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21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 적용 실태 분석
곽영순 ( Youngjun Kwak ) , 하지훈 ( Ji-hoon Ha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463~47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정중심평가의 초등학교 현장 적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133명)와 초등학생(2,089명)을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와 관련된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고, 8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초등교사들은 과정중심평가의 도입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도입 이후 수행평가 유형이 증가하고, 전통적 평가방법의 활용이 감소하는 변화가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과학 수업에서 과정중심평가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개별적 지원이나 긍정적 피드백 등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을 통해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이해 부족, 실제 적용을 위한 시간 부족 등과 같은 초등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적용의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
TAG process-centered assessment, 2015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science education, 과정중심평가,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교육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이재봉 ( Jaebong Lee ) , 구자옥 ( Jaok Ku ) , 최원호 ( Wonho Choi ) , 심규철 ( Kew-cheol Shim ) , 신명경 ( Myeong-kyeong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473~483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
TAG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achievement standard, middle school, achievement characteristics,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생, 과학 학업성취, 성취기준
과학 상태호기심 및 과학 상태불안 측정도구 개발
강지훈 ( Jihoon Kang ) , 유병길 ( Pyoungkil Yoo ) , 김지나 ( Jina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485~50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학습 상황을 과학 문제 대면, 결과 확인, 과학 개념 학습의 세 단계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러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과학 상태호기심과 과학 상태불안을 세 단계의 학습상황에 맞게 정의하였고, 이 정의에 맞게 예비 문항을 개발하였다. 예비 문항은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의 변화도 파악할 수 있도록 단계별로 문항 수와 기본틀이 동일하게 개발하였다. 안면타당도와 내용타당도 검증과정에서 일부 예비 문항을 수정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본 측정도구는 각 단계별로 상태호기심 5문항과 상태불안 5문항(2요인 10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본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를 확보하였다. 크론바흐 알파값은 요인별...
TAG Science State Curiosity, Science State Anxiety, Validity, Reliability, Development of Measurement, 과학 상태호기심, 과학 상태불안, 타당도, 신뢰도, 측정도구 개발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e-AEQ-KMS) 개발과 타당화
전지영 ( Jiyung Jeo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503~514페이지(총12페이지)
성취 정서가 학생들의 성취 활동 및 결과와 직접으로 연관된 정서라는 점에서, 코로나 19로 인한 이러닝 수업의 확대와 같은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필연적으로 학생들의 성취 정서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며, 이러닝 수업환경에서 학생들의 성취 정서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질문지의 개발은 관련 연구의 바탕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수업에서의 한국 중학생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e-AEQ-KMS)를 타당화 과정을 거쳐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e-AEQ-KMS는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 정서 질문지(AEQ-KMS)을 바탕으로 이러닝 과학 수업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수업상황, 학습상황, 시험상황 등의 3가지 학업 상황에서 즐거움, 희망, 자부심, 안도감, 화, 불안, 지루...
TAG e-learning, achievement emotion, science achievement emotion,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questionnaire, the control-value theory, 이러닝, 성취정서, 과학영역 성취정서, 성취정서 질문지, 질문지의 개발과 타당화, 통제-가치이론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평가 도구 및 평가 현황 탐색
백종호 ( Jongho Baek ) , 변태진 ( Taejin Byun ) , 이동원 ( Dongwon Lee ) , 심현표 ( Hyeon-pyo Sh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515~529페이지(총15페이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신설된 과학탐구실험은 과학적 실천을 통한 과학의 학습과 핵심역량의 함양 등의 측면에서 기대를 받고 있는 과목이다. 특히, 변화하는 평가의 맥락에 기초하여 실천중심의 교과목인 과학탐구실험에서의 다각화된 평가가 운영될 필요가 있으나, 이에 대한 다양한 어려움과 한계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탐구실험의 평가 현황을 살피고, 이로부터 평가의 운영과 지원 방안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5명의 현직 과학교사로부터 과학탐구실험 수업에서 사용되었던 평가 도구와 이에 대한 설명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평가 도구의 분석은 평가 요소, 평가 기준, 평가 방법의 측면에서 이루어졌고, 평가 결과가 어떻게 활용되는지도 살펴보았다. 결과에 대한 타당성 확보를 위해 과학교육전문가와 교사들로부터 점검을 받았고, 추가적...
TAG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student assessment, scientific inquiry, 2015 revised curriculum, 과학탐구실험, 학생 평가, 과학 탐구, 2015 개정 교육과정
2011년 전후의 과학교육분야에서의 융합교육 연구동향의 변화 탐색
송영욱 ( Youngwook Song ) , 백성혜 ( Seoung-hey Pai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531~542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교육분야에서 꾸준히 지속해 오고 있는 융합교육을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2011년 이후 융합교육 연구동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과학교육분야의 융합교육관련 논문 발행편수, 연구대상, 연구내용, 주제연계를 선행연구와 비교 분석하고, 최근 연구동향을 알아보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융합교육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과학교육분야에서 융합교육관련 논문 편수는 8.0%이상 꾸준하게 발행되었으며 2012년부터 증가했다가 다시 2015년부터 낮아지고 2017년부터 다시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초등학생 대상이 높은 반면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대상은 낮았다. 현직 교사는 증가한 반면에 예비 교사는 감소했고, 문헌과 일반은 다소 증가하였다. 연구내용에서 효과연구는 감소한 반면에 개발연구는 증가했으며, 이론 및 인식연구...
TAG science education journal, convergence education, research trend, network analysis, keywords, 과학교육 학술지, 융합교육, 연구동향, 네트워크, 키워드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모델링 PCK를 중심으로-
엄장희 ( Janghee Uhm ) ,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543~563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과학적 모델 구성 수업을 적용하는 동안, 두 교사의 수업 실행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탐색하고, 이러한 변화를 교사의 모델링 PCK 발달 측면에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학년 2개 반 학생들과 이들을 가르치는 교사 2명이었고, 과학의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단원에서 4가지 주제로 총 8차시동안 모델링 수업을 도입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체 수업 중 교사의 변화를 가장 잘 보여주는 수업 초반(1-2차시)과 수업 후반(7-8차시)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두 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및 이와 연관된 모델링 PCK를 분석하였다. 수업 실행 변화는 GEM cycle의 모델 생성, 평가, 수정 단계에서 각 단계에 할애한 시간과, 피드백의 양 및 피드백의 내용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A교사는 수업 전반에...
TAG Scientific Model, Scientific Modeling Class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deling PCK, Teaching Practice, 과학적 모델, 과학 모델링 수업, PCK, 교육학적 내용 지식, 모델링 PCK, 수업 실행
교사학습공동체 교사들의 과학 실천 기반 수업을 위한 PCK 구성
양정은 ( Jungeun Yang ) , 최애란 ( Aera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5호, 565~58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과학 실천 수업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를 형성한 5명의 중학교 과학 교사들이 1년간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과학 실천 수업에 관한 어떠한 PCK를 구성하였는지 분석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은 협력적인 수업 설계, 수업 실행 공유 및 성찰을 반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설문과 면담을 시행하고, 교사학습공동체 모임에 참여 관찰 및 녹음을 하고, 수업계획안, 과학 실천 수업 녹화 영상, 수업 일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PCK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연역적으로 분석하고 다시 귀납적 분석을 통해 그 범주를 정교화하고 수정하여 본 연구의 교사들이 과학 실천 교육과정, 과학 실천 교수 전략, 학생의 과학 실천 학습, 과학 실천 학습평가의 네 가지 PCK 요소에 포함된 총 11개 하위 요소의 PCK를 구성한 것을 밝혔다. 본 연...
TA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er learning community, science practice, 교과교육학적지식, 교사학습공동체, 과학 실천
융합적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실행 -조사연구 및 자기연구-
이수아 ( Lee Sooah ) , 전영석 ( Jhun Youngseo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4호, 359~374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자기연구의 복합 형태로 구성되었다. 조사연구로서 초등 교사의 융합 수업 및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대표하는 사례로서 교사이자 연구자인 “나”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융합 수업을 실행하는 교사로서 나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을 살펴보고, 속력을 주제로 수학-과학-체육의 가족 유사성에 근거한 융합 과학수업 프로그램을 지도한 양상을 자기연구로 실행하였다. 초등 교사들의 융합 수업과 융합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개방형 검사 문항을 초등 교사 28명에게 서면 질의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연구에 참여했던 초등 교사들은 융합 수업을 교과 활용적 접근 또는 다학문적 접근의 융합으로 생각하였다. 융합 지식을 개별 교과의 집합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융합된 지식은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
TAG Family resemblance, Velocity, Convergence science teaching, Epistemological beliefs, Self-study, 가족 유사성, 속력, 융합 과학교육, 인식론적 신념, 자기 연구
물질의 입자성 개념에서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의 개발과 적용
이재원 ( Jaewon Lee ) , 박가영 ( Gayoung Park ) ,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0] 제40권 제4호, 375~383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증강현실을 활용한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학업 성취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 2학년 학생 136명을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학생들은 네 차시 동안 물질의 특성과 관련한 입자 개념을 학습하였다. 이때 처치 집단의 학생들에게는 증강현실이 제공하는 표상들 사이의 연계와 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다중 표상 학습 전략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이해도, 과학 수업에 대한 즐거움 검사에 대한 처치 집단의 점수는 학생들의 사전 성취 수준과 무관하게 통제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개념 이해도 검사의 하위 개념 중 입자의 보존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분포 및 운동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
TAG augmented reality, multiple representation-based learning,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증강현실, 다중 표상 학습, 물질의 입자성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