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104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함대훈 소설에 나타난 연애서사 연구
이주라 ( Lee Ju-ra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255~286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함대훈 소설의 전체적인 지형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보는 연구이다. 함대훈 소설은 대체로 통속적이라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본격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정한 주제와 몇몇 작품에 대한 단편적인 논의만 이루어졌을 뿐이다. 이 논문은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함대훈 소설의 전체적인 작품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함대훈 소설의 전체 목록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함대훈 소설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함대훈 소설은 기본적으로 연애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함대훈 소설은 진정한 사랑이 가능한가, 라는 당대의 전형적인 질문에 새로운 대답을 제시하였다. 여성들의 타락으로 진정한 사랑은 늘 실패한다는 것이 당대의 전형적 인식이라면, 함대훈 소설에서는 남성이 순정을 지키려고 노력하면 진정한 사랑도 가능하다는 인식이 드러난다. 전자가 ...
TAG 함대훈, 연애서사, 순정, 순결, 전형, 취향, 불안, 순정해협, Ham Daehoon, love narrative, pure love, virginity, stereotype, taste, anxiety, The Strait of Pure Love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동양삼국(東洋三國) 인식과 계몽시가에서의 의미화 방식
윤지아 ( Yoon Ji-a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379~407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에서는 근대계몽기에 나타난 東洋三國 인식이 어떻게 문학적으로 형상화되고 매체를 통해 소통되었는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동양삼국 인식을 다루었던 기존 연구에서 『대한매일신보』는 동양연대를 비판하는 입장의 언론으로 다루어졌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그 상당수가 『대한매일신보』에 수록되어있는 계몽시가와 같은 문학양식은 자료 대상으로 고려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 착안하여 『대한매일신보』에 나타난 동양삼국 인식을 재고하였다. 첫째로, 『대한매일신보』에서는 논설 뿐 아니라 계몽시가라는 문학양식에서 동양삼국의 의미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으며, 양식에 따라 동양삼국에 대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두 번째로는 매체가 갖는 소통 능력의 측면에서 『대한매일신보』의 계몽시가는 동시대의 어떠한 장르보다 유리한 입지였기에, 이 작품들에 나타난 동양삼국 인...
TAG 근대계몽기, 동양삼국, 동양주의, 계몽시가, 개작민요, 대한매일신보, 신문매체, Modern Enlightenment period, East Asia(Chian, Korea, Japan), Gyemong-siga, Daehanmaeilshinbo
지하련 소설의 서술화법 연구-「결별」, 「체향초」, 「도정」을 중심으로
염인수 ( Yum In-su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143~194페이지(총52페이지)
얼핏 보기에 지하련 작품세계의 특이성은 「결별」과 「도정」이 담고 있는 이야기줄거리의 여러 대칭적 양상에서 비롯된 것 같다. 두 소설은 주(主)인물이 여성과 남성으로 대비되고, 배경은 해방 전의 지방 소도시와 해방 직후 서울 한복판으로 대비되며, 주된 정조 또한 연애감정과 정치의식으로 대비되기 때문이다. 「도정」의 명시적인 정치성이 이와 같은 대칭을 만들어낸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기존의 연구에서는 「결별」과 「도정」을 시작과 끝 혹은 사적 세계와 공적 세계라는 식으로 서로 동떨어진 범주에 귀속시켜 해석해왔다. 그러나 이 논문에서는 첫째, 지하련 서사에 공통적인 서술화법을 규명함으로써, 둘째, 이제까지의 연구가 오독해왔다고 여겨지는 「도정」 속 부분 텍스트의 새로운 해석을 통해서 지하련의 서사 전체를 관통하는 문제구성을 재발견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
TAG 지하련 소설, 「결별」, 「체향초」, 「도정」, <삼인칭 자기서술자>, 자기서술과 타자서술의 통합, 공동존재, 여성적 집단의식, 물러남, 남성 지식인, 계급 정치, 해방 공간, 변증법적 자동장치, 양심의 변증법, 공산당이라는 유령, Ji Ha-Lyon`s novellas, The Breakup, Days of Homecoming, The Road, “third-personized-auto-narrators”, integration of auto-narr
해방기 정지용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과 시적 실천의 문제
이경수 ( Lee Kyung-soo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195~226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해방기 정지용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문학의 정치성이란 어떤 것이었는지 규명하고 여기에 비추어 정지용의 해방기 시를 재평가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먼저 정지용의 해방기 시와 산문에 나타난 국가 담론을 살펴보고 그것이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정지용의 태도 변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그는 민족반역자의 처벌을 주장했고 해방 이후 국가 건설의 주체는 일제 강점기의 과오에서 자유로운 인민이어야 함을 피력했으며, 일제 강점기의 시와 해방 이후의 시가 지향하는 바는 달라야 함을 강조했다. 설정식, 이수형, 윤동주 등의 시에 그가 애정을 보인 까닭도 그 때문이었다.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인식을 기반으로 해방기에 정지용은 `옳은 시`를 추구했으며, 형식적 고민보다는 어떤 내용을 담을 것인지를 우선시했다.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정지...
TAG 정지용, 해방기, 인민, 문학의 정치성, 옳은 시, 불일치, 침묵, 여백, Jeong Ji-yong, liberation period, common people, political nature of literature, right poem, disagreement, silence, space
『하진양문록(河陳兩門錄)』에 나타난 여성영웅소설 화소의 활용과 그 의미
김태영 ( Kim Tae-young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319~346페이지(총28페이지)
『하진양문록』은 `하`씨 가문의 여주인공 `하옥윤`과 `진`씨 가문의 남주인공 `진세백`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조선후기 국문장편소설 작품이다. 이 작품은 여주인공 `하옥윤`의 주된 활약상을 담고 있으며 하옥윤이 간신과 계모, 이복형제에 의해 무너진 `하`씨 가문을 재건하고, 정혼자 진세백과의 혼인을 둘러싼 다양한 갈등상황에 직면하여 주체적으로 극복해내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하진양문록』의 서사구조에 중심이 되는 여주인공 `하옥윤`의 활약상을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세 가지 여성영웅소설 화소를 살펴보고, 그 기능 및 의미를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여성영웅소설의 화소 중 `선계환약 화소`, `남복개착 화소`, `천상계 조력자 화소`를 중심으로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하진양문록』에 나타난 세 가지 여성영웅소설의 ...
TAG 하진양문록, 화소, 선계환약, 남복개착, 천상계조력자, 내적갈등, Hajinyangmunlok, motif, a pill, female attire for male, the celestial world helper, Inner conflict
『고려인을 위한 기초 러시아어 교과서: 회화수업을 위한 시험적 교재』(1901)의 고려말 전사법 연구
한지형 ( Han Ji-hyoung ) , 김인택 ( Kim In-tae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539~572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는 카잔 러시아정교 선교회에서 편찬한 『고려인을 위한 기초 러시아어 교과서: 회화수업을 위한 시험적 교재』(1901)의 고려말 전사법에 대한 연구로, 전사기호로서의 키릴문자 사용의 문제와 적용 방법, 전사법의 표기층위를 고찰 한다. 교재에 반영된 이중어 학습교재로서의 고려말 전사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전사법은 음운표기를 중심으로 음성표기를 병행한다. 변이음과 음성적 변화현상까지 세밀하게 표기할 수 있는 폭넓은 전사범위가 특징적이다. 둘째, 본 전사법은 한글자모로의 환원성은 고려하지 않는다. 한글자모보다 키릴문자의 자연성을 중시하고, 한글자모의 형태·음운론적 정보 대신 고려말의 음성 전달에 중점을 둔 전사법이다. 셋째, 이러한 전사법을 통해 이주 고려인 자녀들은 모국어 체계와 차별되는 러시아어의 음운자질과 키릴문자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TAG 러시아 한국학, 카잔 러시아정교 선교회, 『고려인을 위한 기초 러시아어 교과서, 회화수업을 위한 시험적 교재』(1901), 고려인 디아스포라, 러시아어 학습교재, 고려말 전사법, 키릴문자, Korean Studies in Russia, Russian Orthodox Missionary in Kazan, A Basic Russian Textbook for Koryo-saram, Experimental Materials for Conversation Cla
주요한 번역· 번안 소설의 제양상
김정화 ( Kim Jung-hwa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63~85페이지(총23페이지)
이 논문은 주요한의 번역·번안 소설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주요한은 1918년부터 1941년까지 시와 소설 작품의 번역 및 번안소설을 발표하였다. 하지만 지금까지 문학사적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다. 특히 `낭림산인`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두 편의 번안 소설은 연구의 조명을 받지 못했다. 이에 주요한의 번안소설 「素服의 秘密」과 「沙漠의 □」을 통해 주요한의 외래 서사물 수용 방식을 추론해보고자 한다. 주요한은 원작을 소개하는 목적의 번역은 자신의 이름을, 원작을 재가공하는 번안에는 `낭림산인`이라는 필명을 사용함으로써 그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 하였다. 주요한은 번역이 주체적 역량을 갖고 새로운 서사를 생산할 수 없었던 시기 우리 문학을 향상시키고 그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상대적으로 번안은 원작의 훼손을 전제하기 때문에 폄하되었...
TAG 주요한, 번역, 번안, 「素服의 秘密」, 「沙漠의 □」, 윌리엄 윌키 콜린스, 『흰 옷을 입은 여인』, 제임스 올리버 커우드, 『침묵의 계곡』, Ju Yo-han, translation, adaptation, Women in White, William Wilkie Collins, James Oliver Curwood, The Valley of Silent Men
한국 공포의 근원, 장화홍련 서사의 의도된 권선징악-『장화홍련전』에서부터 신소설까지 반복된 모티프를 중심으로
최애순 ( Choi Ae-soo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287~318페이지(총32페이지)
한국 공포 장르하면 일단 떠오르는 것은 머리 풀고 하얀 소복을 입은 여자귀신이다. 중국의 강시나 서양의 흡혈귀와 달리 왜 소복을 입고 머리를 풀어 헤친 여자귀신이 한국 공포의 전형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일까. 여귀하면 생각나는 것은 매일 밤 사또에게 나타나던 <아랑전설>의 아랑과 <장화홍련전>의 장화홍련이다. <아랑전설>은 경상남도 밀양 영남루에 얽힌 전설로, 아랑은 밀양 부사의 딸이었다. 어려서 어머니를 잃고 유모와 통인의 흉계로 죽임을 당하여 대숲에 버려졌다. 부사는 아랑이 외간남자와 내통하다 달아난 것으로 알고 벼슬을 사직한다. 이후 밀양의 신임 부사가 부임하는 첫날 주검으로 발견되어 모두 그 자리를 꺼리게 되고 이때 이상사라는 담이 큰 사람이 자원하여 밀양부사로 와서 아랑의 원혼에게서 억울한 죽음을 전해 듣고 주검을 찾아 장사지냈다 한다. <장화...
TAG 공포, 장화홍련, 반복, 가부장제, 본처, 신소설, 계모, 후취부인, 후처, 전실 소생, 本夫(본부), Korean horror, Janghwa Hongryun, modern popular novels, stepmother, a second wife, a second marriage, new-style novels, murderer, patriarchal system, father, wicked, wedded wife
`덜`이 쓰인 차등 비교 구문의 특성
송홍규 ( Song Hong-kyu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439~466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에서는 비교 구문의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덜`이 쓰인 차등비교 구문의 특징을 살피고, 그에 쓰인 비교 대상들이 서술어의 내용과 관련된 속성을 지님을 밝혔다. 한 대상의 성질이나 특성을 다른 대상과 관련지어 파악하는 비교의 의미가 언어적으로 표현된 비교 구문 중에서 차등 비교 구문은 비교 대상들이 문장에 쓰인 정도성 표현과 관련하여 정도의 차이를 가짐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동등 비교 구문과 차이를 갖는다. 차등 비교 구문은 일반적으로 우세 비교 구문과 열세 비교 구문의 명칭으로 구별되어 불리는데, 이들은 차등비교 구문의 핵심적 의미를 표현하는 `보다`에 `더`가 결합하는지 아니면 `덜`이 결합하는지에 따라 구분된다. `덜`이 쓰인 열세 비교 구문은 비교 중심 대상과 비교 기준 대상의 관계에서 비교 중심 대상이 비교 기준 대상보다 열세에 있다는...
TAG 동등 비교 구문, 차등 비교 구문, 우세 비교 구문, 열세 비교 구문, 비교 대상, 비교중심 대상, 비교 기준 대상, 정도성 서술어, equative construction, comparative construction, superior comparative, inferior comparative, comparative object, comparative center, comparative standard, gradable predicate
『정지용 시집』의 시어 연구 -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을 활용하여
박순원 ( Park Soon-weo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7] 제57권 87~112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을 활용하여 정지용의 시집 『정지용 시집』(시문학사, 1935)의 시어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정지용 시집』의 시어의 총량, 품사별 비율, 출현빈도 등을 현대시 코퍼스와 대비하여 그 양상을 구체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정지용 시집』에만 나타나는 시어의 목록을 작성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한 『정지용 시집』의 모든 시어를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에서 대조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도 함께 점검해 보았다. 『정지용 시집』에 수록된 87편의 시에는 제목을 포함하여 총 2,091개의 시어가 4,832회 나타난다. 이 중 일반명사, 고유명사, 의존명사, 대명사, 수사 등 체언은 1,115개의 시어가 2,616회 출현하고 있다. 동사, 형용사 등 용언은 744개의 시어가 ...
TAG 『정지용 시집』, 『한국 현대시어 빈도사전』, 시어, 고빈도 시어, 고유 시어, Poems of Jeong Jj yong, The frequency dictionary for the words of Korea`s modern poetry, poetic word, the words high frequently appearing, unique poetic words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