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철학5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윌리엄 제임스의 진리관과 교육: 옛것과 새것의 연속성을 중심으로
김무길 ( Moo Gi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1~21페이지(총21페이지)
프래그머티즘의 대표적 사상가인 윌리엄 제임스는 진리 이론에 있어 퍼스와 유사하면서도 상이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즉, 제임스는 퍼스와 같이 과학적으로 검증된 것만을 명증한 진리로 취급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 삶의 맥락 속에서 `유용한` 믿음으로 인식된 것도 진리로 취급하는 것이다. 이것은 진리의 의미를 만족과 유용성의 측면에서 파악하는 제임스의 기능적 진리관을 보여준다. 이러한 진리관 밑바탕에는 `의식의 흐름` 테제와 `외변` 개념을 중심으로 한 그의 심리학 이론이 자리 잡고 있다. 곧, 옛것과 새것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의식의 흐름속에서 연속성을 맺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연속성 하에서 전체적으로 정합성을 갖추고 있는 것이 진리라는 것이다. 따라서 제임스에 있어 만족과 유용성의 개념을 문자 그대로 심리적 욕망의 충족이나 즉각적 생활에의 유용성으...
TAG 윌리엄 제임스, 퍼스, 프래그머티즘, 진리관, 정합성, 옛것과 새것, 외변, 의식의 흐름, William James, Peirce, Pragmatism, view of truth, coherence, the old and the new, fringe, stream of consciousness
교육대학원에서 "교육철학하기"
김현주 ( Hyun Joo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23~56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육철학강좌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교육철학하기`를 통하여 `교육을 철학한다`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이 그들의 실제와 어떻게 관련을 맺을 수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교육실천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시도로서 내러티브적 탐구 방식을 채택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교육실천가들은 교육의 실제에서 자신과 타인의 판단은 물론, 그 결과로서 그들 행동의 원인, 과정, 결과, 문제점 분석, 문제 해결책 수립, 해결책 시행, 결과 분석 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실천을 자세하게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철학적 성찰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교육실천가로서 수강자들은 교육에 관한 순수한 철학적 이해의 지평을 넘어, 교육적 실제의 개선과 관련된 `실행연구`의 철학적 방법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얻은 ...
TAG 교육실천, 교육철학하기, 교육적 관념 및 원리의 재구성, 교육철학과 실천의 내재적 관련, practitioners` narratives,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reconstruction of educational framework,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practice and philosophy of education
듀이철학에 있어서 수단과 목적의 연속성: 수단과 목적의 상호 구체화를 중심으로
박철홍 ( Chul Hong Park ) , 허경섭 ( Kyung Seob He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57~7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수단과 목적은 상호 구체화를 통한 연속성이 있다는 것을 논의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목적중심의 주지주의적 관점에서는 수단과 목적의 연속적 관계를 거부하거나 목적이 수단에 비해 우월한 것으로 본다. 그러나 듀이의 관점에서 보면 수단과 무관하게 그 자체로 가치로운 목적이 있다는 생각은 불합리하며, 목적의 정당성은 활동의 구체적인 여러 조건이나 과정과 같은 수단들에 의존한다. 목적은 수단에 의존하기 때문에 목적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달성되느냐는 수단이 얼마나 구체적으로 꾸려지느냐의 정도에 비례하게 된다. 수단과 목적의 연속성이라는 큰 틀에서 본다면, 목적이 수단과 동떨어지지 않는다는 논리는 수단 또한 오직 목적을 통해서만 구체화된다는 논리도 동시에 성립시킨다. 즉 수단이 얼마나 적절하게 선택되었는가는 목적이 얼마나 수단 속에 구체적으로 반영되는가에 달려...
TAG 수단, 목적, 수단과 목적의 연속성, means, end, means-end continuity, end-in-view, Dewey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에 대한 고찰
심승환 ( Seung Hwan Sh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79~108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공자의 교육사상에 나타난 `배움(學)`과 `사고(思)`의 관계를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배움`과 `사고`는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이 두 개념을 분명히 밝히고 양자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공자는 유학의 개창자이자 존경받는 교육자로서 한국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쳐 왔다. 따라서 공자의 교육사상을 통하여 배움과 사고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은 한국 교육현실에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이 연구는 배움의 목적, 내용, 방법을 통해 배움의 의미를 규명하고 이어 분별과 유추, 실천, 인격함양으로서의 사고의 특성을 고찰한 후 이를 종합하여 양자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배움과 사고의 관계는 첫째, 양자 모두 인격함양의 동일한 목적을 추구하며 이 목적을 위해 상호 협력·보완하며, 둘째, 양자는 덕행...
TAG 공자, 배움, 사고, 실천, 학사병진, Confucius, Learning, thinking, practice, Hak-Sa-Byung-Gin
자유교육 기원에 관한 논쟁 검토: 뮤어(J. Muir)의 논의를 중심으로
유재봉 ( Jae Bong Yoo ) , 정철민 ( Chul Min J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109~126페이지(총18페이지)
자유교육은 (학교)교육의 전형으로 간주될 만큼 오랫동안 교육에 중대한 영향을 미쳐왔다. 현대적 자유교육개념은 허스트가 정치한 교육이론으로 정립한 것이며, 영미 분석적 교육철학자들에 의해 그 가치가 정당화 되어왔다. 허스트가 자유교육의 기원을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찾은 이후, 자유교육의 기원이 아리스토텔레스라는 사실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이에 대해 뮤어는 그러한 통설을 포함한 자유교육의 논의들이 공통적으로 역사적 무지에서 비롯되었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누락시켰으며, 철학적 전통과 교육학적 전통을 혼동한 데서 비롯된 것이라고 반박하였다. 그에 의하면, 자유교육의 기원은 아리스토텔레스라기보다는 이소크라테스이다. 자유교육의 기원에 대한 논쟁은 교육철학과 교육의 역사적 사실, 그리고 철학적 전통과 교육학적 전통의 관계에 대한검토를 필요로 한다. 자유교육 ...
TAG 자유교육의 기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자유교육, 원리로서의 자유교육, 아리스토텔레스, 이소크라테스, 허스트, Liberal education as a principle, Liberal education as a programme, Aristotle, Isocrates, Hirst
현상학적 교육학
이남인 ( Nam In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127~158페이지(총32페이지)
지난 100여 년 동안 현상학적 운동이 전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그 과정에서 교육학 분야에서도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적 교육학이 등장하였다. 현상학적 교육학이란 다양한 현상학적 통찰을 받아들이면서 전개된 교육학을 뜻한다. 이 글의 목표는 그동안 전개된 현상학적 교육학의 역사를 돌이켜보고 그의 미래를 전망해 보는데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필자는 현상학적 교육학이 지금까지 연구되어 온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하며 풍부한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자 한다.
TAG 현상학, 교육학, 현상학적 교육학, 현상학적 환원, 경험적 현상학적 교육학, 존재론적 현상학적 교육학, 초월론적 현상학적 교육학, Husserl, phenomenology, pedagogy, phenomenological pedagogy, phenomenological reduction, empirical phenomenological pedagogy, ontological phenomenological pedagogy, transcendental ph
평화교육이 지향하는 가치 내용의 탐색: Comenius를 중심으로
정훈 ( Hoon J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159~184페이지(총26페이지)
교육은 가치지향적 활동이며, 따라서 우리가 어떤 가치를 지향해야 하는지는 중요한 화두다. 이에 본 연구는 오늘날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가치로 평화를 언급하면서 Comenius의 평화사상 속에 내재된 가치들을 토대로 그 실체가 무엇인지를 다섯 가지 차원에서 시론적으로 제시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는 첫째 오늘날의 갈등 상황을 넘어 서로 화해와 우애의 정신으로 살아가는 태도를 기르기 위해 관용을, 둘째 여전히 정당한 전쟁의 이름으로 폭력이 자행되는 현실에서 비폭력절대평화주의적 가치를, 셋째 사회부정의와 불평등이 내부적인 갈등과 비평화를 유발하는 주요 근원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정의와 평등의 가치를, 넷째 민족주의나 국가주의적 태도가 가져올 수 있는 비평화 상태에서 벗어나 세계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서 세계시민주의의 가치를,...
TAG 평화, 평화교육, 관용, 비폭력절대평화주의, 정의와 평등, 세계시민주의, 생태주의, peace education, tolerance, pacificism, justice and equality, cosmopolitanism, ecology, Comenius
현상학의 "비(非)정립적 의식" 개념을 통해 본 학습의 새로운 차원
조상식 ( Sang Sik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185~202페이지(총18페이지)
지금까지 독일과 영미권을 포함한 한국에서의 현상학적 교육학의 주된 연구 패러다임은, 현상학의 `실재론적 접근`의 주요 개념들인 생활세계, 신체(몸), 환경, 행위 등과 같은 범주를 통해 교육사태를 `맥락주의적으로` 해석하거나 아동의 지각 및 행동을 `현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물론 이러한 접근방식은 응용현상학으로서 현상학적 교육학이 학문내적 한계로 인해 선험적 주관성이나 현상학적 환원의 본래적 차원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전반적인 인식에서 기인한다. 그럼에도 후설의 선험 철학적 현상학에 기대어 아동 의식의 구성과정에 접근하려는 시도도 간혹 있었다. 이 논문은 바로 그러한 발생론적·초월적 현상학적 접근에서 인간의 학습 현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논문은 의식의 선(先)반성적, 선(先)술어적인 작동의 차원인 비(非)정립적 의식을 독특하게 해명해준...
TAG 현상학, 현상학적 교육학, 비정립적 의식, 정립적 의식, 학습, phenomenology, phenomenological pedagogy, positional/non-positional consciousness, Learning
현대사회에서 교육자의 자기이해: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 논쟁을 중심으로
하일선 ( Il Seon Ha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203~223페이지(총21페이지)
우리나라의 교육계를 위기 상황으로 인식하게 하는 `학교의 붕괴`니, `교사 권위의 추락`이니 하는 용어들이 내포한 진정한 위기 국면은 `교육의 위대성 속에 사라지는 교육`이라는 아이러니 속에 담겨져 있다. 즉 공교육을 넘어서서 사교육, 조기유학 등으로 확산되는 교육의 위대성의 `이미지`는 학교와 교사의 권위뿐 아니라 교육(진정한 교육)을 사라지게 하고 심지어 그 사실을 은폐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교사(진정한 교사)의 사라짐을 내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교육의 사라짐과 그 사실의 은폐라는 이러한 위기의 상황에서 궁극적으로 교육자의 진정한 자기이해를 위한 본 연구는 현대성을 사라짐의 논리로 규명하는 프랑스의 사회학자 J. 보드리야르의 이론 체계를 우리나라의 교육현실을 분석하는 틀로 삼았다. 이것은 한편으로는 교육과 교사·교육자를 사라지게 하는 교육의 위대성의...
TAG 아이러니, 아이러니스트, 교사상, 주체, 자유, 사랑, 소크라테스, 헤겔, 키에르케고르, 보드리야르, Ironie, Subjekt, Subjektivitaet, Freiheit, Liebe, Sokrates, Hegel, Kierkegaard, Baudrillard
실천전통 교육관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교육의 목적에 관한 연구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7권 225~247페이지(총23페이지)
교육에서 교육의 목적은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로서, 교육철학의 영역에서 추상적으로 논의되기도 하고, 교육과정의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교육목표 설정 및 진술과 관련하여 논의되기도 한다. 교육의 목적 개념에 대한 많은 논의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육현장에서 수업목표를 제시하거나 예비교사의 학습지도안 작성을 지도할 때는 많은 비판을 받는 행동주의 목표 진술 방식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목적에 관한 다양한 철학적, 이론적 논의들을 어떻게 교육현장에서의 수업목표 제시 및 진술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에 새롭게 제시된 실천전통 교육관이 교육과정 설계 과정에서 교육목적의 이해 및 수업목표진술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현재 교육목적 개념과 수업목표 진술의 문제점, 특히 행동주의 목표 모형의 문제점을...
TAG 실천전통 교육관, 교육과정 설계, 행동주의 목표 모형, 교육의 목적, 수업목표 진술, practices-based education, curriculum design, behavioral-objectives model, aims of education, statement of instructional objectiv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