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19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도시발전과 사회적 합의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 - 원전건설과 방사성 폐기물 관리를 중심으로
김덕삼 ( Dug Sam Kim ) , 송창학 ( Chang Hak So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2호, 151~186페이지(총36페이지)
현대문명이 발달하면서 도시가 생겨나고, 도시가 생겨나면서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함께 발생하였다. 긍정과 부정의 양극단을 잘 조정하는 것이 바로 합의이고, 이러한 합의가 원만 히 이루어질 때 도시는 안정되게 발전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 에서 본 연구는 도시발전과 사회적 합의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 을 시도하면서, 원전건설과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원전건설과 방사성 폐기물에 대한 국내외 상황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둘러싼 갈등 요인과 그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특히, 원자력발전소와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건설 을 위해 한국사회가 겪었던 갈등의 내용을 사항별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 향후 사회적 합의를 위해 필요한 지식을 얻고자 하 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합의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을 시도해 보 ...
TAG 도시 발전, 사회적 합의, 에너지, 원전건설, 방사성 폐 기물, 인문학, 사람, urban development, social consensus, energy, construction of nuclear power plants, radioactive waste management, humanities, human
진보적 지방정치의 역사적 경험들 - 시기별 특징과 그 함의
장석준 ( Seok Joon Jang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2호, 189~218페이지(총30페이지)
중앙정치에 과도하게 집중해온 한국 좌파와는 달리 세계 사회주 의 운동은 초기부터 지역사회에 깊이 뿌리내리기 위해 노력했다. 이러한 노력은 몇 가지 뚜렷이 구별되는 단계를 거치며 전개돼왔 다. 첫 번째 단계는 사회주의·노동자 정당이 막 태동하던 19세기 말 인데, 이 시기에는 보수 세력의 지배 아래 있던 지역사회에 노동 계급 공동체를 건설하는 것이 주된 과제였다. 이탈리아와 스웨덴 의 “민중의 집”이 그 대표적인 사례다. 양차 대전 사이의 시기인 두 번째 단계에 이르러 서유럽 좌파정 당들은 지방자치단체의 여당이 돼 지역에서부터 복지국가를 건설 하기 시작했다(“붉은 비엔나” 등). 2차 대전 이후 사회민주주의 정 당들이 중앙 권력 장악에 성공한 뒤에는 주로 유럽 공산주의 정 당들이 지역 차원의 실험(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 주의 협동조합 육성 등)을 펼쳤다...
TAG 사회주의, 지방자치, 지방정치, 민중의 집, 참여민주주의, 참여예산제, municipal socialism, local socialism, left politics, people`s houses, participatory democracy, participatory budget
현대사회의 시뮬라크르, 보그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 - 후설의 이미지-의식과 사사부치의 예술작품을 중심으로
추은혜 ( Eun Hye Choo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2호, 221~242페이지(총22페이지)
패션 잡지 <보그>(VOGUE)는 그 자체로 현대 사회의 상징이 다. 보그는 하이패션의 아이콘이자 거대한 패션 산업의 선두주자 이며, 여성들로 하여금 “날씬하고 젊고 아름다울 것”이라는 강박 적 메시지를 체현하도록 하는 능동적 생산자이다. 보그가 담고 있 는 여성의 신체 이미지는 곧 ‘완벽한’ 오브제의 창출이며 현실의 여성들에게는 미의 준거점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보그에서 나타나 는 신체 이미지들은 실재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오늘 날 범람하는 보그와 같은 광고 이미지들 속에서 “보여지는 것이 곧 존재함”이라는 공식은 철저하게 붕괴되었지만, 여전히 대부분 의 사람들은 그러한 믿음을 고수하며 보그로 대변되는 유사-현실 속에서 살아간다. 본고는 세 가지의 주된 논점을 가지고 진행되는 데, 첫 번째는 광고 이미지의 양의적 속성이다. 광고 이미...
TAG 보그, 신체 이미지, 이미지-의식, 하이퍼리얼리즘, 시 뮬라크르, VOGUE, body image, image consciousness, hyperrealism, simulacre
권력과 도시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대한제국기~일제강점기 정동을 중심으로
박희용 ( Hi Yong Par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2호, 245~288페이지(총4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俄館播遷 이후 근대국가를 지향했던 대한제국 기로부터 일제 식민지기에 이르는 현재 서울 도심부의 중심공간인 貞洞을 중심으로 도시공간의 변화과정과 의미를 살펴보는 것이다. 대한제국기는 10년 남짓한 짧은 역사적 기간이었지만 현재 서울 의 도시공간에 강한 영향을 미친 시기이다. 특히 정동을 중심으로 빠르게 추진된 근대화 프로젝트는 급변하는 세계문화의 흐름 속에 서 부국강병의 근대국가를 실현하려했던 중요한 역사적 장소성을 가진 곳이다. 이러한 정동의 장소성은 국초 貞陵에서 시작되어 임진왜란 이후 임란극복의 장소라는 이미지와 함께 근대에 들어 서양 열강들의 조계지로 구성되면서 형성되어 갔다. 乙未之變 이후 고종은 러시 아공사관으로 아관파천을 하게 되고 여기서부터 본격적인 도시개 선사업이 전개되기 시작한다. 이에 皇宮인 慶運宮이 건설되고, 대 한제...
TAG 정동, 원구단, 도시개선사업, 경운궁, 태평로, 소공로, Jeong-dong, 貞洞, Wongudan, 圓丘壇, urban improvement projects, 都市改善事業, Gyeongungung, 慶運宮, Taepyeongno, 太平路, Sogongno, 小公路
창조도시 논의의 비판적 성찰과 과제
남기범 ( Kee Bom Nah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1호, 7~30페이지(총24페이지)
최근 도시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의 대안으로 문화와 예술, 문화산업 등을 활용한 창조도시정책이 강조되고 있다. 관용을 기반으로 기술과 창조적 인재를 유입해 다양성과 역동성을 창출한다는 논리는 많은 도시와 지역에서 각광받았고 지금도 많은 곳에서 창조도시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을 수립중이다. 하지만 창조도시의 논의는 20세기 후반 제인 제이콥스(Jacobs)의 이래 계속되어온 인문적 전통복원을 통한 창조도시의 추진방향과도 다르며, 실제로 후기 산업사회의 도시경제, 사회, 공간의 특성과는 괴리가 있게 진행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창조도시의 논의의 인문학적 배경과 플로리다 중심의 창조도시논의 문제점을 도시정책의 차원, 도시경제성장의 이론적 차원, 창조성의 창출논의의 차원으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창조도시정책 방향전환의 과제를 제시한다.
TAG 창조도시론 비판, 도시정책, 도시경제성장, 포스트포디스트 도시, 창조성, 리처드 플로리다, creative City, urban policy, urban economic growth, post-Fordist city, creativity, Florida
창조경제시대 도시재생의 방향 전환과 과제
이병민 ( Byung Min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1호, 33~61페이지(총29페이지)
최근의 지역재생에서는 기존의 토건 중심의 도시재생에서 인문학적 측면이 강조되는 창조적인 도시재생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창조경제의 발전에 따라 문화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의 트렌드도 바뀌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창조인력과 창조산업이 지역발전의 중요한 핵심요인으로 등장하면서, 유네스코의 사례 등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창조도시를 중심으로 도시의 핵심가치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도시재생에 있어서는 하드웨어중심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지역별 전통 및 정체성에 근간한 차별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국내외 사례에서 그 가능성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도시재생의 전환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첫째, 창의적 인력 등 자산을 확충하는 작업이 중요하며, 둘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더욱 높이는 사회생태계 활성화가 중요하며, 셋째, 실질적인 성과창출과 성공사례를 만들기 위한 ...
TAG 창조경제, 도시재생, 인문학, 창조도시, 문화, Creative Economy, Urban Regeneration, Humanities, Creative City, Culture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 이론과 공간정치 -『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신승원 ( Seung Won Sin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1호, 63~98페이지(총36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르페브르 공간생산론의 고유한 논의 지형을 제시하고, 그 실천적 함의를 밝히는 데 있다. 르페브르는『공간의 생산』에서 헤겔, 맑스의 생산 개념과 니체, 하이데거의 공간적 관점을 통합한다. 이종적인 이론적 자원을 종합하고 대안적 공간 기획의 기초를 제공하는 기초는 변증법이다. 르페브르의 변증법은 기본적으로 헤겔-맑스의 고전적인 해방기획과 연관되며, 공간의 우선성과 고유성을 강조하는 포스트모던적 주장을 포괄한다. 르페브르는 시·공간의 총체적 인식과 인간적 자연의 재창조를 주장하면서, 자본주의적 추상공간의 대안으로서 차이공간의 도래를 전망한다. 차이공간은 공간의 모순과 소유 논리에 저항하는 공간정치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르페브르에 따르면 저항적 가능성을 지원하는 힘의 원천이자, 아래로부터의 공간적 요구를 투쟁으로 결집하는 중심은 몸과 도시이다...
TAG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변증법, 공간정치, , 도시사회, Lefebvre, The production of Space, The Dialectic, The Politics of Space, The body, The Urban Society
고유섭의 미학이론을 통해 본 인천시 도시경관의 구조적 특성과 발전 방향
엄연석 ( Yeon Seok Eo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1호, 101~140페이지(총40페이지)
본 논문은 고유섭(高裕燮)의 한국미에 관한 학설과 미학을 준거틀로 삼아 역사문화적 지리적 측면과 산업발전에 따르는 공업화와 도시화의 과정, 그리고 최근 국제화와 생태문화적 정책과정에서 이루어진 인천의 다층적인 도시경관에 대하여 미래지향적이고 심미적인 도시경관 구조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고유섭은 서양미학을 연구하면서 수용한 ‘형태미’, ‘모방’, ‘무관심성’과 같은 여러 심미적 개념들을 수용하였는데, 이것들은 모든 인간의 삶의 여러 영역에서 만나는 사물들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나아가 고유섭은 구체적으로 한국미의 특징으로서 애니미즘에 바탕이 되는 역동성(意力)을 강조하였고,‘무기교의 기교’, ‘무계획의 계획’, ‘비정제성’, ‘비균제성’, ‘민예적인 것,’구수한 큰 맛’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인위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과 질박한 실용성을 강조하였다. 이런 점에...
TAG 고유섭, 인천시, 도시경관, 자연성, 민예적인 것, 문화, 심미적 가치, Go Yu-seob, Incheon, urban scope, identity, asymmetry, aesthetic value
경농경농(京農)연대기: 1918-1937 ―경성공립농업학교의 일면사를 통해 본 서울시립대학교의 역사사회학적 장소성
박윤석 ( Yoon Seok Park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1호, 143~174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은 한 시대 속에 자리했던 경성공립농업학교와 그 구성원들이 겪어낸 시간과 공간의 일단을 조명해보고자 쓰인 것이다. 한 시대는 자연의 공간 속에 인공적 자리를 만들어내고, 그 인간의 장소 속에 시기별로 당대인은 개인과 집단의 사업을 영위하는 토대를 마련한다. 이 같은 움직임의 상호작용이 공간의 생활을 만들어내고 또 역사의 공간을 이룬다고 할 때, 경성공립농업학교는 어떤 성격의 시간속에서 어떠한 형태의 공간으로 탄생하여 당대 사회의 구성요소로 기능해갔는지에 관하여 그 일면을 들여다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그리고 그 관찰의 매개로는 당대의 시간에 당대인과 더불어 존재하고 기능한 신문의 기사를 주로 활용했다. 이렇게 하여 조사 추출된 사례들은 그날의 학교와 그 구성원의 다양한 모습을 드러내 보여준다. 이는 기존 교사(校史)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은 것...
TAG 경성공립농업학교, 장소성, 1918-1937, 동맹휴학, 주민연대, 입학경쟁률, Sense of place, Year of 1918-1937. Students` strike, Alliance of community, Solidarity of nations, School of agriculture
조선족의 한국 이주 경험과 정체성 전략 -시화공단 S공장 노동자의 일터를 중심으로-
이주희 ( Joowhee Lee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도시인문학연구 [2014] 제6권 제1호, 177~209페이지(총33페이지)
이 글은 한국으로 이주한 조선족이 한국 사회의 하위집단 또는 소수자적 정체성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국민국가와 민족, 계급을 뛰어 넘는 정체성을 구성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중국의 조선족은 한국으로 이주하는 과정에서 법, 제도, 사회문화적 차별을 경험하게 된다. 다른 재외동포들과 달리 자유로운 체류를 할수 있는 권리가 없고 사실상 이주노동자로 구분된다. 이주 후 한국에서 이들이 노동하는 공간과 일의 특성만 살펴보아도 조선족이 한국 사회의 필요에 따라 유입되고 주변화 되는 현실을 이해할 수 있다. 반면 이주는 조선족에게 중국과 한국 양쪽에 걸쳐인적, 물적 네트워크가 확장되는 경험이기도 하다. 또한 조선족들 이 이주 후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일터는 한국인과 다른 국가에서 온 이주자들과의 접점이며, 조선족이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끊임없이 자기를 인식할 수밖에 ...
TAG 조선족, 공장 노동자, 이주 경험, 자기인식, 국적, 민족, 계급, 정체성 전략, Korean Chinese(JoseonJok), Overseas Korean factory workers, Migrant Experience, citizenship, ethnicity, class, migration, strategic self-identifi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