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 데이터 탐색 연구
성은모 ( Eunmo Sung ) , 진성희 ( Sung Hee Jin ) , 유미나 ( Mina Yo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3호, 487~533페이지(총47페이지)
이러닝 학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자율성과 주도성을 기반으로자기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을 증진시키고 이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이러닝 학습환경의 제공을 위해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그 요소들을 추출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학습분석학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는 학습데이터의 유형과 특성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탐색하고, 자기주도학습 구성요소별 관련 학습데이터 유형과 특성이 적합한지에 대한 타당성 여부를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객관적인 타당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습분석학관점에서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적용 가능한 자기주도학습의 구성요소로 메타인지(계획, 모니터링, 성찰), 학습전략(예습, 복...
TAG 이러닝, 자기주도학습, 학습분석학, 학습데이터, 학습활동, 학습행동, e-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analytics, learning data, learning activity, learning behavior
혼합연구를 통해 본 플립드 러닝의 영향과 인식
서미옥 ( Meeock Suh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3호, 535~570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과 전통식 수업을 실시한 후에, 학습자의 학업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 자기행동 평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차이를 비교하고,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생들의 인식을 질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교육심리학 강좌를 수강한 98명의 예비교사들로 구성되었다. 실험집단(49명)은 거꾸로 교실에 배치되고, 통제집단(49명)은 전통식 수업에 배치되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실계이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는 학업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플립드 러닝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교수 실재감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수업만족도가 전통식 수업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플립드 러닝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자기행동 평가가 전통식 수업보다 유의...
TAG 플립드 러닝, 거꾸로 교실, 능동적 학습, 혼합연구, Flipped Learning, Inverted classroom, Active Learning, Mixed Methods
국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 탐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조규락 ( Kyoo Lak Cho ) , 김찬희 ( Chan Hui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3호, 571~609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육공학의 대표 학술지인『교육공학연구』와『교육정보미디어연구』에서 초록과 키워드가 제시된 모든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초록과 키워드가 제시된 2002년부터 2016년까지 총 897편의 논문에서 3,694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고, 정제와 코딩을 거쳐 최종적으로 2,010의 주요 키워드를 도출하였다. 이 중에서 주요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빈도분석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고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를 보여주는 네트워크 지도와 지표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는 좁은 의미에서 테크놀로지의 교육적 활용을 탐구하는 것이지만, 핵심적 사항은 교육이론 기반의 주제들과 연결되어 함께 연...
TAG 교육공학, 지식 구조, 테크놀로지,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Educational Technology, Knowledge Structure, Technology, Network Text Analysis
국내 학교교육에서의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연구의 동향분석
김성종 ( Sungjong Kim ) ,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3호, 611~641페이지(총31페이지)
교육공학에서 학교교육에 기여하는 영역 중 교수매체 즉, 테크놀로지 영역은 매우 중요하다. 학교교육을 위한 테크놀로지 활용 효과는 수업 혁신으로 학습자 중심 수업방법, 그리고 의미 있는 테크놀로지 활용은 교육공학 연구 결과와 현장의 우수 사례에서 일관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교육정보화정책과 맞물린 국내 학교교육 맥락에서 테크놀로지 기반학습자 중심 학습환경에 대한 교육공학의 설계와 맥락의 측면이 어떠하였는지 파악하는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관련 국내 연구에서 활용된 학습자 중심 교수학습 모형, 테크놀로지 유형, 테크놀로지의역할, 학교교육의 맥락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연구에서의 활용된 교수·학습모형은 문제기반학습과 협력학습이 주도적으로 활용되었고, 테크놀...
TAG 학습자중심 학습환경, 테크놀로지, 학교교육, 연구동향, technology-based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school education, research trends
학교현장에서 활용되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예비교사의 지속적인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학교현장실습을 중심으로
정한호 ( Hanho Je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3호, 643~675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교원양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을 도출하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종합적인 모형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사교육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과 지도교사와의 경험을 외부변인, 테크놀로지 활용수업에 대한 신념과 테크놀로지 활용수업 경험을 매개변인, 그리고 사용의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9개의 가설을 설정한 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학교현장실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예비교사 375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연구가설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교현...
TAG 예비교사, 교육실습, 테크놀로지 활용, 사용의도, Pre-service Teacher, Pre-service Internship Course, Technology Use, Behavior Intention
학습분석학 국내 문헌 고찰: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실증연구를 중심으로
안미리 ( Mi-lee Ahn ) , 최윤영 ( Younyoung Choi ) , 배윤희 ( Yunhee Bae ) , 고윤미 ( Yoonmi Ko ) , 김민하 ( Minha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2호, 253~291페이지(총39페이지)
학습분석학(Learning Analytics)은 학습이 일어나는 전 과정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온라인 콘텐츠 활용과 이러닝이 보편화됨에 따라 학습분석학은 학습유형고찰, 학습평가, 맞춤 학습 등 교육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 국내연구에서는 학습분석학의 연구가 미비한 점을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습분석학을 적용한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고, 향후 국내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6년 2월까지 발표된 국내 학습분석학 관련 문헌 중 실증적 연구 중심의 문헌으로 최종 61편을 선정하였으며, 선별 절차와 과정은 Papamitsiou와 Economides(2014)의 문헌연구 방법을 따랐다. 문헌분석 ...
TAG 학습분석학, 실증 연구, 체계적 문헌 분석, Learning Analytics, Learning setting, Data analysis metho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SNS 활용 특성에 관한 인터넷 질적 연구: “밴드”를 중심으로
오영범 ( Young-beom Oh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2호, 293~325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는 단위학교에서 함께 생활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SNS의 한 유형인 밴드를 사용하는 특징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방법으로 최근에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구름초등학교 교사들이 구축하여 운영하는 밴드에 직접 참여 관찰하였고,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자의 필드노트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는 등 삼각검증법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의 주요 이슈인 타당화 문제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질적 자료의 관리와 분석을 위해 한국형 CAQDAS(Computer Assist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인 ‘파랑새2.0’을 활용하였다. 전사, 코딩, 주제 발견으로 이어지는 질적 자료의 유기적 분석 과정에서 ...
TAG 인터넷 질적 연구, 밴드, SNS, Band, Elementary School, Qualitative research, Internet Qualitative Research
자발적 참여에 의한 초등온라인학습공동체에서의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의 특징 탐색
성혜성 ( Hyesung Sung ) ,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2호, 327~354페이지(총28페이지)
학습자들은 웹 2.0을 적용한 학습플랫폼에서 온라인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학습하고 있는 학습 형태를 보이고 있다. 학교 밖의 온라인 공간에서 학습자들은 활발하게 학습공동체를 이루어 학습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생성하고 참여한 온라인학습공동체 내에서 이루어진 협력적 지식형성과정과 참여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초등 온라인학습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놀이터’의 스터디그룹 중 하나를 사례로 선정하여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게시판에 남겨진 게시글과 댓글을 수집 및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한 새로운 분석틀을 토대로 담화를 코드화하여 CORDTRA다이어그램으로 나타내었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협력적 지식형성과정의 특징과 학습자의 참여 양상을 살펴보았...
TAG 초등, 온라인학습공동체, 협력적 지식형성과정, CORDTRA 다이어그램, Elementary school, Online learning community,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process, CORDTRA
온라인 문제해결 토론과정에서 문제유형과 토론 메시지 유형에 따른 이모티콘 사용의 차이와 영향
조규락 ( Kyoo-lak Cho ) , 지연정 ( Yeon-jeong J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2호, 355~390페이지(총36페이지)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커뮤니케이션 환경에서 문제유형과 토론 메시지 유형에따라 이모티콘의 사용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와 문제해결토론과정에서 이모티콘이 어떤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학생 3학년 8명으로 구성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들은 비구조ㆍ정구조의 문제유형을 카카오톡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토론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요구받았으며, 문제해결토론이 끝난 후에는 심층인터뷰를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Henri(1992)가 제안한 메시지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용분석과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심층면담 자료는 질적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정구조 문제를 해결할 때보다 비구조 문제를 해결할 때 이모티콘을 더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구조 문제해결 토론과정에서 토론 메시지 유형에 따라 사용되는 이모티콘 유형에서 차이가 ...
TAG 문제유형, 온라인 문제해결토론, 이모티콘, 토론 메시지, 내용분석, problem types, online problem-solving discussion, emoticon, discussion message, content analysis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홍효정 ( Hyojeong Hong ) , 이재경 ( Jaykyung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6] 제32권 제2호, 391~425페이지(총35페이지)
최근 들어 수업에 대한 효과성과 효율성이 강조되면서 다수의 대학에서는 대학 특성화를 반영한 블렌디드 러닝을 권장하고 있으나, 블렌디드 러닝의 특성이 고려된 교수역량개발 지원 등의 프로그램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수역량의 구성요소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블렌디드 러닝의 교수역량과 관련된 문헌들을 고찰하고, 델파이 조사로 합의도와 수렴도 검증을 통해 최종11개 역량, 32개 하위요소로 도출되었다. 수업준비 역량군에서는 ‘수업설계’, 수업운영 역량군에서는 ‘교수 리더십’, ‘퍼실리테이션’, ‘커뮤니케이션’, ‘실재감’, ‘집단지성’, ‘디지털리터러시’, ‘교수 창의성’, ‘공정한 평가ㆍ긍정적 피드백’이고, 마지막으로 교수태도 역량군에서는 ‘학생존중’, ‘교수 열정’ 등이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블렌디...
TAG 블렌디드 러닝, 교수역량, 역량도출, 교수 전문성, blended learning, teaching competency, identifying competencies, teaching expertis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