서의 고전연극 제재 수록 양상을 중심으로
이호승 ( Ho Seung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173~208페이지(총36페이지)
고전연극(古典演劇)은 연극이면서 문학이다. 고전연극은 민간전승의 연극이며, 음악·무용·연기·언어 등이 조화된 종합예술이면서, 한편으로는 구비문학(口碑文學)이다. 고전연극은 일찍이 1920년대에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고전연극의 기원과 역사적 전개 양상, 연극적 형식, 주제와 사회의식, 예술적 측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데 비해, 고전연극 교육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특히 중등교육에 해당하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미했다. 고전연극 교육은 구비문학 교육, 문학교육에 속한다. 고전문학 교육 중에서도 고전시가와 고전소설 교육이 아닌 구비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다. 구비문학은 고전문학이나 현대문학 못지않게 충분한 교육적 가치가 있으므로 문학교육의 주된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당위성은 끊임없이 제기되어왔고...
TAG 고전연극, 가면극, 탈춤, 탈놀이, 탈놀음, 인형극, 전통연희, 구비문학, Classical Drama, Mask Drama, Mask Dance, Talnolyi, Talnoleum, Puppet Shows, Korean Traditional Entertainments and Plays, Oral Literature
중,고등학교 현대극 교육의 현황과 과제 -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보람 ( Bo Ram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209~241페이지(총33페이지)
현재 국어과교육과정에서 현대극은 ``극(연극, 영화, 드라마)``의 형태로 제시되어있다. 이전 교육과정까지는 ``희곡(극본)``으로 제시하였던 바와 차이를 보인다.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에서 밝혔듯이, 다매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여 영상 매체를 교육 내용에 포함한 것이다. 또한 제재의 형태가 문자에 한정되지 않고 시청각 자료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는 개정된 교육과정에 의해 발행된 국어 교과서에서 이와 같은 특성이 어떻게 실현되는지 살펴 보았다. 2007년 개정 국어과교육과정과 7-10학년 국어교과서를 자료로 학습목표, 재제,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 내용을 연극, 영화, 드라마의 하위 갈래와 극의 내용 요소, 형식요소를 기준으로 분류한 결과 하위 갈래와 극의 요소 간의 결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TAG 현대극 교육, 극문학, 국어교과서, 교육과정, Drama Education, Drama, Korean Textbooks, Curriculum
우리나라 국민의 언어생활 양상 연구
윤준채 ( Jun Chae Y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55~74페이지(총2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국민의 언어생활 양상 조사를 통하여 국민의 일상적인 언어활동 현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0명의 예비 조사 피험자와 100명의 본 조사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한국인의 국어(언어)활동 일과표>를 구안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인 ``한국인의 언어활동`` 양상은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국민들이 종사하고 있는 직업 군을 가로질러 많은 사람들은 일상생활 및 직업 생활에서 대부분은 음성언어(예, 말하기나 듣기) 혹은 문자언어(예, 읽기나 쓰기)를 매개로 하는 활동, 즉 언어활동과 관계가 있었다. 사람들이 수행하는 언어활동을 언어 사용 기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언어 사용 목적(설득, 설명, 친교, 정서 표현), 및 사용하는 매체 측면(연속적 텍스트, 비연속적 텍스트, 전...
TAG 국어 활동, 언어 사용 기능, 매체, 언어활동 양상, 음성언어, 문자언어, Language Activity, Language Usage Skills, Media, Oral Language, Written Language, Aspects of Language Activities
교육 내용으로서 문법 지식에 대한 재고
신호철 ( Ho Cheol Sh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4] 제15권 75~94페이지(총20페이지)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에서 평가절하 되고 있는 지식에 대하여 재고해 보았다. 특히 교육 내용으로서의 문법 지식에 대한 재조명이다. 그 동안 문법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하여 단편적인 지식을 단순히 암기한다는 저차적 사고라는 인식이 팽배하여 지식 교육에 대한 기피가 횡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법 교육 내용으로서의 지식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재조명하면서 그 지식에 대한 적정한 가치를 되찾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국어교육학의 각 영역에서 다루고 있는 지식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고 지식의 종류와 유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지식은 학문적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되었다. 흔히 국어교육 분야에서는 심리학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면서 명제적 지식, 방법적 지식, 조건적 지식 등의 다양한 지식의 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교육을 위해 지식은...
TAG 지식, 지식의 종류, 지식의 교수학적 변환, 고등 사고, 문법 교육 내용 지식, 국어교육 내용 지식, Knowledge, Kinds of Knowledge, Advanced Thinking, Grammar Educational Knowledge, Korean Educational Knowledg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