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104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김명인 시집 『동두천』에 대한 탈식민주의적 고찰의 가능성
손현숙 ( Son Hyun-su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113~142페이지(총30페이지)
이 논문은 김명인 시에 나타난 타자성과 주변 의식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시집 『동두천』을 탈식민주의의 관점으로 고찰할 수 있는 지 그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탈식민주의의 인식론이란, 근대화를 먼저 이룩했던 서구사상은 우월하고 그 나머지는 열등하다는 강자와 약자, 지배와 종속, 대척과 대립, 권리의 박탈, 고향을 잃어버림, 주변에서 물러남 등의 이분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것이다. 이는 중심을 비껴가면서 타자화된 인간과 인간 사이에서 박탈당한 주체의 권리를 찾겠다는 실천적 인식론이다. 본고에서 밝히고자 하는 탈식민주의의 인식론이란 식민 지배를 벗어나 독립과 자율을 누리는 상태의 이론 구성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우리의 의식은 물론 무의식에 이르기까지 침투해 있는 서구 중심적 사유체계를 파헤침으로써 새로운 인식의 기반을 구축해나가...
TAG 탈식민주의, 김명인, 동두천, 지배, 억압, 종속, 강자, 약자, 타자, post-colonialism, Kim Myeong-in, Dongducheon, assume control, suppress, powerful, subordinate
최창학의 「창(槍)」에 나타나는 주인공의 의식 연구-강박증적 의식에 관하여
이승준 ( Lee Seung-ju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227~254페이지(총28페이지)
본 논문의 목적은, 최창학의 중편소설 「창」에 나타나는 주인공 이상의 의식에 대해 고찰하는 데 있다. 「창」의 주인공 이상(李常)은, 자신의 의식을 반성적으로 의식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자기화한다. 그는 타인과 진정한 관계를 맺지 못한다. 이러한 이상의 의식은 강박증적 사고와 닮아있다. 강박증자는 대상이 타자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이상의 의식은 타자의 세계를 인정하지 않고 사물을 자기화함으로써 고립되었다는 점에서 강박증적 구조를 보인다. 「창」은 전체에 걸쳐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상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자살충동이라는 상반된 의식을 지니고 있다. 이상의 죽음에 대한 두려움은 그의 폐병(기흉)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그의 의식에 더욱 크게 자리 잡고 있는 것은 자살충동이며, 그 근저에는 아버지와 동생의 죽음에 ...
TAG 의식, 강박증적, 고립, 자살충동, 삶과 죽음의 경계, 거울, 유사자, 머뭇거림, consciousness, obsessive, isolated, between life and death, Mirror, counterpart, hesitate
영문 판소리동화 그림책의 번역양상 고찰
오윤선 ( Oh Yoon-su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347~377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판소리를 제재로 한 그림책들을 대상으로 영역(英譯)양상을 살펴보았다. 영문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을 구입하는 독자들 가운데는 한국문화를 배우기 위한 사람들이 많은데, 판소리동화가 이런 목적에 가장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흥부전> 9편, <토끼전> 2편, <심청전> 3편 등 모두 14편의 영문 판소리동화 그림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의외로 한국전래동화 그림책이 아닌,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까지 출판된 영문 한국설화집의 영향을 받았음을 보았다. 게다가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부족으로 초래된 오류들이 현재의 출판물에도 수용되어 있었다. 번역의 단계를 보면, 먼저 판소리의 특징을 살리고, 상상력을 자극하는 소재를 활용하여 어린이 독자에게 맞는 변개의 단계를 거쳤다. 다음으로 타문화권 독자를 위해 한국문화를 소개하는 개작을 거쳤는데, 어...
TAG 영문 판소리동화, 그림책, 판소리계 소설, <흥부전>, <토끼전>, <심청전>, rewriting, pansori novel, children`s book, English Korean Fairy tales, picture book, Heungbu-jeon, Tokki-jeon, Shimcheong-jeon
`자기 성찰적 글쓰기`의 논증적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시론(試論)
권채린 ( Kwon Chae-ri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409~438페이지(총30페이지)
이 글은 대중 인문학의 광범위한 확산 현상 속에서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화된 정체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출발하였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는 다른 유형의 글쓰기에 비해 대학의 아카데미즘 안에서 보다 모호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것이 지닌 개별적 · 경험적 기술 양식의 편향은 깊이 있는 인문학적 성찰을 이끌어 낼 공통의 준거, 합리적 소통의 담론을 구성해 내는 데 난점으로 작용한다. 교수자의 역할도 학습자의 개별적 담화에 대한 유연한 의사소통 작업에 치우치는 것이 사실이다.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내면-기억-치유`의 담론에 편향되지 않고 심화된 인문교양으로서 정립되기 위해서는, 담화 공동체의 논의를 기반으로 개인의 주관적 기술을 넘어서는 상호주관적인 의사소통을 지향해야 한다. 그 일환이 바로 자기성찰의 과정을 학술 담론과 연동시키는 학습 프로그램의 운...
TAG 자기 성찰적 글쓰기, 대중 인문학, 자기 논증, 카임 페렐만, 아카데미즘, self-reflective writing, popular humanities, self-argument, Chaim Perelman, academism
자기소개서 항목별 작성법 연구
정우진 ( Jung Woo-ji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467~512페이지(총46페이지)
이 글은 자기소개서 항목의 목적과 기술돼야 하는 내용을 살펴본 연구이다. 이 연구는 갖추어야 할 요건을 최소화시킨 작성법 제시를 통해 대학생들의 자기소개서 작성 원칙을 이해하고, 유용한 자기소개서의 자유로운 작성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자기소개서는 입사 후 포부를 중심으로 하는 논설문이다. 지원 동기 및 입사 후 포부가 주장, 나머지 항목들이 그 근거가 되는 항목에 해당한다. `지원 동기`는 포부(해결책)를 실현하기 위한 문제점 인식의 계기, `포부`는 해당 분야에서 이루고픈 목표(해결책)를 주 내용으로 한다. 이때의 목표란 크게 `변화, 개선, 발전, 극복` 등의 성격을 띠며,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반드시 실천해야 할 것`이라는 전제를 갖는다. 지원 동기와 입사 후 포부는 `직업은 자아실현의 도구`라는 인식을 통해 바르게 작성될 수 ...
TAG 자기소개서 작성법, 목적과 내용, 지원 동기 및 입사 후 포부, 주장과 근거, 설득, 기본 작성 원칙, How to write a letter of self-introduction, Purpose and Contents, Motivation for Application & Aspiration, Argument and Grounds, Persuasion, Basic Writing Principles
한국어와 터키어에 있어서의 이동 동사 대조연구 - `가다/오다`와 `GITMEK/GELMEK`을 중심으로 -
조은숙 ( Cho Eun-suk ) , 옥타이괵한반발 ( Banbal O. 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513~538페이지(총26페이지)
본고는 한국어의 이동 동사인 `가다/오다`와 터키어의 `GITMEK/GELMEK`에서의 기준점(reference point)을 분석, 고찰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연구 배경으로는 `가다/오다`가 기초 어휘임에도 불구하고 터키인의 한국어 고급학습자에게까지 오류 현상이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고찰 방법으로는 실험조사로, 양국의 모어 화자를 대상으로 각각 50명씩 `가다`와 `오다`의 사용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조사의 결과에 의하면 한국어와 터키어에서 `가다/오다`의 사용 양상에 있어서 기본적 직시(deixis)의 중심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류의 원인이 되는 상이점으로는 첫째, 터키어는 `이동주체의 목적지에 대화 상대의 존재 여부`가 직시의 중심에 놓인다는 점이다. 이동주체가 화자이면서 청자의 위치로의 이동...
TAG `가다/오다`, `GITMEK/GELMEK`, 기준점, 이동주체, 목적지, 화자, 청자, 관점 변환, `gada/oda`, `gitmek/gelmek`, reference point, agent, destination, speaker, addressee, shifting viewpoint
원산의 지역극장 분포와 특질에 관한 일 고찰
김남석 ( Kim Nam-seo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6] 제56권 33~62페이지(총30페이지)
원산은 조선에서 두 번째 개항된 개항장으로, 일찍부터 일본인의 이주가 활발하게 진행된 지역이다. 이에 따라 원산에서는 일찍부터 극장업이 유입되었고, 극장이 발달하였다. 일본인 지역에서 건립되어 운영된 극장으로는 대표적으로 `유락관`과 `수좌`를 들 수 있고, 조선인 거주 지역에서 건립되어 운영된 극장으로는 `동락좌`와 `원산관`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극장들은 원산의 지역적 조건, 종족의 차이, 문화적 인프라, 그리고 경쟁 관계 등의 영향을 받으면서 자생 성장하였다. 유락관과 수좌는 일본인 극장으로, 극장의 사주가 일본인이 었다. 당연하게도 이러한 극장을 이용하는 관객들은 일본인이었다. 반면, 동락좌와 원산관을 이용하는 관객들은 주로 조선인(한국인)이었다. 하지만 동락좌의 사주는 일본인이었고, 원산관의 사주는 한국인이었다.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
TAG 원산, 원산관, 유락관, 수좌, 동락좌, Wonsan, Wonsangwan, Yurakgwan, Soojwa, Dongnakjwa
소학독본(1895), 한문전통과 계몽의 과도기: 번역과 의도적 차명(借名)에 대하여
임상석 ( Lim Sang-seo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6] 제56권 121~143페이지(총23페이지)
『소학독본』은 전반적으로 한문전통과 근대적 가치를 적극적으로 융화 내지 절충하려 했다는 점에서 문제적인 자료이며 시대적인 대표성을 가진다. 특히 1-3장 전반부에서 경서와 근대적 가치를 교차해서 구성했다는 점에서 당대적 위기에 대한 대응을 시도했다는 점이 잘 나타난다. 『채근담』 편역이라는 성격을 가진 4-5장의 후반부는 전반부와는 성격이 좀 다르지만, 주자학에 매몰된 조선전통의 개인윤리와 수신(修身)을 유불선 융화의 『채근담』을 통해 교정하려 했다는 점에서 전반부와 연결성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식민지 위기라는 당대적 현실에 대한 대응이 경서언해라는 자국적 전통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은 주목해야만 한다. 이 글은 경서와 『채근담』이라는 한문고전을 자국적 전통인 경서언해의 형식을 변용해 근대적 교과서로 수용했다는 점을 조명했다. 그리고 그 편찬의 과정에서...
TAG 『소학독본』, 경서언해, 『채근담』, 갑오경장, 교육개혁, 자국어교육, 식민지 위기, 한문고전, Sohakdokbon, Eonhae Tradition, Chaegeundam(菜根譚), Gabo Reform, Educational Reformation, National Language Education, Classical Chinese Tradition
인터뷰를 활용한 글쓰기 수업모형 고찰 - 글의 기초 이해를 중심으로-
안미영 ( Ahn Mi-you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6] 제56권 235~261페이지(총27페이지)
이 글에서는 인터뷰를 활용하여 글쓰기 기초를 학습할 수 있는 능동적인 수업모형을 탐구하고, 그 실제와 의의를 살펴보았다. 인터뷰는 말하기와 글쓰기를 융합한 활동으로 의사소통능력 배양을 위한 유용한 실습활동이다. 글쓰기교과에서 인터뷰의 활용은 다음과 같은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말하기를 통해 매너와 공감의 가치, 경청 훈련, 능동적인 정보습득, 자기성찰과 인성함양, 비언어적 교감능력을 증진시킨다. 인터뷰 결과를 글로 쓰는 과정에서는, 말과 글의 차이는 물론 문장·단락·글의 기능과 전개방식을 숙지할 수 있다. 실제 활동에서 학습자들은 대상에 대한 주체의 접근방식과 태도에 따라 글의 성격과 문체가 달라질 수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활동은 글쓰기 기초학습 이외에, 강좌의 수업목표와 학습자의 역량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TAG 인터뷰, 활동, 융합, 말하기, 글쓰기, 교양, 글쓰기 강좌, interview, activities, convergence, speaking, writing, general education, writing course
공학 글쓰기에서 시각 자료의 활용 방안 연구-그래프와 다이어그램을 중심으로-
이희영 ( Lee Hee-you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6] 제56권 353~380페이지(총28페이지)
신문식성 시대를 맞아 복합양식 글쓰기가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공학 글쓰기에는 다양한 시각 자료가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학 글쓰기에서 시각 자료의 기능과 중요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연구와 시각 자료 사용 실례를 통하여 시각 자료의 사용 기준과 활용 방안을 마련하였다. 시각 자료의 역할과 기능을 잘 인지하지 못하는 공대 학생들은 전공 보고서에서 시각 자료를 사용할 때 여러 가지 오류를 범한다. 시각 자료가 텍스트의 보조적인 수단이 아니라 텍스트의 일부이며, 텍스트의 주요 내용을 강조하는 기능이 있음을 논의하고 시각 자료로 사용할 텍스트의 내용을 선택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시각 자료도 텍스트와 마찬가지로 독자 분석을 통하여 시각화할 정보를 선택해야 하며, 또한 문제-해결에 관여하는 주요 개념이나 과정은 시각 자료로 나타내어야 한다. 시각 자료 구성...
TAG 복합양식 글쓰기, 공학 글쓰기, 시각 자료 구성, 시각화, 체크리스트, Multi-modal writing, engineering writing, visual aids, visualization, check-list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