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AND 간행물명 : 공연문화연구5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간보 창안의 주체
임현택 ( Yim Hyun-tae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415~440페이지(총26페이지)
2015년 9월 23일 교육부는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일부 개정되었는데, 그 큰 틀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음악과의 영역 안에서 정간보는 초등학교 3∼4학년의 교육과정에서 이미 노출되고 있기는 하지만, 정간보의 명칭 유래 및 창안 배경을 비롯한 악보 읽는 방법, 음높이 및 음길이 나타내는 방법 등에 관한 학습 내용은 5∼6학년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정간보는 15세기 중엽 조선조 세종에 의해 창안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유량악보로 알려져 있으며, 현전하는 악보 중 가장 오래된 악보인 _세종실록 악보_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국악 관련 전문서적은 ...
TAG 정간보, 세종, 신악 창제, 한글 창제,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Jeongganbo, King Sejong, the creation of Sinak, the invention of Hangeul, the 2015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1950년대 이후 한국공연예술 교육의 현장 회고 - 이병옥의 공연예술 교육생애를 중심으로 -
이병옥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313~326페이지(총14페이지)
2015년 9월 23일 교육부는 초ㆍ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지향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고시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 또한 일부 개정되었는데, 그 큰 틀은 2009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음악과의 영역 안에서 정간보는 초등학교 3∼4학년의 교육과정에서 이미 노출되고 있기는 하지만, 정간보의 명칭 유래 및 창안 배경을 비롯한 악보 읽는 방법, 음높이 및 음길이 나타내는 방법 등에 관한 학습 내용은 5∼6학년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정간보는 15세기 중엽 조선조 세종에 의해 창안된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유량악보로 알려져 있으며, 현전하는 악보 중 가장 오래된 악보인 _세종실록 악보_에서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국악 관련 전문서적은 ...
박송희 명창의 삶과 예술 활동
채수정 ( Chae Soo-j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255~287페이지(총33페이지)
본 논문은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판소리 흥보가의 예능보유자였던 박송희 (1927-2017)명창의 삶과 예술활동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박송희명창은 우리나라 판소리 근현대사를 잇는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며, 예술활동 또한 판소리와 여성국극, 창극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족적을 남겼다. 그중 논문에서는 권번에서 시작된 박송희 명창의 판소리 입문과 학습에 관한 내용과, 단체를 통한 예술활동과 개인 판소리 공연과 교육활동을 제시하였다. 박송희 명창은 13세에 광주 권번에서 판소리, 검무, 승무, 가야금 풍류, 양금, 가곡 등을 수학하였다. 5년이 지난 후 광주 권번을 졸업하고, 19세 즈음 김연수가 이끄는 ‘협률사’에 입단하여 활동 하였다. 그 후 30세 즈음 김소희가 이끄는 ‘여성국악동호회’를 거쳐, ‘햇님국극단’, ‘새한국극단’에서 여성국극 배우로 ...
TAG 박송희, 판소리, 창극, 여성국극, 국립 창극단, Bak Songhui, pansori, Changgeuk, Yeoseong Gukkeuk,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서울굿을 중심으로 본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
홍태한 ( Hong Tea-ha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505~530페이지(총26페이지)
이 논문은 서울굿을 중심으로 무형문화재 지정 종목 전수교육 학습 방법의 의미를 살핀 글이다. 최근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공포되면서 ‘원형’을 대신하여 ‘전형’이 전승의 중요한 축으로 떠올랐다. 전형의 개념에 대해 학자들 간에 논란이 벌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고정된 틀을 지켜야 하는 원형 중심에서 벗어나 전승자에 따라 자유로운 변개가 어느 정도 가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종목 중 무당굿의 전수교육 학습 방법을 살펴보니 오히려 원형을 강조하거나 학습의 중점에 두고 있다. 국가 무형문화재 황해도평산소놀음굿, 서울틀별시 무형문화재 남이장군사당굿, 봉화산도당굿 등의 학습 방법을 예로 들어 이러한 실상을 제시했다. 최근 무당굿을 전수하는 학원식 교육이 널리 퍼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무형문화재로 인정된 여러 종목들은 무형문화...
TAG 원형, 전형, 무형문화재, 서울굿, 전수교육, 전승, archetype, prototyp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Seoul-gut, education to transmit, transmission
국내학술논문을 통해 살펴 본 연극의 교육성관련 연구 동향
김수연 ( Kim Su-yo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649~691페이지(총43페이지)
연극의 교육성에 관한 현장과 학계의 관심은 나날이 높아져 가고 있다. 연극의 교육성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시점인 1990년대 중 후반부터 현재까지 매년 관련 연구논문의 수는 증가하고 있고 점차 다양화된 주제와 형태를 가진 연구들을 발견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그간 연극의 교육성 관련 연구사를 정리하는 것은 그 동안의 성과를 되돌아보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본고는 1990년대부터 2017년 4월까지 KCI 등재지를 통해 소개된 연극의 교육성 관련 연구 동향을 계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자와 현장 전문가의 혼란을 해소하기 위해 특별히 한국에서 생산되어 널리 쓰이고 있는 연극교육, 교육연극, 연극놀이라는 용어를 정리하였다. 각 년대별 연구대상연령, 연구형태, 연구주제와 발표 수를 살펴보며 도입기, ...
TAG 연극의 교육성, 연극의 교육성관련 연구 트렌드, 교육연극, 연극교육, 연극놀이, study trend, educational influence, drama, theatre, South Korea
옥중가를 통해 본 김소희의 음악적 선택
김혜정 ( Kim Hey J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75~102페이지(총28페이지)
만정판 춘향가는 만정 김소희가 정립한 것으로 정정렬, 송만갑, 정응민, 김연수, 박동실, 정광수 등의 소리를 취사 선택하여 새로이 짠 것이다. 춘향가의 상당부분은 정정렬과 정응민, 송만갑, 김연수 등의 소리를 바탕으로 하였지만 옥중가 한 대목만은 박동실의 것을 갖고 온 것이라고 김소희가 언급한 바 있다. 그런데 박동실제 춘향가가 어떤 음악적 특징을 지녔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 그런 상황에서 김소희가 남겨 놓은 박동실제의 대목소리는 박동실제 춘향가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리고 다른 모든 대목들과 달리 굳이 옥중가는 박동실제를 써야만 했다는 것은 그만큼 차별성이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소희 창 옥중가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박동실제의 독자성이 무엇인지, 김소희의 음악적 선...
TAG 만정판, 춘향가, 김소희, 박동실, 옥중가, Manjungpan, Chunhyangga, Kim Sohee, Park Dongsilje, Okjungga.
중고제 판소리의 대중화 방안
정병헌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29~43페이지(총15페이지)
만정판 춘향가는 만정 김소희가 정립한 것으로 정정렬, 송만갑, 정응민, 김연수, 박동실, 정광수 등의 소리를 취사 선택하여 새로이 짠 것이다. 춘향가의 상당부분은 정정렬과 정응민, 송만갑, 김연수 등의 소리를 바탕으로 하였지만 옥중가 한 대목만은 박동실의 것을 갖고 온 것이라고 김소희가 언급한 바 있다. 그런데 박동실제 춘향가가 어떤 음악적 특징을 지녔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 그런 상황에서 김소희가 남겨 놓은 박동실제의 대목소리는 박동실제 춘향가에 대한 궁금증을 증폭시키고 있다. 그리고 다른 모든 대목들과 달리 굳이 옥중가는 박동실제를 써야만 했다는 것은 그만큼 차별성이 있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김소희 창 옥중가의 음악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박동실제의 독자성이 무엇인지, 김소희의 음악적 선...
굿공연사 기술을 위한 시고- 굿의 공연화 방법 모색을 위한 -
김형근 ( Kim Hyung Ku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693~724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은 굿의 공연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그 방법을 찾기 위해 먼저 지금까지 이루어졌던 굿공연을 정리해야 했다. 무엇보다 공연의 미덕은 ‘다양성 창출'이라고 생각하기에 기존의 공연 문법을 정리하고, 이와는 다른 길을 모색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본격화된 굿공연을 정리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었다. 기존에 한 번도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본 연구자의 직·간접적인 경험에 의거하여 중요한 공연들을 시대순으로 정리해보았다. 무엇보다 공연을 가능케 하는 것은 그 공연의 기획자(때론 개인이 아닌 그룹일 수 있고, 때론 기관이다)이기에 이들을 주목하였다.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공간사랑, 굿학회, 마당세실극장, 서울놀이마당, 국립국악원이 굿공연의 중심 공간 및 기획 주체였다. 굿공연사 기술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작...
TAG 굿공연, 굿학회, 공간사랑,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마당세실극장, 서울놀이마당, 국립국악원, 놀이패 신명, The광대, Gut Performance, The National Folk Art Performance Contests in Korea, Theater `Space Sarang`, The Association of Gut, Theater `Madangsesil`, Seoul Nori Madang, National Gugak center, Madang
판소리 중국(中國) 강창문학(講唱文學) 기원설(起源說) 재론(再論)
서유석 ( Seo You-seo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103~135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판소리의 중국 강창문학 기원설을 재검토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는다. 김학주에 의해 처음 제시된 판소리 강창문학 기원설은 판소리와 중국 강창문학의 공통점과 연관성을 확인하는 데에는 성공했지만, 작품내용 비교나 연행 형식 비교를 통해 판소리가 중국 강창문학에서 기원했음을 직접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실제로 판소리와 중국 강창문학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 요소들은 판소리와 강창문학이 ‘한 사람’의 창자가 서사를 연행하면서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맡아야하는 연행적 상황 하에서 똑같이 드러날 수밖에 없는 현상에서 기인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행적 환경의 동일성 때문에 판소리 광대론과 고사계강창의 예인론이 매우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 사람의 창자가 커다란 서사의 스펙트럼을 다수의 청중에게 제시하기 위해, 강창문학과 판소리는 ...
TAG 판소리, 강창(講唱)문학, 창자, 연행, 구비서사시, Pansori, tale-song literature (works involving the alternation of song and tale), singer, performance, oral epic
문화예술교육에서 무용교육의 위치와 기능
황정옥 ( Hwang Jeong-o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공연문화연구 [2018] 제36권 531~551페이지(총21페이지)
삶의 윤리적 과제가 짙어지고 있는 동시대에 문화예술교육과 무용이 추구하는 교육적 특질은 삶의 성찰을 위한 경험이다. 삶을 위한 예술로서 미적 경험이 일상의 영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것이다. 무용교육은 문화예술교육 정책 등장과 맞물려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으로 확산되었고 다양한 교육적·예술적 실험과 도전이 진행되고 있다. 그렇기에 오늘날 문화예술교육과 무용의 지향점이 어떤 관계 속에서 구성되고 있는지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영역에서 무용교육은 어떤 모습으로 묘사될 수 있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의제로서 공동체에 필요한 내용으로 제시되는 정책은 사회적 기능이 강화될 수밖에 없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때로는 정책에서 추구하는 필요에 의해 교육내용으로 담겨지는 무용의 역할이 규정되기도 한다. 필요와 실행의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엮이며 무용은 단위사...
TAG 무용교육, 문화예술교육, 예술 경험, 삶의 형식, 교육프로젝트, dance educatio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artistic experience, life form, education projec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