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대학교육에서 성적 우수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 탐색
성은모 ( Eunmo Sung ) , 최효선 ( Hyoseon Cho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2호, 427~452페이지(총26페이지)
인간에게 있어서 ‘자기주도학습역량’은 변화하는 사회 경쟁 속에서 상대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능력 중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특히, 대학생 시기의 ‘자기주도학습역량’ 개발은 청소년기에서 성공적인 성인기로 이행하기 위한 중요한 발달과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시기에 발달시켜야 하는 ‘자기주도학습역량’의 주요요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역량의 관점에서 대학교육에서 최고 수준의 학업성취도를 보이는 성적 우수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역량에 대한 요인과 주요특성을 살펴보고, 성적 우수 학습자가 되기 위한 핵심적인 자기주도학습역량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1,000명(남학생: 499명, 여학생: 501명)을 전국규모로 단순비례방식으로 모집단을 샘플링하여 자기주도학습역량을 측정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
TAG 자기주도학습, 역량, 성적 우수자, 학업성취도, 대학교육, Self-Directed Learning (SDL), competency, academic achievement, higher education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theory)을 기반으로 한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 탐구
류재훈 ( Jae Hoon Ryu ) , 최윤미 ( Yoon Mee Choi ) , 김령희 ( Ryeong Hee Kim ) , 유영만 ( Yeong Mahn You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인간과 기술의 관계에 급진적 관점을 제시하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이하에서 ANT로 표시)에 비추어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ANT는 기술을 포함한 비인간 행위자에게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부여함으로써, 그동안 서양철학에 내재되어 있는 주체/객체, 인간/기술 등의 이분법적인 관념의 틀을 탈피하는 대안적 관점을 제시한다. 인간과 기술을 둘러싼 다양한 현상을 여러 행위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관계적 효과로 이해하는 ANT의 철학적 입장을 분석함으로써 교육공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재조명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ANT의 개념과 원리가 무엇인지를 살펴본다. 이는 ANT에 비추어 교육공학을 바라보는 관점을 확대하고자하는 본 연구의 자연스러운 출...
TAG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교육공학, 기술, 브루노 라투르, ANT, actor-network theory, educational technology, technology, Bruno Latour
문제중심학습 모형 및 실천적 교수전략 탐색: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최욱 ( Wook Cho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29~64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PBL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교육의 핵심 쟁점과 동향을 반영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이론적 기반을 정립하고 이를 토대로 현장의 교육전문가들에게 실행안내서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체제의 문제중심학습 모형과 구체적인 교수전략을 개발하는데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통섭, 지식 예술(knowledge arts), 자기결정이론, 자기결정학습(Heutagogy), 다중 지능 이론 등을 새로운 체계의 이론적 기반으로 정립하고 각 이론들을 구성주의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병행하여 PBL과의 접목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기술하였다 이와 더불어 각 이론들이 기존의 PBL 모형과 교수 설계 전략에게 던져주는 의미와 시사점을 다각도로 논의해보았다. 이러한 이론 체제들을 바탕으로 1) 문제 설계, 2) 학습 목표 재구성, 3) 문제 상황 파악, 4...
TAG 문제중심학습, 자기결정이론, 통섭, 다중 지능, PBL, Knowledge arts, Self-determination theory, Self-determined learning, Multiple intelligences, Heutagogy
이상적 연구이론을 넘어서 실천가능한 연구모형으로서 디자인기반 교육연구의 재조명
오은정 ( Eunjung Grace Oh ) , 이지연 ( Ji Yeon Lee ) , ( Thomas Reeves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65~85페이지(총21페이지)
본 논문은 국내 연구자들, 특히 연구경력이 길지 않은 대학원생들이나 신진연구자들에게는 아직도 비교적 낯설고 부담스러운 연구이론으로 여겨지는 디자인기반 교육연구(Educational Design Research)에 대한 이해를 돕고, 단순히 새롭고 이상적인 대안적 연구이론으로서가 아니라 다양한 교육문제의 해결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을 위한 매력적이고 실천가능한 연구모형으로서 디자인기반 교육연구를 재조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존의 실증적이고 이론중심적인 교육연구 패러다임과 차별화되는 디자인 기반 교육연구의 취지와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고, 박사학위과정에서 이같은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한 연구 프로젝트를 계획하는 학생들을 위하여 디자인기반 교육연구의 수행과정을 ‘분석 및 탐색 - 설계 및 구성 - 평가 및 성찰’의 3 단계로 나누어...
TAG 디자인기반 교육연구, 설계기반연구, 대학생 표절, 학업윤리, Educational Design Research, EDR, Design-Based Research, DBR, student plagiarism, academic integrity
수업 설계자 역량에 대한 집단별 요구의 차이에 관한 연구
문은경 ( Eunkyung Moon ) , 박인우 ( Innwoo Park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87~11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변화된 교수-학습 환경에 따라 수업설계자의 역량에 대한 현장 실무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의 인식의 차이와 이러한 인식과 교과과정의 관련성을 분석하는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업설계자의 역량에 대하여 실무 현장 전문가와 교육기관 전문가가 인식하는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수업설계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이 수업설계자 역량을 육성하기 위해 관련 교과목의 개설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수업설계자 역량에 관한 요구를 확인하기 위해 IBSTPI의 수업설계자 역량 표준안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실행도로 구분하여 자료를 수집하기 위한 설문도구를 만들었다. 자료 수집을 위해 72명의 현장 실무 전문가와 47명의 교육기관 전문가가 선택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IPA를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수업설계자 육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교육공학 전공이 개설되어 ...
TAG 수업설계역량, 수업설계, 요구분석, instructional designer competencies, instructional design, need analysis, IPA
복잡한 과제에서 협력학습 효율성에 대한 정서적 설명: 인지부하이론의 관점에서
시지현 ( Ji Hyun S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113~137페이지(총25페이지)
최근 복잡한 과제학습에서 협력학습의 효율성을 집단 효능감이라는 동기요인으로 정서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시도가 제기되었다. Kirschner, Paas와 Kirschner(2011a)는 복잡한 과제로 초래되는 인지적 부담이 협력학습자들 간에 분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학습과제의 성공적인 해결에 대한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학습자들이 아는 것, 즉 효능감을 바탕으로 협력학습이 개별학습보다 효율적임을 설명하고 있다. 이들은 학습자들의 이러한 믿음을 사전 인지부하로 측정하여, 실제 학습하기 전에 복잡한 과제학습에 있어 협력학습자들이 개별학습자들보다 더 적은 인지부하 투입을 예상하는 결과를 실험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협력학습결과 보고 부재, 관련 후속연구의 부재, 그리고 집단 효능감 측정 도구 ...
TAG 인지부하이론, 효능감, 협력학습, 학습 효율성, 동기, Cognitive load theory, efficacy, collaborative learning, learning efficiency, motivation
이러닝 환경에서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최은진 ( Eun Jin Choi ) , 최명숙 ( Myoung Sook Cho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139~164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이러닝 환경에서 이러닝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5년간 발표된 논문 중 이러닝 상호작용과 학습효과를 연구 변인으로 하는 석.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에 수록된 논문을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최종 35편의 논문에서 각 변인의 상관계수를 바탕으로 102개의 효과크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효과크기의 해석은 Cohen(1988)의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의 상호작용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닝 환경에서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면 학습자의 학습효과도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이러닝 상호작용 유형과 이러닝 학습효과 간의 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학습자-콘텐츠...
TAG 이러닝, 상호작용, 효과크기, 메타분석, 학습효과, e-learning, Interactions, Effect size, Meta-analysis, Learning effect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탐색: 사례 연구
임정훈 ( Jung Hoon Lee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165~199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교육에서 플립러닝의 효과적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을 탐색하기 위하여 플립러닝 수업사례를 실제로 개발.운영해 보고 해당 수업에서 적용한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학생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떤 교육적 유용성이 있는지를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I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학습을 위한 자료로서 이러닝 콘텐츠가 제공되는 ‘원격교육론’ 강좌와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되는 ‘교수설계론’ 두 강좌를 플립러닝으로 설계.운영하였다. ‘원격교육론’은 KOCW에서 제공하는 플래시 기반 이러닝 콘텐츠를 활용하여 사전학습을 수행한 다음 자기점검퀴즈 → 질의 및 응답 → 미니 강의 → 토론 및 팀별 활동 → 정리 및 차시예고 형태로 진행되었으며, ‘교수설계론’은 자기점검 퀴즈 → 질의 및 응답 → 토론 및 팀별 활동 →결과...
TAG 대학교육, 플립러닝, 플립러닝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 사례연구, higher education, flipped learn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case study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 활용 협력학습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현경 ( Hyun 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201~228페이지(총2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직과정에서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이 학습성과로서 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협력학습을 통한 프로젝트 학습활동이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소재 A대학교의 교직과정인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과목을 수강한 학생들을 위키를 활용한 협력학습 집단과 위키를 활용하지 않은 협력학습 집단으로 구분하여 두 집단 간에 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위키를 활용하여 협력학습을 수행한 실험집단과 위키를 활용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프로젝트 학습활동과 교과학습지도 역량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학습...
TAG 교직과정, 협력학습, 프로젝트학습, 위키, pre-service teacher training, collaborative learning, project-based learning, wiki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 분석
송연옥 ( Yeon Ok Song ) , 노혜란 ( Hye Lan Roh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1호, 229~251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및 강의 저해 요인을 양적ㆍ질적방법으로 분석하여 대학 교원에게 우선적으로 필요한 교수역량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S대학교 교원 59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 개선 요구도 조사를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2차적으로, 교원 23명을 대상으로 행위사건면접조사(Behavior Event Interviews: BEI)를 실시하였다. 1차 자료는 보리치(Borich) 공식을 이용하여 요구도를 산출하였으며, 2차 자료 분석은 해석적 판독 방식인, 문장단위로 사례 절편화하기, 개념화하기, 범주화하기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차 자료 분석결과, 교수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실행도가 가장높다고 생각하는 역량은 ‘학생과의 의사소...
TAG 교수역량, 수업역량, 강의역량, 강의 저해 요인, 교수학습센터, 교수지원 프로그램, 요구도, 보리치 공식, teaching competency, lecture inhibiting factors, teaching and learning center, CTL, faculty support program, instructional competency, lecture competency, borich formula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