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14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제3국 출신 탈북 아동의 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 P학교 소속 탈북 아동과의 면담을 중심으로
한하림 ( Halim Ha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5] 제73권 327~358페이지(총32페이지)
TAG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새터민 아동, 다문화가정 자녀, 탈북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소셜미디어의 확산과 문학의 매체환경 변화 및 효과
임곤택 ( Kon Taek Li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5~27페이지(총23페이지)
이 논문은 최근 확산하고 있는 소셜미디어가 문학(작품)의 유통 및 향유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지를 고찰하고, 궁극적으로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문학의 성격과 범위의 변동에 대해 이해해보려는 시도이다. 먼저 출판의 개념에 대해 검토한다. 독자 개개인이 ‘종이와 인쇄’를 통하지 않고도 문학텍스트를 (재)가공하고 그것을 (재)전송할 수 있게 된 최근의 매체 환경은 새로운 출판 개념을 요구한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른바 소셜미디어라는 퍼블리싱 플랫폼의 등장으로, 출판은 송신자와 수신자가 분리된 상태에서 일방향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만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개개인이 어떤 매체를 이용해 정보를 전달, 공개하는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는 행위 전반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어 3장은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등 소셜미디어에 문학텍...
TAG 소셜미디어, 퍼블리싱, 트위터, 페이스북, 블로그, 디지털 콘텐츠, 아우라, social media, publishing, tweeter, facebook, blog, digital contents, aura
웹의 진화, 언어의 진화
고창수 ( Chang Soo Ko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29~44페이지(총16페이지)
정보 환경의 변화가 언어의 변이, 즉 언어 다양성이라는 진화적 행태를 결정한다. 언어의 변화는 언어의 탄생 이래로 인류가 지속적으로 경험한 것이다. 언어는 시간에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변화하기도 하지만, 때로는 새로운 정보 환경의 출현으로 급격한 언어 변화가 연출되기도 한다. 문자의 발명이나 인쇄술의 발달이 그 중심에 있었다. 대중매체의 출현에 이어 웹 2.0으로 대표되는 현재의 디지털 문명도 그 주역이다. 이런 점에서 웹의 발전이 촉진한 것으로 알려진 일탈적 언어 변화의 핵심은 사실 웹 환경을 통한 ‘구어의 문어화’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언어 변이는 웹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더 촉진될 것이다. 이러한 정보 환경에서 표준어라는 정책적 제한성이 가지는 의미는 더욱 희박해질 것이다. 그러나 표준어 정책이야말로 우리 사회를 결속하는 가장 큰...
TAG 웹 2.0, 정보 환경, 언어 변화, 언어 진화, 구어, 문어, sns, 표준어 정책, web 2.0, information environment, language variation, language evolution, SNS, standard language policy, oral language, written language
웹 2.0과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의 전망
박재현 ( Jae Hyun Park ) , 이아름 ( Ah Reum Lee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45~75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를 제2언어 수업에 활용하기 시작한 시기부터 웹 2.0이 학습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현재에 이르기까지 통시적 관점에서 교육 환경의 변화와 제2언어 교육 사이의 관계를 고찰하고, 한국어 학습 사이트를 통해 웹 환경의 발달이 한국어 교육에서 어떻게 구현되어 왔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 한국어 교육을 전망하고자 한다. 1990년대까지 컴퓨터는 제2언어 교육에서 보조 도구로 활용되다가 웹이 개발되면서 학습자와 웹을 연결하는 매개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에 컴퓨터가 담당했던 언어 학습의 보조적 역할은 웹이 이어받게 되었는데,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장을 마련하여 실제적인 언어 사용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컴퓨터가 수행했던 보조적 역할과 현재 웹이 담당하는 보조적 역할은 차이가 있다. 초기 한국어 학...
TAG 웹 2.0, 웹 기반 한국어 교육, 한국어 학습 사이트, 컴퓨터 보조 언어 학습, Web 2.0, Web-based Korean Language Instruction, Korean Language Learning Site,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명황계감(明皇誡監)』의 편찬 및 개찬 과정에 관한 연구
김승우 ( Seung U Ki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77~110페이지(총34페이지)
명황계감(明皇誡鑑) 은 당(唐) 현종(玄宗)이 양귀비(楊貴妃)의 미색에 탐닉하다가 정사를 등한시하고 국가를 패망의 지경에 이르게 했던 행태를 경계하기 위해 세종이 명찬한 전적으로, 그 내용에 의거하여 후일 자신이 직접 168장 분량의노랫말을 지어 붙이기도 하였다. 책의 실물은 전해지지 않다가 1970년대에야 일부 내용이 언해된 필사본 두 건이 발견되면서 명황계감 의 대략적인 실체를 추정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종래 논의들 역시 주로 필사본의 체계를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실전된 명황계감 의 본래 모습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미진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명황계감』의 원 체재와 내용이 어떠하였는지가 우선적으로 명확히 검토되지 않고서는 현전 필사본의 위상 또한 제대로 논의되기 어려울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각종 기록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
TAG 명황계감, 明皇誡鑑, 용비어천가, 龍飛御天歌, 월인석보, 月印釋譜, 세종, 世宗, 세조, 世祖, 박팽년, 朴彭年, 최항, 崔恒, Myeonghwanggyegam, Yongbieocheonga, Wolinseokbo, King Sejong, King Sejo, Park Paengnyeon, Choe Hang
완판본 <구운몽>의 인물 형상과 주제 의식
엄태웅 ( Tae Ung Eo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111~163페이지(총53페이지)
이본은 선본을 확정하기 위한 수단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이본 그 자체로 독자적인 면모를 지닌다. 그렇기에 이본은 해당 작품군의 향유 범위와 양상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표지이다. 지금까지 완판본 <구운몽>은 <구운몽>의 비선본 계열로 분류되어 작품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뤄지지 않았으나 선본 계열과 비교해본 결과 나름의 서사적 지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인물 형상의 측면에서 완판본은 선본 계열인 서울대본에 비해 남성주인 공인 양소유의 효심이 강조되고 영웅적 면모가 부각되는 반면 여성주인공들의 서사적 위상이나 역할은 약화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는 완판본 <구운몽>이 서사적으로 양소유를 보다 더 중요한 인물로 인식하고 양소유 쪽으로 서사의 축을 이동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특징은 <홍길동전>, <장풍운전>, <소대성전>, <용문전>, <...
TAG <구운몽>, 서울대본, 방각본, 완판본, 전주, 양소유, 성진, 환몽구조, 공(空)사상, 일장춘몽, 인생무상, , Xerographically produced novel, edition wanpanbon, Jeon-ju, Yang-so-you, Seong-jin, structure of empty dream, idea of Gong, frailty of human life
조선시대 녀사(女師)의 호칭과 그 교육적의미(敎育的意味)
윤경희 ( Kyung Hee Yoo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165~185페이지(총21페이지)
조선시대에서 女師라는 용어는 女士나 女中君子라는 말과 더불어 흔히 여성을 칭송하는 말로 쓰여 왔다. 그러나 궁중에서는 실제 女師라는 직책이 있었고 인격적으로 훌륭한 인물들이 선발되어 왕실의 자녀를 교육시켰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사대부가에서도 여사들이 드물게 자식이나 손자들을 가르치게 한 사례들이 보인다. 그러나 남성 중심 사회에서 남겨진 기록 중에는 그 편린만 보일 뿐, 그 실체는 자세히 알 수 없다. 소학에 보이는 女師의 첫째 기준은 훌륭한 인품과 덕성의 소유자가 최우선이었다. 이렇게 女師는 교육에 앞서 자신의 삶이 피교육자에게 모범이 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따라서 이들은 엄격할 정도로 공정한 잣대로써 매사에 임하며 모범적삶을 영위하였다. 실제적으로 女師의 칭호를 들은 홍서봉의 모친 유씨 부인과 김만중의 모친 윤씨 부인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그들은 상당한 수준의 지적 능...
TAG 여사, 덕성, 교육, 엄격, 공정, 무사, 편달, 효과, 솔선수범, Yeosa, virtue, education, specially strict, fairly, model of practice
지역의 정체성과 기억의 정치학 - "3,15마산의거"의 시적 형상을 중심으로
김문주 ( Mun Joo Ki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187~219페이지(총33페이지)
이 논문은 ‘3·15마산의거’(1960)를 소재로 한 시들을 대상으로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데 민주화운동의 경험과 기억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한국근대사의 중요한 사건이면서도 빈약한 문학적 생산성을 보여준 ‘4월혁명문학’의 의미를 새롭게 사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3·15’는 지난 50년동안 지역의 현실과 역사를 성찰하는 거울로서 기능해왔으며, 지역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정립하는 투쟁의 거점으로 자리해 왔다. 지역의 시인들, 혹은 지역 출신시인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생산된 ‘3·15’ 관련 시편들은 ‘3·15’가 과거에 종결된 역사적 사건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의 내면을 이루고 있는 생생한 현재적 의식임을 웅변한다. ‘3·15’ 시편들에 투영된 현실은 지역의 현실만이 아니라 질곡과 왜곡의 역사를 지나온 민족의 현실이었으며,...
TAG 3, 15, 마산, 4월혁명, 지역의 정체성, 마산의거, 4월혁명문학, 지역공동체의 기억, 기억의 정치학, 지역의 정신적 자산, 지역문학, 3ㆍ15, Masan, April Revolution, Regional identity, Masan movement, April Revolution-literature, Memories of the local community, Politics of memory, Mental asset of community, Lo
지명 ‘논산’의 유래에 대한 고찰
정경일 ( Kyung Il Ju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221~250페이지(총30페이지)
지명은 지역의 사회문화적 특성 및 지리적 특성을 반영하여 생성되는 것으로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며 지역 주민의 일체감을 형성하는데 매우 중요한 문화적요소가 된다. 따라서 지명의 의미와 유래를 밝히는 일은 지역문화의 특성을 확인하는 중요한 작업의 하나이다. 충청남도 논산시의 현재 지명 ‘논산’의 의미와 유래에 대해서는 그동안 1914년 일제강점기의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인해 생성된 지명이라거나 기타 학문적으로 검증되지 않은 민간어원차원의 견해들이 제기되어 왔을 뿐, 이에 대한 정확한 입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는 지역의 정체성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본고는 조선시대와 개화기의 여러 문헌을 통해 ‘論山’이 이미 18세기 문헌에산의 이름으로 등장하고 아울러 이를 전접소로 활용한 다양한 지명들이 등장한다는 사실과 논산 이외에 ‘논뫼’, ‘놀뫼’,...
TAG 논산, 놀뫼, 논뫼, Nonsan, Nolmoe, Nonmoe
TTT 모형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모듈 조직 방안
김지영 ( Ji Young Ki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4] 제72권 251~27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교육의 일반적인 모형인 과제 중심으로 변형된 PPP 모형이 아니라 과제 수행 후에 언어 항목에 대한 교수·학습 단계를 포함하고 과제를 다시 수행해 보게 하는 TTT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어 말하기 교재의 모듈을 조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교재는 통합 교재로 한국어를 학습했거나 학습하고 있는 중급 이상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의사소통적 필요, 교육적 가치, 학습자의 요구 등에 따라 필요한 내용을 선택하거나 선별할 수 있는 모듈식 접근에 따라 교재의 구성단위를 조직할 것을 제안한 것이다. 모듈은 교재의 구성단위로서의 완전성과 완결성을 갖추었으나 다른 구성단위와는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듈로 개발된 말하기 교재는 의사소통적 한국어능력의 신장이라는 한국어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복선적 구성의 한 ...
TAG 말하기 교재, TTT 모형, 구성단위, 모듈, 상호작용능력의 신장, 상호작용 지식의 구성, 수행의 정교함, speaking textbook, TTT(Task-Teach-Task) model, building block, enhancement interactive competence, constitution of interactive knowledges, correctness of performanc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