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철학5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주자의 독서론: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
황금중 ( Keum Joong Hw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249~280페이지(총32페이지)
이 글에서는 주자의 독서론을 논하되, 독서의 격물치지공부로서의 성격에 주목했다. `체험적 고찰`과 더불어 격물치지공부의 한 축을 형성하는 `독서`는, 사물의 리를 철저히 이해하고 체득하며 마음의 본체와 작용을 지극히 밝히고자 하는 격물치지적 이상을 공유하고 있었다. 삶에서의 절실하고 긴요한 문제-신심성정의 덕, 인간사의 리 등-의 궁리에 주안점을 두면서도 멀리는 자연사의 리의 탐구도 아우르고자 하는 등, 독서의 대상 범위는 격물궁리의 방대한 탐구 관심과 연계해서 광범위했지만, 삶의 핵심 진리를 체화하며 마음의 통찰적 지혜를 극대화하려는 격물치지적 초점은 언제나 견지되었다. 격물치지공부로서의 독서는 구체적으로, 삶의 절실하고 긴요한 리에 대한 철학적 소양을 길러준다고 판단되는 양서(경서)를 중심으로 하는 독서, `마음의 보존`을 그 전제요 목표로 삼는 독...
TAG 주자, 공부론, 독서, 독서론, 독서법, 격물치지, 격물치지공부, Zhu xi, philosophy of gongfu(工夫), reading, theory of reading, gewuzhizhigongfu, 格物致知工夫
선초(鮮初) 정치변혁과 정교(政敎)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 정도전과 권근을 중심으로
고요한 ( Yo Han G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1~24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선초(鮮初)의 변혁된 정치상황을 배경으로 대두된 정치(국가)와 교육의 관계(政敎)를 바라보는 두 가지 상반된 견해에 대하여 해석학적-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각각의 정당성을 분석하고, 이것이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올바른 교육정책을 수립하는데 어떤 시사점을 제공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는 것이 목적이다. 선초 주자성리학을 정교 이데올로기로 채택한 사대부들은 크게 이색 계열과 정도전 계열로 나뉘며, 각각 항산(恒産) 및 사공(事功) 우선의 공리주의 정교론과 항심(恒心) 및 교양 우선의 인격주의 정교론으로 반목(反目)한다. 정도전을 중심으로 항산(恒産) 및 사공의 중요성을 주장하는 경세가(經世家)들은 강력한 중앙집권적 교육제도를 통하여 시용(施用, 혹은 公利 및 實用)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들은 학자들이 학문과 교육을 하는 이...
TAG 정교 이데올로기, 주자성리학, 사공학, 항산우위, 항심우위, 위기지학, 위인지학, 육재, 용인, Political education, Neo-confucianism, Shih-kung chih-hsueh, 事功學, Theory of Hang San(恒産) and Hang Sim(恒心), Education for State, Education for Personality
미셸 푸코의 소크라테스 해석과 자기 배려의 교육
김석완 ( Suk Wan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27~48페이지(총22페이지)
지금까지 소크라테스 철학은 주로 "덕(德)은 지(知)다"라는 언명을 중심으로 해석되었다. 이 언명은 정신의 이성적 능력의 함양이 덕스런 삶의 전제 조건이며 이성적 능력은 주로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지적 완전성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푸코에 따르면 고대세계에서 철학은 추상적 이론을 배우고 사고과정의 정합성을 추구하며 명제의 의미를 해명하고 개념을 정의하는 것과 같은 인지적이고 인식론적 차원의 행위가 아니었다. 고대의 철학은 자아(自我)의 존재 전체의 전환의 행위이다. 그것은 보다 완전하고 나은 삶이 되도록 변화시키는 실천과 관련이 있다. 오만이나 격정, 근심으로 가리워진 비본래적인 삶의 조건으로부터 개인을 분리시켜 자아의 정수를 회복하게 하는 행위이다. 푸코는 이러한 철학의 과제를 `자기 배려`라는 말로 제시하고 이 고대철학의 전통 속에 소크라테스의 삶...
TAG 미셸 푸코, 소크라테스, 자기 배려, 자기 인식, 하이데거, 철학적 파이데이아, 정치적 파이데이아, Michel Foucault, Socrates, self-care, self-knowledge, Heidegger, philosophical paideia, political paideia, rhetorical paideia
에라스무스의『아동교육론』에서 찾아지는 플루타르코스의 흔적
김성훈 ( Seong Hoon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49~65페이지(총17페이지)
플루타르코스가 에라스무스의 교육사고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필자는 아동교육에 관한 에라스무스와 플루타르코스의 저작을 비교·분석한다. 에라스무스와 플루타르코스의 교육적 유사성은 다음의 세 가지 관점에서 관찰된다. 첫째, 그들은 타고난 본성보다 교육이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아이들의 교육을 가능한 빨리 시작할 것을 권고했다. 둘째, 그들은 부모들이 아이들의 교육을 책임질 유능하고 경험 많은 교사를 선택하기 위해 비용과 수고를 아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셋째, 그들은 아이들의 지적·도덕적 완성에 도움이 되는 인문주의 교육과정을 제안하고, 교육의 과정에서 아이들의 심리와 능력을 존중하는 인간적인 교육방법을 선호했다. 그러나 에라스무스가 그의 『아동교육론』을 저술하면서 플루타르코스뿐만 아니라 다른 고금의 교육관련 저작들(일예로 퀸틸...
TAG 에라스무스, 플루타르코스, 아동교육, 인문주의, Erasmus, Plutarch, Education, Humanism
수행평가의 타당성: 인식론적 재검토
노철현 ( Cheol Hyeon Roh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67~89페이지(총23페이지)
전통적인 객관식 시험에 대한 대안으로 등장한 수행평가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볼 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견해에 토대를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하나는, 명제의 형태를 띠고 있는 종래의 교과, 즉 이론적 지식은 방법적 지식의 단순한 추상에 불과하다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방법적 지식은 오직 실제적 문제해결활동과 관련해서만 올바른 의미를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견해는 교과로서의 이론적 지식의 성격을 왜곡한다는 점에서 그릇된 것이다. 이론적 지식은 표면상 명제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그 이면에는 암묵적 심성이 가정되어 있으며, 따라서 교과는 실제적 활동이 명제의 형태로 추상된 것이 아니라 암묵적 심성이 외부적으로 표현된 것에 해당한다. 이 점에 비추어 말하면, 수행평가에서 말하는 수행은 명제적 지식을 방법적으로 적용하는 활동, 즉 실제적 활동이 ...
TAG 라일, 수행평가, 명제적 지식, 방법적 지식, 암묵적 심성, Ryle, performance assessment, knowing-that, knowing-how, tacit mind-nature
진리교육의 문제: 비진리 인식요소에 대한 가류적 관점의 교육
류성창 ( Josh Sung Chang Ry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91~110페이지(총20페이지)
교육은 근본적으로 지식의 문제를 다루는 인간의 영역이다. 교육의 다양한 실제는 인간의 마음에, 지식의 조건 중 하나로서의 진리에 대한 특정 관점을 심어주는 효과를 가질 수 있는데, 만약 진리에 대한 관점 중, 인식적이고 사회적인 맥락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관점이 있다면, 혹은 보다 바람직한 진리관이 있다면, 교육은 더 나은 진리에 대한 관점을 기르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인식론의 전통적 조건 중의 하나인 진리조건에 대하여 간략히 검토하고, 구성적 맥락과 기능적 맥락에서 진리조건이 다루어지는 서로 다른 방식을 구분하며, 그 두 맥락에 공존하며 인식적으로 바람직한 관점인 "비진리 인식요소를 가류적으로 보는 관점"을 제시한다. 인식자가 구성적 맥락 혹은 기능적 맥락에서 진리를 다루더라도, 어느 맥락에서든지 비진리 인식요소를 가류적으로 다루...
TAG 진리교육, 인식론, 진리조건, 진리주의, 가류주의, 비진리 인식요소, 진리적 인식요소, 무진리 인식요소, Truth Education, Epistemology, Truth-condition, Veritism, Fallibilism, Epistemic elements
Ricoeur의 이야기 주체와 도덕교육
서상문 ( Sang Moon Se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111~145페이지(총35페이지)
교육철학과 도덕교육에 있어 해석학적 접근의 토대를 잡는 것이 현대 교육실천의 당면문제들을 근원적으로 대처하는 데에 절실하며 긴요하다는 각성이 본 연구의 기본방향이며 출발점이다. Ricoeur의 이야기 정체성을 통한 주체성의 해명 및 교육주체의 구성은 근대 교육학이 탄생시킨 무제약적 이성주체의 근원적 한계성과 모순성을 명확히 밝히고, 이를 통해 교육이 있어야 할 제자리를 찾으며 교육이 의도해야 할 이념의 원래모습을 회복하고자 하는 기획의 일환이다. Ricoeur를 참조한 이러한 교육해석학의 주체성 구성은 이야기 주체의 독특한 자기실현과 자기전개의 방식, 즉 이야기 속에서 주체의 1인칭과 대상의 3인칭을 모순 없이 매개하는 서사의 기제를 통해 교육현상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주객 대립의 근원적 갈등을 해소할 실마리를 제공해 준다. Ricoeur의 해석학이 역설하는...
TAG 이야기 주체, 도덕교육, 리꾀르, 교육해석학, 이야기 도덕성, 이야기 정체성, 자기성, Educational Hermeneutics, Ricoeur, Moral Edcation, Narrative Subject, Morality of Narrative, Selfhood, Identity
Holism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
오인탁 ( In Tahk Oh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147~162페이지(총16페이지)
이 논문은 Postmodernism 이후에 인문학계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새로운` 사유인 Holisim에 대한 교육철학적 성찰이다. 고전고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플라톤, 코메니우스, 루소 같은 위대한 교육사상가들에게서 우리는 holistic한 사유와 만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말해준다. 교육에 대한 합리적이고 철저한 인식관심이 holistic한 인식에 이르게 하였다. 그러나 근대의 교육과학의 전개는 교육을 전체적으로 보는 논리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보는 논리들을 다양하게 발전시켰다. 그리하여 현대의 교육과 교육학은 인간과 국가를 교육의 관점 아래서 전체적으로 인식하는 사유능력을 상실하였다. 그 결과로 학교교육은 점점 더 패리되어갔다. Holism은 이에 대한 현대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Holism을 희...
TAG 홀리즘, 메타이론, 전체, 지혜, 교육철학, Holism, meta-theory, holos, schamaim, wisdom, philosophy of education
Gaston Bachelard의 "상상력 철학"의 교육학적 의미
이상오 ( Sang O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163~188페이지(총26페이지)
상상력은-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 창의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상상력 철학`을 창시한 Bachelard는 `상상력 교육`에 대해 깊이 생각하기를 좋아했다. 그는 우선 `이성`과 `상상력`을 대치시켰지만, 궁극적으로는 (전통적 개념의) 이성이 상상력을 포괄하는 `새로운 이성`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초합리주의 논리`를 수립하였다. 이는 자유와 자율의 상관관계와도 같은 논리이다. 즉 자유로운 상상은 그냥 흩어져 카오스가 되는 것이 아니라, 선험적 영역인 이성의 우산 아래에서 자율 즉 새로운 질서 속으로 다시 모인다. 아울러 Bachelard는 의식과 무의식의 사이에 `몽상의 의식`을 위치시킴으로써 몽상과 상상으로부터 이성이 더 윤택해질 수 있다는 논리를 폈다. 이로써 그의 `상상력의 변증법`이 탄생한다. `상상력의 변증법`을 통하여 점점...
TAG 상상력, 이성, 초합리주의, 상상력의 변증법, 상상력 교육, 대화의 철학, imagination, reason, sur-rationalism, dialectic of imagination, imaginative education, philosophy of dialogue
호르크하이머의 정치교육론에 대한 이해
이종하 ( Jong Ha Lee ) ,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6권 189~209페이지(총21페이지)
하버마스나 아도르노의 교육철학에 비해 호르크하이머의 교육철학은 지나치게 과소평가되어 왔다. 정치교육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호르크하이머의 정치교육사상은 비판이론 학파 내에서 독보적인 지위를 갖는다. 그는 장기간의 중앙정부 자문활동과 정치교육연구소의 운영을 통해 전후 독일의 정치교육에 크게 기여했다. 호르크하이머의 정치교육론은 전후 독일사회의 탈(脫)나치화 과정이라는 사회문화적 배경에서 제기되었다. 그의 정치교육은 비판이론의 교육학적 전환에 기여한 사회철학의 토대위에 구축되었다. 호르크하이머의 정치교육은 과거극복을 위한 민주주의 교육이다. `삶의 전 영역에서 기초 민주주의의 실현`을 정치교육 일반의 목표로 삼고 있다. 이는 사회의 인간화, 이성적인 사회건설이라는 비판이론 이념의 충실한 반영이다. 호르크하이머 정치교육의 특징은 전체시민 대상, 교육 내용의 개방성, 예술...
TAG 호르크하이머, 정치교육, 민주시민교육, 비판적 교육학, 비판이론, 민주주의, Max Horkheimer, Civic Education, politische Bildung, Critical Pedagogy, Critical Theory, kritische Theorie, Democrac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