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철학56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실천전통 교육관을 위한 내러티브적 인식론의 활용방안 연구
홍은숙 ( Eun Sook H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9권 179~197페이지(총19페이지)
주지주의 교육에 대한 비판으로서, 1990년대 이후 `실천전통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을 주장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즉, `실천전통 교육관`) 제시되고 있다. 그렇다면 교육에서 실천전통에 초점을 맞추어 가르친다는 것은 어떻게 한다는 뜻인가? 본 연구는 실천전통 교육관을 교육 실제에 적용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서 최근 교육 과정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내러티브적 인식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제2장에서는 `듣는 교육`으로서의 실천전통 교육관에 나타난 내러티브석 특성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MacIntyre의 덕의 3단계 개념, 즉 `실천전통`, `인간의 삶의 서사적 총체성`, 그리고 사회의 `전통`에 기초한 실천전통 교육관을 살펴보고, 여기에 나타난 내러티브석 특성을 설명한다. 제3장에서는 최근에 교육...
TAG 실천전통, 교육관, 맥킨타이어, 패러다임적 인식론, 내러티브적 인식론, practices-based education, MacIntyre, paradigm ways of knowing, narrative ways of knowing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김무길 ( Moo Gil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1~22페이지(총22페이지)
프래그머티즘의 창시자인 퍼스에 의하면, `관념 명료화의 준칙`은 과학적 관념의 검증뿐만 아니라, 모든 지식의 검증에도 적용 가능한 일반적 탐구논리이다. 그러나 퍼스의 의도와 달리, 그의 준칙이 종래의 감각경험론이나 과학적 검증에만 국한되는 논리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왜냐하면, 행위적 검증이나 관찰이 필요하지 않은 다수의 관념적 지식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퍼스의 준칙의 지위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이러한 모호성을 배제하고 퍼스의 진의를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퍼스의 준칙 이면에 담겨있는 실재론적 관점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퍼스의 준칙 밑바탕에는 인식의 존재론적 근거를 중시하면서도 이상적인 실재를 지향하는 스콜라 철학의 실재론적 관점이 담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록 스콜라 철학과 퍼스의 관점이 ...
TAG 퍼스, 프래그머티즘, 관념 명료화의 준칙, 실재관, 오류가능주의, 스콜라 철학, 탐구학습, C. S. Peirce, pragmatism, rule of making ideas clear, view of reality, fallibilism, scholastic philosophy, inquiry Learning
소크라테스의 논박술(elenchos)과 플라톤의 방법론
김석완 ( Suk Wan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23~47페이지(총25페이지)
지금까지 소크라테스의 방법론에 대한 연구는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기록이라는 검증되지 않은 가설에 근거해서 이루어져 왔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에서 『메논』까지를 초기대화편으로 설정하고 이 대화편들을 관통하는 일정한 패턴을 탐구함으로써 사람들에 대한 캐물음과 검사를 통해 혼을 염려하고 사람들을 도덕적 삶으로 이끄는 소크라테스 방법론의 실체를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초기대화편이 허구적 성격을 띤 문학적 창작의 산물이며 따라서 역사적 소크라테스를 회상하고 그의 실제 모습을 객관적 기록으로 남기기보다 플라톤 자신의 철학을 전개하기 위한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주장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주장에 따르면 역사적 소크라테스에 대한 비교적 사실적인 기록은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유일하며 나머지 작품들에서는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그 상...
TAG 논박술, 엘렌코스, 역사적 소크라테스, 등장인물 소크라테스, 실존적 방법, 전문가적 방법, 도덕적 테크네, elenchos, historical Socrates, character Socrates, existential method, method of craftsman, moral techne
들뢰즈의 유목주의와 그 교육적 함의
목영해 ( Young Hai Mo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49~67페이지(총19페이지)
들뢰즈는 긍정적인 욕망관에 기반을 둔 유목주의를 주장한다. 들뢰즈에 의하면 욕망은 접속된 항목들의 배치 속에서 생성되는데, 인간은 살아감에 있어서 기존의 배치를 해체하고 새로운 배치를 형성하는 일을 끊임없이 반복한다. 살아가는 일이란 끊임없이 새로운 욕망을 생성하는 과정인 것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욕망을 생성하는 배치가 안정되고 고착된 상태가 영토화이며, 국가는 영토화가 가장 강건하게 이루어진 사회체제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유동적이고 창의적인 욕망에 바탕을 둔 바람직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 탈영토화를 시도하는 유목민이 되어야 한다. 들뢰즈 유목주의에 의하면 교육을 통하여 길러내야 할 인간상으로는 `유목민`이 적절하고, 교육과정은 리좀 체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교육방법은 `~되기`가 적절하다.
TAG 들뢰즈, 유목주의, 욕망, 배치, 국가, 리좀, Deleuze, nomadism, desires, assemblages, rhizome, good Life
12세기 르네상스 연구: 살스베리의 존의 『메타로기콘』을 중심으로
박영희 ( Young Hee Park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69~90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중세에 속하는 12세기에도 르네상스가 있었음을 주장하기 위하여 12세기 르네상스의 특징과, 12세기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살스베리의 존(John of Salisbury)과 그의 저서 『메타로기콘』(Metalogicon)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는 12세기 르네상스는 대성당학교를 중심으로 일어났으며, 12세기에 도입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저작과 깊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였다. 살스베리의 존의 생애에 관해서는 주로 그를 가르친 스승들과, 샤르트르를 대표하는 베르나르의 문법교육을 소개하였다. 『메타로기콘』에 관해서는 의미와 저술동기, 구성, 내용을 기술한 다음, 3학(trivium)의 유용성을 의심하는 코르니피키우스의 정체와 주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존의『메타로기콘』에 나타난 교육이론을 교육목적, 교육과정, 방법, 그리고...
TAG 12세기 르네상스, 살스베리의 존, 메타로기콘, 대성당 학교, 3학, twelfth century renaissance, John of Salisbury, Metalogicon, cathedral schools, trivium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 Jin A Bh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91~112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는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이상이나 목적이 인간의 자유에 있다는 생각은 교육의 역사만큼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교육론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정당화하는 논의로 간주될 뿐, 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자유의 의미에 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오우크쇼트 후기 저술의 `대화` 개념은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교육내용의 선험적 가치에 의존하여 얻어지는 추상적 결과가 아닌, 교육활동이라는 `실제`에 구현되어 있는 조건적 특성으로 해석할 단서를 제공해 준다. 전통적 자유교육론자들이 인간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실재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자기이해`라는 지식의 본질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한다. 그가 말하는 `자기이해`로서의 지식이란, ...
TAG 오우크쇼트, 자유교육, 자유, 대화, , , 관조, 놀이, Oakeshott, Liberal education, freedom, conversation, poetry, contemplation, play
탈이념 시대에 있어 교육이념 정립의 문제와 교육철학의 과제
유현옥 ( Hyeon Ok Y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113~136페이지(총24페이지)
20세기 후반 이후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는 탈이념 시대는 가치의 임의성과 상대성을 강조하는 윤리적 상대주의와 주관주의 그리고 탈가치화와 함께 도덕적 무관심의 경향을 심화시키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교육이론과 실천에 있어서도 가치중립성의 표방 하에 가치와 이념의 문제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위축되고 있다. 이 글은 탈이념 시대에 있어 나타나고 있는 탈가치화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교육에 있어 이념과 가치의 문제는 가치중립적 관점에서 결코 무시되거나 배제될 수 없는 근원적인 문제이며, 가치중립성의 표방 하에 이루어지는 교육의 탈이념화와 탈가치화는 결국 교육을 교육외적 이념과 가치의 작용 하에 내맡기는 결과를 낳게 된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리고 탈이념 시대에 있어 교육이념의 정립을 기하기 위해서는 가치기업으로서의 교육의 본질에 대한 인식을 새...
TAG 탈이념화, 탈가치화, 가치의 일차성, 교육이념, 가치기업으로서의 교육, 교육철학의 과제, educational ideals, education as value enterprise, the primacy of value, the task of philosophy of education, etc
"졸부"와 "불신"의 사회에서의 종교와 정치 그리고 교육
이은선 ( Un Sunn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137~161페이지(총25페이지)
본 논문이 목적하는 것은 우리의 교육이 어떻게 종교와 정치, 경제, 사회문화의 넓은 관계망 속에서 그 모습을 잡아가는지를 보여주려는 것이다. 특히 종교와의 관계가 핵심관건이다. 오늘날 한국 사회는 동서양의 거의 모든 종교전통들이 여전히 활발하게 실천되고 있지만 삶의 실상을 보면 불신과 물신주의, 경제적 부와 명예를 향한 끝없는 경쟁주의 등으로 그 모습이 매우 피폐해져 있다. 이러한 비인간적 상황의 근본원인을 본 논문은 종교의 타락에서 보고 거기서부터 연원된 정치와 경제, 교육과 문화에서의 전체주의적이고 공리주의적인 경향이 어떻게 치유될 수 있을지를 탐구하였다. 이 일에 있어서 지금부터 500여 년 전에 서구에서 중세를 마감하고 근대의 문을 여는 과정에서 새로운 `보편종교`(religio catholica)에 대한 의식을 가지고 당시 종교와 정치의 새로운 ...
TAG 졸부와 불신, 종교, 정치, 교육, 스피노자, 칼 폴라니, 한나 아렌트, 보편종교, 씨알, 사람 사는 세상, 교육속물주의, 전체주의, religion, politics, economy, education, totalitarianism, educational philistinism, Spinoza, Karl Polany, Hannah Arendt, Rhu Young-mo, Noh Mu-hyun
한국 발도르프학교 교육의 의미와 실천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정윤경 ( Yun Kyoung Chu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163~197페이지(총35페이지)
특정한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문화는 분명히 일반적인 학교문화와는 다른 것이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에서 처음 시작된 발도르프학교에서 교육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 발도르프학교(노랑학교, 가명)를 대상으로 해서 학교 현장 사람들의 언어와 행동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나 신념, 의미 체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구성원이 공유하는 의미 중 `교육`의 의미에 초점을 두는데, 교육의 의미를 보기 위해 수업을 관찰 기술한 후, 수업의 특징과 교육의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노랑학교 수업은 수업 구성상 하루 단위로 수업목표를 제시하지 않으며, 국가 수준에서 정해진 교육과정의 체계가 따로 없고, 교사들의 협력에 의해 연간교육과정계획이 수립된다. ...
TAG 학교문화, 발도르프학교, 한국 발도르프학교, 발도르프 수업, 발도르프학교에서의 "교육"의 의미, school culture, waldorf school, Korean waldorf school, waldorf instruction, meaning of "education" in Waldorf school
『대승기신론』에 나타난 발심과 수행의 교육적 의미
천병영 ( Byung Young Cheon ) , 송도선 ( Do Seon Song ) , 이경자 ( Kyung Ja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교육철학 [2010] 제48권 199~217페이지(총19페이지)
배움에 뜻을 둔 사람은 그 출발점이 중요하다. 학습자는 자기의 마음가짐의 여하에 따라 배움의 내용과 깊이가 다르며 그 결과 또한 다르다. 불교에서는 깨달음을 향한 발심을 강조한다. 학습자는 현실의 고통을 인식하고 발심이라는 깨달음의 마음을 내며 이를 통해 수행이라는 방법을 가지고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신론』에 나타난 발심과 수행을 살펴보고 그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신론』에 나타난 발심은 깨달음의 마음을 내는 것과 동시에 그것은 깨달음의 지속성을 담보할 수 있는 단계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발심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자기결정성으로서의 내재적 동기를 의미하는 것이며 현대교육에 있어서 동기지속성 개념에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수행은 발심을 통해 깨달음을 성취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실천 노력이며 모든 이들과 조...
TAG 『기신론』, 『대승기신론』, 발심, 수행, 내재적 동기, 동기지속성, 실천적 방법론,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乘起信論』, inspiring mind, 發心, practice, 修行, intrinsic motivation, 內在的動機, durability of motivation, 動機持續性, practical methodology, 實踐的方法論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