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49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특수교사와 치료사의 협력 경험
김경미 ( Kim Kyeongmi ) , 이미숙 ( Lee Misu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2호, 144~154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특수교사와 치료 사가 어떻게 협력하고 있는지, 협력 수행에서 나타나는 갈등과 어려움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장애아전문어린이집에서 1년이상 협력을 실행하고 있는 특수교사와 치료사를 한 쌍으로 3쌍, 총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장애아전문어린이집의 특수교사와 치료사는 장애영유아에게 교육과 치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일과 중 수시로 장애영유아에 관한 대화를 나누거나 정기적인 팀 사례회의를 통해 공동의 목표를 세우고, 이러한 공동 목표의 실현하기 위해 서로의 전문영역을 공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협력 의 과정 중에 특수교사와 치료사는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는데, 특수교사와 치료사가 각자 자신의 입...
TAG 특수교사, 치료사, 협력,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rapist, cooperative relationship
듀이 경험 이론과 교과 심리화의 세 수준
이승은 ( Lee Seunge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2호, 155~16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듀이 경험 이론에 비추어 교과 심리화의 성격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교과 심리화는 학 교 교육의 실패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어 온 아동과 교과 간의 분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듀이에 의해 제시되었다. 교과 심리화는 추상적인 교육 내 용으로 이루어진 교과를 구체적인 경험 속에 살아가는 아동에게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 의하면, 교과 심리화는 단일한 활동이라기보다 는 세 가지 수준의 복합적 활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수준은 각각 심리적 수준, 실제적 수준, 상황적 수준으로 이름 붙일 수 있으며, 각각의 수준은 상이한 문 제 의식과 진단과 처방을 포함하고 있다. 듀이의 교과 심리화를 세 수준으로 나누어 파악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아동과 교과의 분리 문제가 무엇을 뜻하는지 정...
TAG 듀이, 경험, 교과 심리화, 흥미, 실제, 상황, John Dewey, experience, psychologization of subject matter, interest, practice, situation
전승 실험을 통한 예비초등교사의 수학 이야기 스키마 탐색
권석일 ( Kwon Seoki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2호, 170~180페이지(총11페이지)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수학 이야기를 전승하는 과정을 관찰하여 수학 스토리텔링에 작동하는 수학 이야기 스키마의 존재를 확인하고, 전승 과정에서 일어 나는 수학 이야기의 변이 과정을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수학 교과서≫의 2단원 `직육면체`에서 사용되는 이야기를 각색하여 스토리텔링 전승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 과 수학 이야기 스키마가 존재한다고 주장할 만한 근 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총 8개의 전승 과정을 자세하게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이 야기와 수학 내용 사이의 결합 양상은 상당히 복잡하였다. 앞으로 수학교육학 및 교사교육 분야에서 스토리 텔링, 의사소통, 내러티브 개념 등을 논의할 때에는 의사소통 형식과 수학 내용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AG 스토리텔링, 이야기 스키마, 수학 이야기 스키마, 전승 실험, storytelling, story schema, mathematics story schema, experiment of transmission
A Factor Analysis of Chinese University EFL Learners`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 Yin Xiaoteng ) , ( Wang Y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2호, 181~189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예비초등교사들이 수학 이야기를 전승하는 과정을 관찰하여 수학 스토리텔링에 작동하는 수학 이야기 스키마의 존재를 확인하고, 전승 과정에서 일어 나는 수학 이야기의 변이 과정을 관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5학년 1학기 수학 교과서≫의 2단원 `직육면체`에서 사용되는 이야기를 각색하여 스토리텔링 전승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 과 수학 이야기 스키마가 존재한다고 주장할 만한 근 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총 8개의 전승 과정을 자세하게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로 나타나는 이 야기와 수학 내용 사이의 결합 양상은 상당히 복잡하였다. 앞으로 수학교육학 및 교사교육 분야에서 스토리 텔링, 의사소통, 내러티브 개념 등을 논의할 때에는 의사소통 형식과 수학 내용의 관계를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TA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LCAS, Chinese Mainland Context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교우관계 향상을 위한 또래교수 실행연구
최윤자 ( Choi Yun-ja ) , 손현동 ( Son Hyun-d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1호, 43~62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학업성취도와 교우관계 향상을 위해 보다 효과적으로 또래교수를 실시하기 위한 방안을 실행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또래교수 수업은 자기 반성적 실행 연구 사이클 모형에 따라 `계획-실행-관찰-반성`의 과정을 따랐으며, 예비, 1차, 2차에 걸쳐 실행 연구를 실시하였다. 또래교수 실행 후 교사의 수업일지, 심층면담, 서술형 설문지 조사 등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효과적인 또래교수를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정리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교수 실시 전에는 또래를 매칭하는 방법과 학습 운영 과정에 대한 계획을 세워야 한다. 둘째, 또래교수 실시 중에는 학생들의 활동 과정을 살피고 적절히 개...
TAG 실행연구, 또래교수, 학업성취도, 교우관계, Action Research, Peer Tutoring, Academic Achievement, Peer relationships
과학과 교육과정과 과학 교과서 간의 일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교과서 분석틀의 개발과 적용
박현주 ( Hyunju Park ) , 심재호 ( Jaeho Sim ) , 손연아 ( Yeon-a S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1호, 74~93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과 교육과정과 이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과학 교과서들의 일관성을 평가할 수 있는 분석틀을 개발하고, 이 분석틀을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분석에 시범 적용하여 개발된 교과서의 양적 및 질적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분석 대상은 2009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물리Ⅰ, 물리Ⅱ, 화학Ⅰ, 화학Ⅱ, 생명과학Ⅰ, 생명과학Ⅱ, 지구과학Ⅰ, 지구과학Ⅱ의 과목별 각각 2종의 교과서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분석틀은 범주, 영역, 요소, 분석 관점과 분석 단위로 구성되고, 분석틀의 범주는 과학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계에 따라 성격, 목표, 개념 및 내용, 탐구, 태도, 교수·학습 지도, 평가로 구분하였다. 둘째, 교과서 분석틀을 이용하여 과학 일반 선택 과목을 분석한 결과, 모든 교과서가 과학과 교...
TAG 과학과 교육과정, 교과서, 분석틀, 고등학교, National Science Curriculum, textbook, analysis framework. high school science
발달장애성인의 자립생활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 적용효과
강동선 ( Kang Dong-se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1호, 12~28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발달장애성인의 자립생활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적용이 발달장애성인의 직업재활능력과 자립생활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편성표, 스케줄 표, 교육생 별 수강 과목 편성, 상세프로그램 등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연구의 대상을 S시에 거주하는 20명의 발달장애성인을 대상으로 자립생활중심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적용은 평일 5일 하루 5시간씩 총 37회기 185시간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직업재활훈련 핵심 성과지표 검사와 자립생활훈련 핵심 성과지표 검사를 프로그램 적용 사전·사후에 실시하였다. 집단의 표본수가 적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의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여 그 통계적 결과를...
TAG 발달장애성인, 자립, 평생교육,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ependent living, Lifelong education
교육문법으로서 독일어 시제괄호(완료형)에 관한 연구
성지혜 ( Sung Ji-hy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1호, 1~11페이지(총11페이지)
영어 학습 후 제3언어로 독일어를 학습하는 한국인 학습자가 독일어에서 문장구성 요소들이 분리되어 나타나는 현상을 이해하고 자유자재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의식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인 학습자는 영어를 비롯한 여러 유럽언어들과 달리 원거리 구조를 취하는 독일어 동사복합체의 어순규칙을 익히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학습상의 난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현행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에 나타난 시제괄호(완료형)의 제시형태를 분석하고, 교과서 집필을 위한 새로운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기준으로 투어마이어(Thurmair)가 제시한 교육문법의 원칙을 활용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시제괄호(완료형)이 비교적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었으며, 눈에 띄는 컬러와 도식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게 제시 되었다. 하지만 언어대조의 관점에서 기술한 흔적은 ...
TAG 제3언어, 교육문법, 시제괄호, 언어대조, 현재완료, the third language, pedagogical grammar, tense parentheses, contrastive linguistics, present perfect
교원 연수 파견 및 복직 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사회과 파견교사를 중심으로 -
정영선 ( Young Son Jung ) , 조영달 ( Youngdal Cho ) , 이승연 ( Seung-yun L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1호, 29~42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교원 연수 파견 제도를 통해 대학원에 진학한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이다. 교사들은 자신의 교과와 교수 학습 능력을 계발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대학원 진학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학교와 대학원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다. 학교는 교수 학습이라는 실제적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동체이며, 대학원은 교수 학습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주로 하는 공동체이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성격의 공동체를 오가는 경험은 교사로서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가? 이들의 전문성은 향상되었는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교원 연수 파견 제도를 통해 대학원에 진학했던 세 명의 사회과 교사의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세 교사의 내러티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교원 연수 파견 제도의 경험을 통해 교사의...
TAG 현직 교사 교육, 교원 연수 파견, 교사 정체성 개발, 내러티브 탐구, In-service teacher education, Teacher secondment program, Teacher identity development, Narrative inquiry
예비 과학 교사 대상의 실험 수업에서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의 효과
최원호 ( Choi Wonho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1호, 63~73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실험 수업을 사범대 재학 예비 과학 교사들에게 실시하였다. 문제 발견 및 해결 경험을 강조한 실험 수업에 참여하면서 학생들은 연구 문제를 새롭게 설정하고 그에 맞는 실험 방법을 설계하는 경험, 연구 문제에 근거하여 결론을 작성하는 경험을 가졌다. 실험 수업 후, 참여 학생들은 기존 형식대로 실험 보고서를 능숙하게 작성하면서도 실험 수업 과정에서 문제 발견 및 해결을 어려워하는 학생과, 문제 발견 및 해결에 익숙하게 사용하여 실험 보고서를 작성하는 학생으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의 실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은 이전 형식의 실험 수업과 문제 해결을 강조한 본 연구의 실험 수업에 대한 느낌이 많이 달랐다고 응답하였다. 학생들은 문제 해결을 강조한 본 연구의 실험 수업에서 이론과 실제가 다름을 알게 되어 과학의 ...
TAG 탐구, 실험 수업, 문제 발견, 문제 해결, 예비 과학 교사, inquiry, experiment-based class, problem finding, problem solving, apprentice science teacher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