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146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박경리 『가을에 온 여인』의 멜랑꼴리적 주체 연구
허연실 ( Yeon Sil Heo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6] 제76권 147~170페이지(총24페이지)
이 글은 『가을에 온 여인』의 멜랑꼴리적 주체에 대하여 정신분석적인 관점으 로 살펴보는 글이다. 이 소설은 서사의 표면에 노출된 인물간의 갈등과 사건이 점 층적으로 결말의 행위로 이어지는 소설이 아니다. 의심하고 추리해야만 알아낼 수 있는 근원적인 이유가 서사의 밑바닥에 가라앉아 있으며, 이것이 결말의 자살 이라는 행위를 도출해낸다. 이 소설의 중심인물 오세정은 멜랑꼴리적 주체이다. 잃어버린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깊이를 알 수 없는 상실감에 사로잡혀 멜랑꼴리에 빠진다. 애도할 수 없는 미지의 상실은 조선인이자 민족반역자 아버지의 딸이라는 서로 상충하는 정체성 사이에서 발생한다. 오세정이 두 대상 사이에서 갈등을 일으키는 것은 오 세정의 무의식이 아버지의 욕망에 의존해 있었기 때문이다. 혐오스러운 아버지의 욕망과 자신을 동일시한 결과 오세정은 아버지에...
TAG 민족정체성, 민족반역자, 상실, 애도, 멜랑꼴리, 죄의식, 자기처벌, 자살, national identity, loss, mourning, melancolie, guilt complex, self-condemnation, delusion, suicide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구축을 위한 실제 사례 연구
고초 ( Chao Gao ) , 한정한 ( Jeong Han Ha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6] 제76권 171~206페이지(총36페이지)
본고의 목적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기술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가 한국 한자어와 중국 한자어의 용 법 차이를 정확히 알고 사용함으로써 오류를 최소화시키려는 데 목적이 있다. 한·중 한자어 사전은 한국 한자어와 현대 중국어의 사전 뜻풀이, 용례, 어원정 보, 한자어의 결합정보, 한·중 한자어 문법 단위로서의 대응관계, 한자어가 포함된 어휘묶음(lexical bundle)을 중심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중 한자어 비교사전 기술 방법을 제안해 보고자 했다. 기존의 한자어 분류 체계에 관련된 연 구를 분석하여 한·중 한자어의 대응 관계는 8가지로 나누고 그 다음에 기존 사전 과 관련 연구가 아직 해결하지 못하는 몇 가지 과제를 제시한 후 한·중 한자어 비 교사전 실제 사례를 통해서 한·...
TAG 한국 한자어, 중국어, 비교사전, 어휘대응, 표제어, 뜻풀이, Sino-Korean and Chinese dictionary, comparison dictionary, actual headword examples, dictionary definition statement
20세기 음성 자료에서 나타나는 체언 말 자음의 교체 현상
송인성 ( Inseong So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6] 제76권 207~232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20세기 음성 자료에 나타나는 체언 말 자음 /ㅈ, ㅊ, ㅌ, ㅋ, ㅍ/의 교 체 양상을 분석하여, 20세기 현대국어에서 체언 말 자음이 실현되는 양상을 살펴 본 것이다. 체언 말 자음이 실현되는 양상을 보다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세부 적으로 시기를 나누어 각 시기에 체언 말 자음이 교체되는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체언 말 자음은 20세기 음성 자료에서 다양한 형태로 교체되는데, /ㅈ/ 말음 은 [ㅅ, ㅊ]로, /ㅊ/ 말음은 [ㄷ, ㅅ, ㅈ, ㅌ]로, /ㅌ/ 말음은 [ㄷ, ㅅ, ㅊ]로, /ㅍ/ 말음은 [ㅂ]로, /ㅋ/ 말음은 [ㄱ]로 교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이 시기별로 실 현되는 양상을 보았을 때, 20세기 전기에 해당하는 1920-30년대 자료에서 체언 말 자음이 다양한 교체형으로 실현되는 것이 특징적이...
TAG 체언 말 자음, 마찰음화, 평폐쇄음화, 교체형, 20세기 현대국어, 음성 자료, noun-final consonants, spirantization, stop lenition, alternations, modern Korean in 20th century, spoken language corpus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 나타난 모음상승 연구
신우봉 ( Woo Bong Shin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6] 제76권 233~261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 현상의 실현 양상을 파악하고 동일 시기의 문어 자료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20 세기 구어 자료에서 나타나는 모음상승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려 대 구어 말뭉치: 20세기 전반기 자료``에서 실현되는 모음상승의 세 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ㅔ/→/ㅣ/`` 모음상승은 어휘형태소에서 비어두 위치를 제외하고 어 두 위치의 장음과 단음 그리고 문법형태소에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모음상승 비율을 고려했을 때, 어휘형태소에서 어두 위치의 장음이라는 환경에서 가장 활발히 실현되며 문법형태소에서는 매우 적게 나타났다. ``/ㅓ/→/ㅡ/`` 모음상 승은 모든 실현 환경에서 나타나며 주로 문법형태소에서 생산적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두 위치에서 장...
TAG 모음상승,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 서울 방언, 어휘형태소, 문법형태소, 음장, vowel raising, spoken Korean, vowel length, word-initial position, word-internal position, lexical morpheme, grammatical morpheme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대화에서 상호사고 양상 분석
김지애 ( Jiae Ki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6] 제76권 263~290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학문적 대화에서 상호사고 양상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 후 토론 수행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삼아 학습자들의 상호사고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자료에서 상호사고가 나타났는지 여부는 학습자의 발화가 ``탐구 발화``로서 유효한지를 기준으로 판단 하였다. 먼저, 양적인 분석을 토대로 각 학습자의 전체 발화 수 중 유효 발화 비율 이 어느 정도 되는지를 파악하였다. 그런 다음, 유효 발화 비율이 가장 높은 학습 자를 활발한 상호사고자로 설정하고 반대로 유효 발화 비율이 가장 낮은 학습자를 부족한 상호사고자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둘의 발화 양상을 비교하여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활발한 상호사고자는 발화에 비판적 관점과 해석, 논증, 맥락 성 찰 및 종합, 실천적 대안 등이 나타났고 논의를 풍...
TAG 학문 목적 한국어, 학문적 대화, 상호사고, 탐구 발화, 발표 후 토론, Korean for academic purpose, academic dialogue, interthinking, exploratory talk, discussion after presentation
백석 시의 중국문화 수용과 문화의식의 특성
박경수 ( Kyung Su Park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5] 제75권 5~32페이지(총28페이지)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발표된 백석의 시 작품들 중 중국문화에 대한 체험을 바탕으로 쓴 시 작품들을 논의하면서 중국문화의 시적 수용의 특성을 밝히고, 백석의 중국문화 수용에 따른 문화의식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백석의 시에서 시적 주체는 이방인으로서의 관찰자가 아닌 문화 참여자로서 중국문화를 수용하되, 주체의 다양한 감각에 따라 중국문화를 수용하고 있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시적 주체가 체험하는 중국문화는 중국의 오랜 문화적 전통을 들여다보는 거울과 같은 기능을 했다. 이런 점에서 중국문화는 당대적인 의미를 갖는 동시에 과거의 중국문화를 추체험하는 의미를 지닌다. 백석의 중국문화의 수용 태도는 일단 양가적인 것으로 나타나지만, 세속을 벗어난 정신적 여유와 한가로움, 그리고 풍류를 지향하는 시인의 문화적 선호의식에 따라 중국문화를 긍...
TAG 백석, 만주체험 시, 중국문화, 이문화, 다문화, 문화의식, 상호 문화적 의식, 탈식민주의, Baek Seok, Manchuria experience poems, Chinese culture, different culture, Multi-culture, Cultural Consciousness, Inter-cultural Consciousness, Postcolonialism
전우치(田禹治) 전승의 양가적 표상(表象)과 그 역사적 맥락
이종필 ( Jong Pil Lee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5] 제75권 33~56페이지(총24페이지)
이 논문은 실존 인물 전우치가 다양한 텍스트 속에서 ‘민중적 영웅’과 ‘패륜적범법자’라는 극단적인 양가적 표상의 인물로 등장하게 된 역사적 맥락을 고찰해보고자 기술되었다. 이를 위해 본고는 『松窩雜說』, 『撫松小說』 등의 기록을 토대로 그간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던 ‘呪術的 治病者’로서의 전우치 형상에 주목하였다. 관련 기록에서 전우치는 한 가족이나 마을 전체를 病魔에서 벗어나게 해주는 구원자의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이와 같은 治病者로서의 형상은 전우치에 대한 초기 기록에서부터 조선후기의 문헌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등장한다. 문제는 전우치의 도술이 神異한 치병 능력으로 형상화되었을 뿐 아니라 다른한편에서는 패륜적 범죄를 저지르는 부정적 힘으로 묘사되기도 한다는 사실이다. 흥미로운 것은 전우치를 패륜적 범법자로 기록하고 있는 문헌에서는 도술 습득의 소종래를 ‘...
TAG 전우치, 주술적 치병자, 좌술, 左術, 양가적 표상, 전우치전, Jeon Woo-chi 田禹治, a shamanistic curer, a negative power, the ambivalent representation, < Tales of Jeon Woo-chi 田禹治傳 >
『북상기(北廂記)』의 곡문(曲文)에 나타난 글쓰기 특징 -김성탄 비평본 『서상기(西廂記)』와 『도화선(桃花扇)』의 비교를 중심으로-
雷挺 ( LEI TI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5] 제75권 57~78페이지(총22페이지)
본고에는 『북상기』의 曲文(노래가사)에 나타난 형식 특징을 고찰하고, 동시에 그 특징이 형성된 이유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北廂記』는 19세기에 창작된 한문 희곡이다. 지금까지 『북상기』에 대한 연구는 주로 창작 시기, 체재 분석, 주제, 인물, 욕망,性담론, 음악, 창작의식 등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그러나 『북상기』작품의 曲文을 고찰한 연구가 아직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북상기』 곡문에 나타난 글쓰기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먼저 중국 희곡의 특유한 특징인 ‘.字’를 중심으로 『북상기』와 『西廂記』, 『桃花扇』을 각각 비교하면서 친자의 有無를 고찰하였다. 『서상기』는 元雜劇으로 친자가 많고, 『도화선』은 명`청 전기로 친자가 약간 적은 편이다. 한편 『북상기』에는 친자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양상을...
TAG 북상기, 北廂記, 서상기, 西廂記, 도화선, 桃花扇, 친자, 친字, 상하편, 上下片, , , 명대전기, 원잡극, 한문 희곡, Buksanggi, Seosanggi, Dohwaseon, Chinja, the first and second Pyeon, Sa, Prose of the Ming Dynasty, Poetic drama of the Yuan Dynasty, Chinese Drama
초등학생 일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제목의 특성
안정아 ( Jeong A An ) , 남경완 ( Kyoung Woan Nam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5] 제75권 79~108페이지(총30페이지)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5학년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난 제목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형식적 측면의 분석에서는 초등학생의 일기 제목이 단어, 구절, 문장 가운데 어떤 형식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지를 살피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떤 변화 양상이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초등 일기 텍스트의 제목은 단어,구절, 문장 등의 형식이 모두 나타나는데, 단어형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구형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단어형의 제목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확장형으로 변형되는 예가 많이 발견되었고, 단순 구 형식과 갖춘형 문장 형식의 제목은 점차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초등학생들이 일기의 제목을 붙이는 방식이 단일 명사나 사건 요약형의 구 형태에...
TAG 일기 텍스트, 초등학생, 텍스트성, 제목, 단어형, 구절형, 문장형, 재수용, 배경, 일화, 논평, 학년별 발달, diary text, elementary school students, textuality, title, wordtype, phrase type, sentence type, reacceptance, background, episode, comment, development by grade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에서의 "안" 부정법
정연주 ( Yeon Ju Jeong ) , 정경재 ( Kyeong Jae Chung ) , 홍종선 ( Jong Seon Hong )  민족어문학회, 어문논집 [2015] 제75권 109~145페이지(총37페이지)
이 논문은 20세기 전기의 구어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당시의 ‘안’ 계열 부정문이 보이는 형태적·분포적·기능적 특성을 살핀 것이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구형인 ‘아니’형이 동시기의 문어 자료에 비해 뚜렷하게 적은 비율로 실현되고 있다는 것, 또 ‘아니’형이 단형 부정보다 장형 부정에서 덜 쓰이고 있으며 장형 부정문에서 ‘아니’형이 쓰인 예 중 의문 어미가 이어지는 경우는 보이지 않는다는 것, 또장형 부정의 ‘아니’는 동사보다 형용사에서 덜 쓰이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분포적 특성으로는 동사에 비해 형용사에서 단형 부정이 극도로 잘 쓰이지 않는다는 것, 또 부정부사의 어근 분리 현상이 동시기 문어 자료에 비해 아주 드물게 보인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기능적 측면에서는 부정적 전제 확인 기능이 장형 부정 형식으로 실현된 비율이 오늘날보다 높게 나타나고 ...
TAG 단형 부정, 장형 부정, 부정 서술문, 부정 의문문, 형용사, 어근 분리 현상, "아니", short-form negation, long-form negation, negative declaratives, negative interrogatives, adjectives, root-separation, "ani"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