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104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자세동사의 상적 특성에 관한 한·중 대조 분석
이승희 ( Lee Seung-hee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8] 제60권 433~464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은 한국어와 중국어(이하 ‘한·중’이라 칭함)의 자세동사(posture verbs)가 지닌 ‘상적 특성(aspectual character)’을 분석하고 이러한 특성에서 비롯된 한·중 자세동사의 통사적·의미적 특징을 대조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세동사에 해당하는 ‘앉-(坐, zuo)’, ‘서-(站, zhan)’, ‘눕-(?, tang)’ 등은 양 언어의 시간적 특성에 따른 상이성(相異性)이 있다. 이러한 상이성은 한국어 화자와 중국어 화자 모두에게 ‘발화 시 의미하는 내용을 동일하게 전달할 수 없다’ 는 것을 의미한다. 모국어 화자가 자세동사를 사용할 때는 자세동사가 지닌 시간적 자질을 인식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학습자가 목표어로서 바라보는 자세동사는 그 쓰임에 있어 통사적 오류가...
TAG 자세동사, 상적 특성, 어휘상, 상태성, 동태성, 한국어 교육, 중국어 교육, Posture verb, aspectual character, Lexical aspect, Static, Dynamic, Korean language educati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20세기 초 재미한인 국문시가의 사회적 의미와 작품 경향
윤지아 ( Yoon Jia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8] 제60권 329~359페이지(총31페이지)
본고에서는 20세기 초 재미한인 국문시가의 역사·사회적 의미를 재고하고, 그 작품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첫째, 당시 역사·사회적 현실 속에서 시가가 어떠한 의미체로 향유되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전통시가-근대시’라는 장르 이행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던 기존의 연구에서는 재미한인 시가가 당시 사회 현실과 맺고 있었던 관계 및 상호작용이 충분히 해명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공립신보』, 『신한민보』 등 신문매체를 통해 향유되었던 작품들을 중심으로, 재미한인 사회의 형성과정에서 시가가 어떠한 양태로 존재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 재미한인 시가 작품의 의미를 실향의식·애국정신 등 몇 가지 고정된 유형으로 해석하는 시각적 단조로움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재미한인의 정체성을 ‘체류...
TAG 재미한인 시가, 미주한인, 이민문학, 재미한인 정체성, 재미한인 공동체, Korean-American classic poetry, Korean-American, Korean-American Literature, Korean-American Identity, Korean-American organization
이상 국문시의 문체 연구 -서울 방언을 중심으로
조해옥 ( Cho Hae-o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8] 제60권 185~213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에서는 서울 방언이 서울토박이 이상의 시 문체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그의 시에 투영된 서울 방언의 특징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방언의 변별적 특징은 모음에서 나타나는데, '모음'을 중심으로 움라우트 현상과 모음상승 등의 변화를 이상의 국문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상 시에는 인상적인 어감을 지닌 서울 방언인 연결어미 '-드키'가 실현되어 있다. 이외에 다른 서울토박이들의 자연발화 사례에서 연결어미 '-구'가 빈번하게 실현된 것에 비해 이상의 시에서 연결어미 '-구'는 한 번도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이상이 서울 방언이라는 생활 언어를 글말로서 실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국문시에 쓰인 특수조사와 복합조사, 준말 등은 서울 방언에만 특징적인 것은 아니지만, 다른 서울토박이들의 자연발화 사례에서도 빈번히 발견되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TAG 국문시, 기능어, 모음, 복합조사, 서울 방언, 움라우트, 자연 발화, 준말, 특수조사, Korean poems, Function word, Vowels, Complex postposition, Seoul Dialect, Umlaut, Natural Utterance, Abbreviation, Auxiliary postposition
발전기 및 심화기 한국어 교원 재교육
이해영 ( Lee Hai-young ) , 박석준 ( Park Seok-joon ) , 방성원 ( Bang Seong-won ) , 이미향 ( Lee Mi-hyang ) , 이정란 ( Lee Jung-ran ) , 최은지 ( Choi Eun-ji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383~407페이지(총25페이지)
그간의 한국어 교원 재교육 연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발전기 및 심화기의 고경력 교원들의 연수 요구를 충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 교육과 영어 교육에서의 연수 현황과, 교육부의 중등 교원 대상의 연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종합하여 발전기 교원을 대상으로 한 자격 승급연수와 심화기 교원을 위한 전문 교원 연수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승급연수와 전문 교원 연수에 대해 관리자급 교원과 승급 시기의 교원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승급 연수는 자격 승급 시기 경력 교원의 실질적인 전문성 제고를 목표로, 전문 교원 연수는 연구 능력을 가진 고경력 교원들이 현장을 이끄는 교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TAG 한국어 교원, 교사 교육, 교원 재교육, 교사의 생애주기, 경력 교원, 고경력 교원, Korean teachers, teachers` reeducation, teacher`s developmental stage, life cycle of teachers, experienced teacher, highly experience teacher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탈동기 요인 연구
홍종명 ( Hong Jong-myu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441~46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탈동기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학습자 변인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부담’과 ‘시험요인’이 베트남인 학습자 탈동기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유학생활의 경제적 부담도 동기 저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과정 이외의 요인도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 변인에 따른 차이로는 먼저 성별에서는 여학생들의 탈동기 경향이 다소 강한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에 따른 탈동기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어 숙달도 면에서는 전체적으로 숙달도가 향상됨에 따라 탈동기 현상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한국 유학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탈동기가 약해지다가 2년 이상이 되면 다시 탈동기가 심해지...
TAG 탈동기, 동기 저하, 학습자 변인, 무동기, 자기결정성 동기, demotivation, learner variables, motivatio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Vietnamese learners
새로운 도시난민 공동체의 탄생 -「피에로들의 집」에 나타난 장소애 형성 과정을 중심으로
우신영 ( Woo Shin-you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33~58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윤대녕의 소설 세계에서 공간과 관계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러한 변화의 기저에 2000년대 한국의 망탈리테가 존재한다고 본다. 11년 만에 발표된 그의 장편소설 「피에로들의 집」을 중심으로 윤대녕적 문학의 변화, 나아가 2000년대 한국소설의 현실응전 방식의 변화를 가늠해보는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기존 윤대녕의 작품들이 일상과 신성의 공간을 이항대립적으로 분리하고, 시원으로의 회귀를 통해서 인간의 본래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관점을 보인 것과 달리 「피에로들의 집」은 전면적인 차이를 가진다. 윤대녕 자신이 밝혔듯 2000년대 신(新) 도시난민에 대한 관심이 이 작품을 추동하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윤대녕 문학의 변곡점인 동시에 2000년대 현대소설의 현실 응전 방식을 보여주는 소설이기도 하다. 작중인물...
TAG 윤대녕, 피에로들의 집, 장소애, 무장소성, 도시난민, 감성공동체, Yoon Dae-nyung, 「House of pierrot」, Topophilia, Placelessness, urban refugees, emotional community
「안빙몽유록」의 몽유세계와 관물(觀物)
전성운 ( Chun Sung-woo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199~231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의인체 몽유서사로서의 「안빙몽유록」을 살폈다. 특히 「안빙몽유록」의 몽유세계의 특징과 몽유세계를 경험한 안빙의 태도의 변화 과정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안빙몽유록」의 의미 지향이 무엇인지를 구명(究明)했다. 「안빙몽유록」의 몽유세계는 작품 내에 실재하는 세계로 그려진다. 안빙은 꿈에서 깨어, 화원에 자리한 꽃과 그 특징을 꿈속에서 본 것과 대응시킴으로써 그 실재성을 알아챈다. 그리고 출당화의 발언과 존재를 통해 꿈속 세계가 바로 작품 속현실임을 분명하게 확인한다. 이런 몽유세계의 경험을 통해, 꽃이 그 자체의 원망과 지향을 지녔으며, 나름의 질서 속에 존재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안빙은 애초 이를 인식하지 못한 채 꽃의 외물의 아름다움에만 빠져 있었다. 꽃의 아름다움에 쏠려 본래의 뜻을 잃어버린 완물상지(玩物喪志)의 지경에 있었다. 신광한은 이같은 안...
TAG 「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 『기재기이』(企齋記異), 신광한(申光漢), 몽유세계(夢遊世界), 관물(觀物), 소옹(邵雍), 성리학(性理學), Anbing Mongyurok, Gijaegiyee, Gwanghan Shin, the World of Dream, Obseration of things, Shao Yong, Neo-Confucianism
통속가사 「거사가」에 나타난 행복의 담론
손앵화 ( Son Aeng-hwa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169~197페이지(총29페이지)
이 글은 근대전환기 통속가사 「거사가」를 대상으로 파계와 훼절에 반영된 당대인의 욕망을 들여다본 시도이다. 이를 위해 먼저 등장인물 간 대화를 중심으로 「거사가」의 담화구조를 분석했다. 「거사가」는 깊은 산중에서 홀로 도를 닦던 거사가 갑작스런 과부여인의 출현에 욕정이 발동하여 여인과의 미래를 꿈꾸면서 환속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이야기 서사는 주동인물인 거사의 거침없는 성적 욕망을 표출하는 데 초점화되었다. 이러한 감각적 육체를 통한 육욕의 적나라한 표출은 일단 「거사가」가 남성중심의 유흥공간에서 가창된 데에서 그 배경을 찾을 수 있었다. 근대전환기 시정인들의 유흥문화의 통속적 분위기 속에서 중세의 이념적 가치와 관념적 서정을 벗어나 인간의 자연스러운 욕망에 생기와 활력을 불어넣었다. 「거사가」는 이러한 콘텍스트에서 향유된 통속가사이다. 「거사가」에서 서술...
TAG 거사가, 통속가사, 유흥공간, 행복, 파계, 훼절, 열녀이데올로기, 지금 이 순간, 선택, 「Geosaga」, the Popular-Gasa, entertainment place&consumer culture, Happiness, the apostate, the forgoing one`s integrity, a chaste woman ideology, Now, choices
‘엇(그림씨)’과 ‘언(매김씨)’의 계승 관계 -주시경, 김두봉, 최현배를 중심으로-
남경완 ( Nam Kyoung-woa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257~285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에서는 주시경의 ‘엇’과 ‘언’의 체계가 김두봉의 ‘얻’과 ‘언’을 거쳐 최현배의 ‘그림씨’와 ‘매김씨’로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시경(1910)에서 처음으로 독립된 품사로 제시된 ‘언’은 ‘엇’과의 연관성 속에서 그 개념과 하위 유형이 설정되어 왔고, 김두봉(1916)과 최현배(1937)을 거치면서 보다 정밀하고 체계적인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다. 주시경(1910)에서는 ‘엇’과‘언’에서 모두 ‘物品, 物貌, 行品, 行貌, 때, 헴, 견줌’이라는 유형이 체계적으로 대응되고 있는데, 이는 수식이라는 기능을 공유하는 것에 따른 것으로 여전히 형용사의 활용형과 관형사를 구분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한, 두, 세’를 ‘헴언’으로 제시함으로써 수관형사를 최초로 설정하였다. 김두봉(1916)에서는 ‘物品, 物貌, 行品...
TAG 전통문법, 엇(그림씨), 언(매김씨), 성상관형사, 지시관형사, 수관형사, Korean traditional grammar, adjectives, pre-nouns, Attributive, Demonstrative, Numeral
다문화 배경 학습자의 수학 문장제 수행력 향상을 위한 교육 방안
박진욱 ( Park Jin-wook ) , 노정은 ( Noh Jung-eu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9권 351~382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다문화 배경 학습자들의 초등학교 수학 문장제 활동의 수행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로 수행력 강화를 위해 언어 교육적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문장제 활동을 해결하는 데에는 수학적 요인 뿐만 아니라 언어적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초등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수학 문장제 활동을 분석하여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수학 문장제에서는 저빈도 어휘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고, 문장 당 평균어절 수가 많아 문장이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핵심 내용이 되는 수학 용어가 매 단원 제시되고 있어 수학 용어는 우선적으로 교육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문장제 수행력을 강화하기 위해 단계별 접근이 필요하다고 보고 기초 연산 능력 배양 단계, 언어 적응력 강화 단계,...
TAG 다문화 배경 학습자, 수학 문장제, 수학적 요인, 언어적 요인, 문장제 수행력, 언어 적응력 강화, 한국어교육,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y, math word problems, mathematical factor, Linguistic factor, mathematical performance capability with math word problems, enhance linguistic adaptability. Kor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