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49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직이수를 하는 비사범계 대학생들의 교직진출 결정에 관한 연구
정주영 ( Jung Joo-you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8] 제57권 제1호, 95~107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지역 4년제 대학 중 비사범계열 대학에 재학 중이면서 교직이수를 하는 대학생의 교직관련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인터뷰를 통해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인이 원하는 학과에 입학한 대학생일수록, 대학 재학 중 휴학을 했거나 계획한 학생들일수록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교직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학년이 높아 질수록 교직이 아닌 다른 진로를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교직수업을 하는 교직 담당 교수자의 열정에 만족하는 학생일수록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교직과 연관성이 높은 진로를 선택하였고, 자신의 진로와 관련하여 교직교수와 의논을 해본 학생일수록 그렇지 않은 대학생보다 교직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해당 대학에서 제공하는 진로, 취업 관련 ...
TAG 비사범계 교직과정, 진로결정, 대학교육만족도, 진로프로그램, Non-college of education student` teacher training courses, Career decision making,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Career program
고대 중국의 성인관(聖人觀) 연구
최두진 ( Doo Jin Cho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8] 제57권 제1호, 144~153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성인(聖人)은 위엄 있고, 본받아야 하는 인물이다.”라는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성인은 스스로 즐겁고 또한 남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는 인물”로서 규정해보았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공자(孔子)를 성인으로 본다. 하지만 실제로 공자 이후에 ‘성인’의 인간상이 이론화 되었다. ‘성인’의 사전적 의미는 “지혜와 덕이 매우 뛰어나고, 존경받을 만한 사람”이다. ‘聖人’의 ‘聖’자를 분리해서 보면, ‘耳’, ‘口’, ‘王’의 각각은 ‘듣다’, ‘말하다’, ‘왕’의 뜻이 된다. 여기서 ‘성인’은 ‘남의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 ‘이고, ‘남을 잘 이해해주는 사람’이다. ‘성인’은 말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성인’은 잘 헤아릴 수 있는 사람이고, 어떤 일에 대해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을 말한다. 공자는 자신을 ‘성(聖)’의 경지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TAG 성인관(聖人觀), 성인(聖人), 공자(孔子), 고대 중국, viewpoint of Sage, Sage, Confucius, ancient China
유아 어머니의 식생활교육 실태와 식생활교육 요구도
박은숙 ( Park Eun-soo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424~435페이지(총12페이지)
식생활 개선 등을 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함을 목적으로 제정된 식생활교육지원법에서는 식생활을 식품의 생산, 조리, 가공, 식사 용구, 상차림, 식습관, 식사 예절, 식품의 선택과 소비 등 음식물 섭취와 관련된 유·무형의 활동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식생활 교육이란 개인 또는 집단으로 하여금 올바른 식생활을 자발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어린이 대상 식생활교육은 어린이가 올바른 식생활을 실천할 수 있도록 부모, 보호자, 교육관계자, 농어업인, 식품 관련 종사자 등의 적극적인 참여하에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유아기는 신체 발달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식습관이 형성되는 시기이므로 식생활교육이 매우 필요한 시기이다. 우리나라 식생활교육 요구도에 대한 연구는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및 교사, 영양교사, ...
TAG 식생활교육, 유치원, 유아, 어머니, 요구도, dietary education, preschool, infants, mothers, demand
생물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수업에서 브이도의 사용에 대한 예비 생물 교사의 인식
심재호 ( Jaeho S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385~400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생물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할 때 브이도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예비 생물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부산 대학교 생물교육학과 25명의 학생들이며, 이들의 브이도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기 위해 8개의 선다형 문항과 2개의 개방형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브이도를 일 주일간 배웠고, 이 과목이 진행되는 동안 여러 차례에 걸쳐 브이도를 개발하였으며, 마지막 시간에 브이도 작성과 관련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예비 생물교사들이 특정 수업모형에 따라 수업지도안을 개발할 때 활발한 논의를 통해 모둠별로 하나의 브이도를 모둠별로 작성하였다. 이 과정은 4번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 생물교사들은 브이도를 만드는데 여러 가지 어려움을 보였으며, 이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TAG 브이도, 수업모형, 메타인지, 탐구 활동, Vee heuristic, teaching model, meta-cognition, inquiry activity
중학교 교사의 정서, 교실목표구조 및 창의적 교수행동의 구조적 관계
소연희 ( So Yeon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436~450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정서, 교실목표구조 및 창의적 교수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교사의 정서와 창의적 교수행동의 관계에서 교실목표구조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교사 2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적률상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았고,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와 교실목표구조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창의적 교수행동 중 정의적 지원은 숙달목표구조와의 정적상관이 높았고, 즐거움과 수행목표구조 순으로 정적상관이 높았다. 반면 분노와는 낮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불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인지적 지원은 수행목표구조와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즐거움과 숙달목표구조와도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분노와 불안과...
TAG 중학교 교사의 정서, 교실목표구조, 창의적 교수행동, 매개효과, middle school teachers` emotions, classroom goal structures, creative teaching behaviors
들뢰즈의 배움의 기호를 통한 유아교사의 경험탐구
임부연 ( Lim Boo-yeun ) , 박수연 ( Park Su-ye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500~518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들뢰즈의 배움의 기호론을 통해 유아교사의 경험을 새롭게 바라보고 이를 교사가 되어가는 배움의 과정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특히 교사에게 배움은 단순히 축적된 경력을 따라 전문성이 심화되는 보편적 성장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겪는 복잡한 기호와의 마주침으로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사유하기의 과정임을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5명을 대상으로 2017년 1월 초부터 2월 말까지 교사의 경험을 불러오고 해석할 수 있는 기억-회상 방법을 활용한 심층면담이 이루어 졌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들은 배움의 기호와 마주함을 통한 사유하기의 과정에 들어서며 이를 반성적 사유와 연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감각적 기호로서 타자, 서로 다른 해석의 기호, 슬픔의 기호들을 마주하며 적극적 기호 해석자로 되어가며 사유하기의 여정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나타났...
TAG 유아교사, 기호와 사유, 배움, 들뢰즈, 교사역량, early childhood teacher, signe and thinking, learning, Deleuze, teachers` abilities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국어과 수행 과제 구성 방안: 「독서」교과서의 ‘사실적 읽기’ 단원을 중심으로
김소현 ( Kim So-hyu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412~423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된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교수 학습 방안으로서 백워드 설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독서 단원의 수행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핵심적인 내용들을 분석하였고, 국어과의 독서 영역 수행 과제를 구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백워드 설계 방식의 절차들을 살펴보았다. 역량과 이해를 강조하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백워드 모형은 유용한 교육과정 설계 모형으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 모형을 반영하여 수행 과제의 구성할 경우 학습 내용에 대한 상황적 접근이 가능하여 목표와 수업, 평가 간의 연계를 명확하게 규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성을 강조하는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하여 국어과 수행 과제를 구성하게 될 경우 학생들은 국어 수업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얻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인식을 분명히 할 수 있으...
TAG 국어과 교육과정, 백워드 설계, 수행 과제,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backward model, performance tasks
초등영어 과정중심 평가모형 개발 및 적용
박재희 ( Park Jae-hee ) , 정현성 ( Chung Hyuns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367~38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영어학습자를 대상으로 과정중심 영어 듣기·말하기평가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정중심 평가에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과정중심 평가모형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한 후, 이를 토대로 과정중심 듣기·말하기 평가모형과 평가모형 적용 과제를 개발하였다. 과정중심 듣기·말하기 평가모형은 ‘해석단계’, ‘상호 이해확인 단계’, ‘창의적 언어표현단계’로 구성된다. ‘해석단계’는 듣기를 통해 주요내용을 파악하고 주요표현들을 파악하는 단계이다. ‘상호 이해 확인 단계’는 짝과 역할놀이를 하면서 들은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이다. ‘창의적 언어표현단계’는 듣기 주제를 토대로 자유롭게 영어로 묻고 답하는 단계이다. 학습자는 이 단계를 순서대로 밟으면서 듣기와 말하기 의사소통 과제를 수행하였다. ...
TAG 과정중심평가모형, 영어 듣기와 말하기, procedure-based assessment model, listening, speaking
2009·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대한 비교·분석과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종학 ( Lee Jong-hak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451~47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습내용 및 성취기준과 비교하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에서의 변화 여부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실제적으로 구현하는 교사들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된 측면들을 어느 정도 파악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변화된 내용을 이동, 삭제·추가, 수정·통합의 측면으로 제시하였으며,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들을 대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된 내용을 문항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및 성취기준에서 큰 변화는 없었으며, 변화의 측면도 추가보다는 대부분 이동과 통합, 수정과 삭제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
TAG 2009·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2009 and 2015 reformed curriculum for mathematics, achievement standards
기초과학, 응용과학, 융합과학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구조 탐색
이준기 ( Lee Jun-ki ) , 신세인 ( Shin Sein ) , 정덕호 ( Chung Duk-ho ) , 박경진 ( Park Kyeong-jin ) , 하민수 ( Ha Mins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7] 제56권 제4호, 487~499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사들의 기초과학, 응용과학, 융합과학에 대한 인식구조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언어 네트워크 분석(SNA)을 통해 과학교사들의 기초과학, 응용과학, 융합과학에 대한 인식을 탐색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160개 학교에 재직하는 252명의 과학교사들이 참여하였고,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텍스트 자료를 바탕으로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교사들은 기초과학에 대해서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교과 형태로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과학교사들은 응용과학에 대해서 기초과학을 토대로 실생활에 응용하는 과학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셋째, 과학교사들은 융합과학에 대해서 과학 내의 교과통합 혹은 기초과학과 응용과학의 통합 형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
TAG 기초과학, 응용과학, 융합과학, 과학교사, 언어 네트워크 분석, 인식구조, basic science, applied science, convergence science, science teacher, semantic network analysis, perception structure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