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독서학회60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독서진흥을 위한 환경과 독서정책
박인기 ( In Gee Par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6권 335~358페이지(총24페이지)
‘독서환경’의 개념은 생태학적 바탕에서 이해되는 것이 유익하다. 즉 독서 현상을 둘러싼 모든 관계적 요소들이 연속적이고도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구조로‘독서환경’을 파악해야 한다. 독서환경은 다음과 같은 다층위범주의 총체적 체제로 파악하고 접근해야 한다. 1) 가시적 범주(양적 범주)/ 비가시적 범주(질적 범주) 2) 독서활동 내적 범주(구조적?비연속적 범주)/ 독서활동 외적 범주(생태학적?연속적 범주) 3) 개인적 범주/ 기관?단체 범주/ 사회?문화적 범주/ 국제환경 범주 4) 법적?제도적 범주/ 시설?기구 범주/ 프로그램 운용의 범주 5) 철학 범주/ 정책 범주/ 기술 범주/ 관습 범주 6) 출판 범주/ 교육범주/ 직업 범주/ 여가 범주/ 소통범주/문화?예술 범주/ 특수환경범주 따라서 독서정책은 독서의 기능과 작용에 대한 장기적인 믿음을 전제로 해야 ...
TAG 독서 환경, 독서 정책, 독서현상, 재개념화, reading environment, reading policy, reading phenomena, reconceptualizing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순영 ( Soon Young Lee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6권 359~381페이지(총23페이지)
이 논문은 독서 동기와 몰입 독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학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한것이다. 체계적인 논의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그 영향 요인을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첫 번째, 학생들의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텍스트 요인’으로는 텍스트의 난이도, 텍스트의 이미지나 일화, 인물, 언어, 이야기 구조와 반전, 주제와 독자와의 관련성 등을 검토하였다.‘ 독자 내적 요인’은 독서 동기와 몰입에 영향을 주는 독자의 내재적 요인으로 독자로서의 자아효능감, 자율성, 기대, 호기심, 독서에 부가하는 가치 등이 대표적이다. 독서 동기와 몰입에의 영향 요인으로 가장 주목받고 있는‘교사, 교수학습, 교실환경 요인’으로는 교사의 교수 동기와 학생에 대한 관심, 도전적이고 흥미로운 열린 과제, 자율성과 선택을 강조하는 학습 분위기, 협동하고 존중하...
TAG 독서 동기, 몰입 독서, 자아효능감, 독해, 영향 요인, reading motivation, reading engagement, reading comprehension, a reader`s selfefficacy, affecting factors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6권 383~405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는 읽기 태도 검사 도구를 체계적으로 개발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기 위해 읽기 태도의 개념과 성격을 정리하고, 그것의 국어교육적 의의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읽기 태도는 읽기를 추동하는 정의적 요인으로 읽기 능력과 성취, 자아 계발, 사회생활, 독서문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읽기 태도는 가치, 흥미, 선호, 동기, 의도와 구분되는 개념인데,‘ 읽기를 대상으로 좋고 싫음의 평가를 내리고 그러한 평가에 따라 읽기 상황에 접근하거나 회피하는 등의 반응을 일관되게 산출하는 심리적 경향’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읽기 태도가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로 구성됨을 의미한다. 읽기 태도는 읽기 교육의 목적이면서 결과이고 수단으로 볼 수 있으며, 관련 대상으로 전이되는 성질을 갖는다. 한번 형성된 읽기 태도는 지속적이...
TAG 읽기 태도, 가치, 흥미, 선호, 동기, 의도, 읽기 모델, 정의적 영역, reading attitude, value, interests, preference, motivation, intention, reading model, affective area
인문과학의 발전과 독서
조한욱 ( Han Ook Cho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9~29페이지(총21페이지)
본고에서는 서양의 역사에서 독서의 관행이 시대별로 인문학의 발전에 어떤 방식으로 기여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 주제는 엄청나게 방대한 것이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인상적으로 파편적인 독서 사례의 다양한 면모를 소개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독서의 역사는 이제 하나의 독자적인 연구 영역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으며. 각 시대마다 상이한 독서의 방식이나 태도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인문학의 발전에 도움이 되었다. 본고에서는 12세기의 르네상스에서 독서가 차지하는 위치에서부터 중세의 서임권 투쟁과 종교 개혁에서 고서나 성서의 해석을 둘러싼 논쟁이 인문학의 방법론을 발전시킨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고, 르네상스 시대의 독서 관행에 대해 페트라르카와 몽테뉴를 통해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데카르트와 비코, 루소, 해밀턴과 같은 인물에게 있어 독서가 사상 형성에 미친 영향을 살펴...
TAG 독서, 인문학, 세르토, 중세, 서임권 투쟁, 르네상스, 데카르트, 비코, 루소, reading, humanities, Certeau, Middle Ages, Renaissance, Descartes, Vico, Rousseau
과학의 역사와 함께 과학책 읽기
이문규 ( Moon Kyu Yi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49~68페이지(총20페이지)
이 글의 목적은 과학의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과학의 역사를 되돌아보면서, 읽어 볼 만한 과학책을 소개하고 효과적인 과학책 읽기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전통과학, 근대과학, 현대과학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펴본 과학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즉, 전통시기 동안 과학은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서양세계와 동아시아에서 각기 다른 모습으로 시작되고 전개되었다. 16-17세기 유럽에서는 과학혁명이 일어나 근대과학이 형성되었다. 이후 물리학, 화학과 같은 개별 과학이 근대적인 체계를 갖추게 되었으며, 과학자들의 전문직업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19세기 중반부터 과학적 지식이 직접기술에 응용되기 시작했다. 20세기 이후 과학은 기술과 긴밀하게 결합하여 인류문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읽어볼 만한 과학책에는 과학고전, 과학자 전기, ...
TAG 과학의 역사, 과학책 읽기, 동아시아의 과학, 전통과학, 근대과학, 현대과학, History of Science, Science Book, East Asian Sciences, Traditional Science, Modern Science
사회를 담고 있는 글쓰기, 사회를 만들어 내는 글 읽기
설규주 ( Kyu Joo Seol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51~7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사회과학이 태동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독서’라는 행위와 어떤 상호작용을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문학과 자연과학에 비해 뒤늦게 출발한 근대 사회과학은 실증주의적 방법과 해석학적 방법을 통해 발전해 왔다. 실증주의적 전통은 자연과학의 연구방법을 사회과학에도 도입하자는 방법론적 일원론을 주장한다. 해석학적 전통은 사회현상은 자연현상과 전혀 다르므로 사회과학에 보다 적합한 다른 연구방법을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두 개의 전통은 상대 진영의 비판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더욱 세련되어졌고 그와 함께 사회과학 분야의 글의 질적 수준도 점차 높아졌다. 두 가지 방법적 전통 속에서 쓰여진 사회과학의 글은 사회발전과 관련하여 양면성을 지닌다. 한편으로, 사회과학의 글쓰기와 글 읽기는 사회발전의 종속변수로서의 속성을 띠고 있다. 즉, 사회과학의 글은 사회에 의해 규정된...
TAG 사회과학, 실증주의, 해석학, 글쓰기, 글 읽기, 대중, 주체성, social science, positivism, hermeneutics, writing, reading, the public, autonomy
예술적 창의성과 비판적 독서
김한결 ( Han Kyul Ki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81~101페이지(총21페이지)
본 논문은 예술창조과정을 문제해결과정으로 간주하는 목적이론 아래 예술적 창의성과 비판적 독서와의 관계를 고찰한다. 예술적 맥락에서 적합한 미학적 문제를 발견하고 그것을 풀이하는 과정이 예술창조의 과정이며, 비판적 독서는 문맥에 적합하고 올바른 문제를 스스로 제기하고 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상황과 맥락에 대한 판단력 그리고 그에 가장 적합한 해답을 찾는 능력은 그 자체 비판적 사고이며 바로 이러한 사고력이 예술창조에서도 요구된다. 상황에 적합한 물음을 제기하고 보다 낳은 판단과 결정을 지향하는 비판적 사고가 예술적 창의성과 비판적 독서를 연관시키는 고리임을 논한다. 그러할 때 감상과 비평에서의 비판적 사고도 논해질 수 있다. 감상은 예술가가 창의적으로 발견한 문제와 그 문제를 예술적 매체 내에서 풀이해가는 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과정으로 간주될 ...
TAG 예술적 창의성, 비판적 독서, 비판적 사고, 문제해결, 적합한 문제, Artistic Creativity, Critical Reading,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Adaptive questions
초등학교 현장의 독서 문화 비판
김도남 ( Do Nam Kim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105~136페이지(총32페이지)
학생 독서 문화는 질적 독서가 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질적 독서는 텍스트를 통하여 의식 구조의 변화와 인식체계를 새롭게 하여 합리적 판단 능력을 높이는 독서이다. 독서 문화의 본질은 독서 현상보다는 독서 이면에 들어있는 사회의 독서 기대 의식과 교육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드러날 수 있다. 또한 독서 문화의 개선은 독서 의식의 변화를 통하여 독서 현상을 새롭게 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독서 문화의 비판은 두 가지 방향으로 구분하여 할 수 있다. 사회의 독서 지원 의식과 학교의 독서 교육이다. 학생 독서를 지원하는 사회의 의식은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독서 목록을 제공하여 학생들에게 양질을 책을 읽히려는 의식이다. 둘째는 절대 독서 시간을 확보하여 독서 시간을 늘리자는 의식이다. 셋째는 많은 독서 양을 강조하여 많이 읽게 하자는 의식이다....
TAG 초등 독서, 독서 문화, 질적 독서, 독서 교육, 도서 목록, 읽기 능력, elementary school reading, reading culture, qualitative reading, reading instruction, reading books catalogue, reading ability
중등학교 독서 문화 비판
박혜영 ( Hye Young Park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137~172페이지(총36페이지)
중등학교 독서 문화 비판 박혜영이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독서 문화에 나타난 문제점을 비판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문제점에 대한 해결 방법을 생각해보는데 있다. 먼저 중등학교 독서 문화 비판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2004년부터 200년까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진 대단위 독서 실태 조사들을 정리·분석해보고, 그에 대한의문점으로부터 중등학교 독서 문화의 문제점을 다음의 다섯 가지를 도출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책을 읽지 않는 학생들이 가장 심각한 문제이다. 부족한 독서 시간을 위해 학교 교과과정 내에 독서 시간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독서 자체를 즐길 수 있는 내적 독서 동기 유발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둘째, 학생들의 독서 내용이 건전하지 못하다. 인터넷 소설류를 즐겨 읽거나 학습 독서에만 치중하기 때문에 다양하고 폭넓은 독서가 되지 못하고 있다...
TAG 중등학교 독서 문화, 독서 문화, 독서 실태, 독서 문화 비판, 독서 시간, 독서율, 독서 내용, 독서 지도, 독서 모델, 학교도서관, Korean Reading Culture Critique, Secondary school, A actual reading condition, Reading instruction, A model of reading, A school library
대학에서 학제적 독서 교육의 실제와 전망
한금윤 ( Keum Youn Han )  한국독서학회, 독서연구 [2006] 제15권 173~205페이지(총33페이지)
본 논문은 현재 대학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서 교육의 특징 및 전망을 고찰한 것이다. 대학에서 독서는 개인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차원에서 중요한 활동이다. 대학에서 독서 활동은 사회적 자아를 신장시키기 위해서 중요하며, 지적인 성찰을 통하여 사회 문제를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사회 변화의 주체가 되기 위한 활동으로써 중요하다. 그런데 최근 한국 대학생들의 독서 실태를 보면, 독서를 기피하거나 흥미 위주의 독서에 치우친 경향이 강하다. 그리하여 대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낳고있다. 더욱이 21세기는 정보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정보가 폭발적으로 제공되는 사회로, 이 사회를 이끌어가는 대학생들에게는 정보를 취사선택할 수 있는 안목과 새로운 정보를 만들 수 있는 창의적인 능력이 요구된다. 즉, 문제를 다각적이고도 종합적으...
TAG 교양 교육, 학제적 독서 교육, 문제해결 능력, 비판적 사고, 창의적 사고, 의사소통, liberal educa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 of reading, the ability of solving problem, critical thinking , creative thinking, communication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