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철학5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윤리적 존재양식의 교육적 의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시간적 존재로서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주영흠 ( Yeong Heum Ju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5권 221~239페이지(총19페이지)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윤리를 인간교육의 관점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행복추구는 인간의 경향성이며 원하는 바를 소유하는 문제와 관련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우리가 무엇을 추구하고 향유하느냐에 따라 우리의 존재양식이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에, 상실에의 취약성을 지닌 한시적이고 가변적인 것보다는 상실을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것을 소유하라고 권유한다. 여기서 소유는 재화를 소유하는 방식과는 달리 앎으로써 소유한다는 뜻이다. 그는 이런 맥락에서 카리타스라는 사랑의 덕을 내세웠으며, 향유라는 사랑의 방법을 통하여 영원한 것을 소유할 수 있다고 보았다. 행복이라는 덕의 소유를 사랑의 방식으로 논증하면서 우리의 윤리적 존재양식을 문제 삼았던 것이다. 우리가 시간적 질서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지향하느냐?`를 점검하고 성찰하는 행위는 곧 인간교육의 과제이다. 인간교육의...
TAG 행복윤리, 시간적 존재, 취약성, 인간교육의 동력, 카리타스와 쿠피디타스, 향유와 사용, educational meaning, human happiness, temporal being, vulnerability, caritas and cupiditas, to enjoy and to use
『소학』의 도덕교육적 의미: 가치 전수와 도덕적 자율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신동은 ( Dong Eun Shin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5권 103~120페이지(총18페이지)
현대 도덕교육의 주된 물음 중 하나는 어떻게 아동의 정체성 형성에 핵심적 요소인 도덕적 가치를 가르치면서도 도덕적 자율성의 측면을 말살하지 않을까의 문제이다. 본 연구는 최근의 공동체적 도덕교육에 적합한 자율성을 "내면화한 도덕 가치의 자기화 과정"이라는 선행연구의 정의를 이용하여, 가치의 습득과 자율성의 육성이라는 두 측면에서 『소학』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소학』은 `가치의 전수`와 `전수한 가치의 자기화`라는 두 측면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를 주로 내편과 외편의 관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내편의 학습을 통해 학습자들은 배타적 욕망을 극복하고 좋은 삶의 형식에 익숙해진다. 이에 기초하여 외편의 학습은 학습자 자신의 삶의 문제를 도덕적 안목에서 평가하고 실천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본성은 활성화된다. 『소학』...
TAG 『소학』, 가치 전수, 자율성, 도덕교육, Xiao Xue, Virtue, Autonomy, Moral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교육의 자율성에 대한 교육철학적 접근
김철 ( Cheo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5~22페이지(총18페이지)
현 정부는 "자율과 경쟁"의 기치아래 교육을 개혁함에 그 이념으로써 교육의 자율성, 교육의 수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중 교육의 자율성에 관한 담론은 어제 오늘의 논쟁거리가 아닌 만큼 전혀 낯설거나 어렵지 않게 느껴진다. 더욱이 지방분권의 시대로 접어들면서 교육의 자치적 운영이 화두로 떠올랐고, 교육적 상황 속에서 자율성의 보장만이 21세기의 다원화된 사회에 걸맞은 교육의 효율성을 창출해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교육 행정가들은 교육의 자율성의 의미를 "교육에 관한 일을 그 일을 맡은 사람들이 남에 의존하지 않고 또 남의 간섭과 지배를 받는 일이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일의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의 자율성은 단지 교육에 관한 행정적 효율성을 위한 외부의 간섭을 배제한 자율적 행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닌, 교육적 상황의 전제로서 교육...
TAG 교육개혁정책, Nohl, 교육의 자율성, 교육적 인간관계, 정신과학적 교육학, 개혁교육학, autonomy of education, educational human relationship, educational policy, philosophy of education, educational reform
잘삶의 통합적 이해와 교육적 함의
김희봉 ( Hee B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23~43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잘삶(well-being)`을 통합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것의 교육적 시사점을 탐구한다. 전통적으로 잘삶에 대한 이해는 크게 객관적 이론과 주관적 이론으로 구분되어 왔다. 그러나 양자 모두 인간의 잘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 데에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적인 통합적 접근으로 루이터(Doret de Ruyter)의 `행복한 잘삶`, 화이트(John White)의 `문화관련적 잘삶`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행복한 잘삶은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선의 충족과 개인적으로 만족스런 방식에서 이들 선에 대한 의미 있는 해석을 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학생들에게 객관적 선을 소개하는 교육과 그들이 선을 의미 있게 해석하고 성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반으로서 이상의 교육이 중요함을 논의한다. 문화관련적 잘삶은 역사적으로 발전...
TAG 잘삶, 행복한 잘삶, 이상 교육, 문화 관련적 잘삶, 잘삶에 대한 권위, well-being, happy flourishing, educating children with ideals, well-being goods that are created within cultures, authority of well-being
정보의 연계망 이론에 의거한 "격물-치지-성의-정심"의 재해석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45~5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사상을 대함에 과거의 사상을 비판적으로 재해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전제 아래, 유학의 `격물-치지-성의-정심`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하였다. 재해석의 준거는 `정보의 연계망`이다. 격물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사물을 접하여 그 리(理)를 탐구함` 이나, 정보의 연계망에 의거하여 격물을 재해석 하면 `자료 취득 활동`이다. 치지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내 마음이 리를 아는 것`이나, 치지를 재해석 하면 `자료를 정보로 변환하는 취득하는 일`이다. 성의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그 마음이 발하는 바를 성실하게 하여 스스로 속임이 없는 것`이나, 치지를 재해석 하면 `정보를 지식으로 변환하는 취득하는 일`이다. 정심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뜻을 성실하게 한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바른 마음 상태`이나, 정심을 재해석 하면 `지식을 지혜로 승화하...
TAG 격물-치지-성의-정심, 정보의 연계망, 유학의 재해석, Ke wu-Chih chih-Ch`eng ui-Cheng hsin, chain of information
공부의 의미 탐색: 퇴계의 "공부론"에 나타나는 즐거움을 중심으로
박청미 ( Cheong Mi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61~79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공부`에 대한 개념사적 접근을 위한 의미 탐색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연구자는 `공부`의 의미에 접근해 감으로써 한국의 교육현상과 관련한 역사 문화적 요인을 거둬들일 수 있고, `공부`의 의미는 `즐거움`과 관련하여 획득될 수 있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 하에, `실천 이론`적 관점에서 퇴계의 `생활모습`을 통해 그의 `공부론`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론에서는 다음의 두 가지 주제를 다루어 보았다. 첫 번째, 퇴계의 생활모습을 살펴보되, 도산을 `장소화`하면서 갖게 된 그의 `장소감`의 확인을 통해 살펴보았다. 즉 도산서당이라는 집짓기와 글공부하고 산책하는 생활패턴을 통해 드러난 장소감-흥의 확인으로, 도산이 친밀한 장소로 변해가는 과정을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는 `도산잡영 병기`를 ...
TAG 공부, 즐거움, 퇴계 이황, 태극, 생명성, 自然, 스스로 그러함, 자연, gong-bu, happiness, Toigye, tae-geuk, vitality, what is so of itself
신자유주의와 탈학교 사회 그리고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
이은선 ( Un Sun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81~111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오늘날의 생태계 위기와 신자유주의 경제난국의 상황을 맞이하여 어떻게 하면 우리 교육의 변혁을 통해서 새로운 대안을 마련할 수 있을까를 탐색한다. 이 일에 있어서 이미 40여 년 전에 서구 자본주의 사회의 무한정한 성장을 향한 인간욕망의 위험성을 목도하고 "성장을 멈추라"고 하면서 "탈학교사회"를 제안한 이반 일리치의 사상을 중요하게 다룰 것이다. 그는 오늘날 우리 모두의 삶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농업, 의료, 수송, 교육, 페미니즘의 문제를 지구와 인간의 자연적 한계성에 맞추어서 다시 사고할 것을 촉구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리치의 사고에 근본적으로 동의하면서 그러나 거기서 더 나아가서 한국 `생물(生物)여성 영성`의 교육을 제안하는데, 그것은 특히 한국 유교 전통의 여성들이 가꾸어온 살림의 영성과 유교적 초월성을 귀한 것으로 여긴다...
TAG 신자유주의, 탈학교사회, 한국 생물여성 영성, 유교 종교성, 공적 감각, 중용, Neo-Liberalism, deschooling society, Korean feminist spiritualty, all the world-reviving spirituality, stop the growth, the doctrine of the Mean, the idea of the great Learning, ecological crisis, public dimens
한국사회의 다문화화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정영근 ( Young Kun Tsc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113~137페이지(총25페이지)
한국 사회가 다문화화 하는 데 결정적 요인이 된 것은 이주 근로자들과 결혼 이민자들이지만 그 외에도 우리 사회 안의 다문화성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감춰진 이웃이라 할 수 있는 화교와 혼혈인 그리고 더 나아가 북한탈출 입국자 또한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외국에서 유입된 문화적 소수자를 중심으로 사회의 다문화화를 고찰하고 이해하려는 시각은 한국 특유의 상황에 따른 접근방식이다. 한국 사회 다문화화의 직접적 계기가 외국인 이주 근로자의 유입 및 결혼 이민자의 증가에 따른 사회통합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문화주의 담론의 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변화 자체는 글로벌 경제교류 및 전 세계적으로 대량 소비되는 문화상품으로 인한 지역문화의 탈지역화와 지구적 차원의 문화동질화 현상을 야기하는 지구화(globalization)의 맥락에서 이해될 필요도 있다....
TAG 지구화, 다문화화, 다문화주의, 상호문화성, 다문화교육, 상호문화교육, Globalization, Multiculturalization, Multiculturalism, Interculturality,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cultural education
비판이론의 관점에서 본 다문화 교육의 한계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139~155페이지(총17페이지)
세계화와 그 결과로서 다문화 사회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교육학 방면에서 이를 연구 주제로 삼고 있는 것도 자연스럽다. 다문화성과 그에 대한 교육학적 접근에 있어서 논의는 대체로 긍정적인 의미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대부분의 교육학 연구들은 다문화교육이라는 `긍정적이고 따뜻한 은유`에 사로잡혀, 다문화성 내지 다문화교육의 이데올로기적 측면을 소홀히 하는 경향을 보인다. 연구는 이데올로기적 비판과 메타이론적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의 교육담론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한 반성의 출발은, 세계화와 다문화사회가 전(全) 지구적 차원에서 자본의 논리에 따라 전개되었을 뿐만 아니라 문화적·사회적 결과를 낳았다는 사실이다. 전자를 `구조적 계기`라고 한다면, 후자는 `문화적 계기`라고 할 수 있는데, 다문화교육의 담론은 대체로 후자에 머물러 있다. 논문에서는 그러한 ...
TAG 다문화성, 세계화, 모더니즘과 교육학, 이데올로기 비판, "보편적 보편주의", multi-culturality, globalization, modernism and pedagogy, ideological critic, "universal universalism"
세계화 시대에 교양인이 된다는 것의 의미
카토모리미치 ( Morimichi Kat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09] 제44권 157~171페이지(총15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세계화가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문제를 다룸에 있어서 과학적 접근 방식은 구체적인 현상에 대한 이해와 치유책을 찾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지만, 세계화의 성격과 본질을 충분히 제시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인식 하에, 본 논문에서는 세계화의 문제에 대해 현대 서구의 과학적 논의 맥락을 넘어서는 보다 넓은 관점에서, 역사적이고 간문화적으로 탐구하는 철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먼저 세계화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오늘날의 세계화는 과거와 달리 자연과의 결별에 의존하는 현대 테크놀로지의 성격과 본질적으로 연관됨을 논의하였다. 다음으로 열린 공간으로서 플라톤의 `동굴`과 닫힌 공간으로서 로크의 `암실`이라는 두 이미지를 비교함으로써, 현대의 지식정보 테크놀로지의 배경을 존재론에서 인식론으로의...
TAG globalization and education, a cultivated person, modern epistemology, information technology, the classical concept of cultivation, 세계화와 교육, 교양인, 인식론적 전환, 지식정보 테크놀로지, 고전적인 교양 개념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