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62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폴 틸리히의 신앙론에 대한 존재론적, 종말론적 고찰
신용식 ( Shin Yong-shi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9권 91~133페이지(총43페이지)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폴 틸리히의 신앙론을 통하여 오늘날 우리가 깊이 고려해야만 하는 신앙의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우리에게 너무도 익숙한 개념인 “신앙”은 그 어떤 종교적 개념보다 새롭게 이해되어야만 한다. 신앙은 단순히 개인적 차원의 확신이나 종교적 경험으로 환원될 수 없는 사건이다. 틸리히에게 신앙은 전적으로 하나님에 의해 사로잡힌 사건으로서의 상태를 의미한다. 그는 신앙을 “우리에게 무조건적으로 관계되신 존재에 의해 사로잡힘”으로 묘사한다. 이러한 그의 신앙이해 속에서 드러나는 두 가지 차원은 존재론적인 것과 종말론적인 차원이다. 우선 신앙의 존재론적 차원은 “신앙적 실재론”과 “존재를 향한 용기”라는 개념을 통해 드러난다. 그리고 신앙의 종말론적인 차원은 “하나님 위의 하나님”과 “새로운 존재”라는 개념을 통해서 드러난다. 틸리히는 이러한 개념...
TAG 신앙, 신앙적 실재론, 존재를 향한 용기, 하나님 위의 하나님, 새로운 존재, Glaube, Glaubiger Realismus, Mut zum Sein, Gott uber Gott, das Neue Sein
칼 바르트의 신학과 사회주의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로마서 주석 2판까지의 시기를 중심으로
이용주 ( Lee Yong Joo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9권 209~248페이지(총40페이지)
바르트의 신학과 사회주의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탐구는 바르트 연구의 주요 경향 중 제거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관련된 기존의 논의는 대체로 두 가지 방향에서 진행되어 왔다. 하나는, 로마서 주석에 나타나는 바르트의 고유한 신학이 급진적 사회주의의 영향 아래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바르트는 로마서 주석에 이르러서는 사회주의에 대한 정치적 관심을 포기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 같은 입장들은 모두가 바르트의 사상적 발전을 대체로 자유주의 신학으로부터의 ‘과격한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하는 바르트 연구의 매우 고전적인 관점을 기반으로 한다. 하지만 이 같은 기존의 연구경향들은 자펜빌 시절을 회고하면서 “나는 아주 자유주의적이었기에… 사회민주주의자가 될 수 있었다”고 한 바르트의 진술과 조화되지 못한다. 이에 반하여 본고는 로마서 주석에...
TAG 칼 바르트, 변증법적 신학, 사회민주주의, 자유주의 신학, 유비, Karl Barth, Dialectical Theology, Social Democracy, Liberal Theology, Analogy
존 웨슬리의 사변형 원리와 맥클렌돈의 침례교 비전의 대화 ― 북미 감리교와 침례교의 신학 방법론과 강조점을 중심으로
오성욱 ( Oh Sung Woo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9권 135~167페이지(총33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태동과 형성과 성장 과정에 영향을 끼쳤던 북미기독교의 신학적 문법을 북미 최대 개신교 교단인 침례교와 감리교를 중심으로 개관하여, 현재 한국교회가 북미 기독교의 이름으로 받아들이는 신앙과 신학의 근본 기류가 북미 개신교 교단을 대표하는 침례교와 감리교의 신학 사유와 얼마나 큰 차이를 보이고 있는 지를 반추하고 성찰해 보고자 함이다. 현재 한국 교회가 이해하고 있는 미국의 신학과 신앙 유형은 지엽말단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의 주류 교단의 행정 체계와 교회교육이 실행되고 있는 현장에 대해 무지하고, 북미의 주요 신학대학에서 전개되고 있는 신학에 대해서 박사급의 신분과 특권을 부여받고 배울 수 있는 기회 또한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북미 개신교는 다양한 교파를 자랑하고 있어서, 단일한 하나의 북미신학은 존재하지 않는...
TAG 존 웨슬리, 제임스 맥클렌돈, 웨슬리안 사변형원리, 침례교 비전, 북미 기독교, John Wesley, James McClendon, Wesleyan Quadrilateral, Baptist Vision, North American Christianity
욥기 해석을 통한 무고한 자의 고난에 관한 존 칼빈과 구스타보 구티에레즈의 견해에 관한 연구
황민효 ( Hwang Minhyo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9권 249~289페이지(총41페이지)
“만일 하나님이 사랑과 정의의 하나님이시라면 왜 죄 없는 자들이 고난을 받아야만 하는가?” 무고한 자들이 고난 받는 세상의 불의한 현실 그리고 사랑이시며, 정의로우신 하나님에 대한 신앙과의 관계문제, 소위 신정론의 문제는 오랜 세월동안 기독교 신학이 고민해온 매우 중요한 물음 중 하나였다. 각 세대들은 여러 가지 방식으로 응답하였지만, 해결의 불충분성은 다음 세대에게 계속하여 또 다시 이 문제를 탐구하게 하였다. 물론 신정론에 있어서 모든 이들이 만족할 만한 대답을 찾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은 대부분의 현대 신학자들이 동의하는 내용일 것이다. 그러나 책임 있는 신학자라면 누구라도 이 물음을 피할 수는 없으며, 보다 이해 가능한 대답을 주기 위해 노력해야만 한다는 사실 역시 부인할 수 없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 논문은 ‘무고한 자의 고난’이라는 신...
TAG John Calvin, Gustavo Gutierrez, Suffering, Theodicy, the Book of Job, 존 칼빈, 구스타보 구티에레즈, 고난, 신정론, 욥기
존 칼빈의 공교회적 삼위일체론 이해와 신학적 공헌
김은수 ( Kim Eunsoo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9권 45~89페이지(총45페이지)
‘삼위일체 교리’(the Doctrine of the Trinity)는 기독교의 성경적인 신이해의 정수를 요약하는 것임과 동시에 하나의 전체로서 기독교 신학의 총괄이자 신앙고백의 핵심 기초이다. 특히 고대 동/서방교회의 주요 교부 신학자들에 의한 위대한 신학적 기여들을 통하여 ‘공교회(보편교회)의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발전 그리고 확립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종교개혁기에 있어 삼위일체론 교리와 관련하여 가장 독창적인 신학적 기여를 한 신학자는 존 칼빈(John Calvin, 1517-1564)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칼빈이 그의 『기독교 강요』(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에서 전개한 삼위일체론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서, 그의 중요한 신학적 특징들과 독창...
TAG 삼위일체, 삼위일체론, 고전적 정통 삼위일체 교리, 존 칼빈, 기독교 강요, 한국교회, the Trinity,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e classical Orthodox doctrine of the Trinity, John Calvin, the Institutes of Christian Religion, the Church of Korea
한국교회의 역사 경험에 대한 종교개혁적 성찰
천병석 ( Cheon Byungsu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8권 205~236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한국개신교의 신앙과 신학을 루터신학의 빛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한국개신교는 안팎으로 변화를 요청받고 있다. 하지만 어디서 시작해야할 지 당혹해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루터의 종교개혁적 발견은 한국교회를 위한 변화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그의 신학적 발견은 중세교회뿐만 아니라 유럽사회를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의 논점은 변화되는 그 대상에 있지 않다. 개인이거나 교회거나 혹은 사회가 문제가 아니라, 변화를 가져오는 원천이 무엇인가가 중요하다. 다만 루터가 당시의 교회를 바벨론 포로로 보았듯이, 복음이 적용되어야 할 대상으로서, 한국 교회와 사회의 현실에 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그것은 한국교회가 미국과 미국 교회에 우호적인 것 이상으로 종속되어 칭의론적 신앙의 원리가 작동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
TAG 역사 경험, 신앙 경험, 한국교회, 칭의론, 종교개혁신학, Historical Experience, Faith-Experience, Korean Church, Doctrine of Justification, Reformational theology
‘그리스’와 ‘라틴’ 사이의 아우구스티누스의 De Trinitate
김옥주 ( Kim Okjoo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8권 7~42페이지(총36페이지)
20세기가 들어서면서, 주로 라틴 교회에 속한 많은 학자들은 그리스 삼위일체론은 신적인 위격들로 시작하는 반면 라틴 삼위일체론은 신적인 본질로 시작하고 그래서 위격들을 구별하는데 실패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의 이분법적 사고는 테오도르 드 레뇽(Theodore de Regnon)의 글을 비판적 사고 없이 받아들이고 그것에 영향을 받았다. 그들의 비판은 아우구스티누스를 표적으로 삼는다. 본 논문의 목적은 그들의 비판에 반하여 아우구스티누스의 삼위일체 교리를 탐구하고 변론함으로써 그의 신학에 가해진 오해와 편견을 제거하고 보다 나은 이해를 가져오는데 있다.
TAG 아우구스티누스, 삼위일체, 드 레뇽 패러다임, 본질, 외향적 사역의 불가분성, Augustinus, Trinity, De Regnon`s Paradigm, Essence, Operations ad extra
아나포라(anaphora)의 관점에서 본 칼빈의 성찬론
정홍열 ( Chung Hong-yul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8권 163~203페이지(총41페이지)
이 논문은 칼빈의 성찬 신학을 아나포라(성찬 기도문)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일견 아나포라는 성찬 예식을 거행하는 동안 올리는 일련의 기도문의 형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독교의 교회들마다 아나포라에 대한 각각의 차이점들이 세세한 부분에서 존재하지만 대략적으로 대부분의 교회들이 아나포라를 성찬 예식의 중요한 요소로 간직해 오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아나포라에 대한 가장 중요한 의미는 그 자체가 단지 성찬 예식의 예전적 요소만이 아니라 초대교회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성찬 신학의 축적된 총합이라고 하겠다. 그 결과로 기독교를 대표하는 여러 주요 신학자들이 자신들의 성찬신학을 아나포라의 빛에서 강화해 온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자신들의 성찬 신학의 강조점들을 아나포라로부터 선별적으로 수용할 뿐만 아니라 다른 한 편으로는 자신들의 신학적 입장을 그 안에 반영하기...
TAG 칼빈의 성찬론, 아나포라, 수르숨 코르다(마음을 드높이), 성령 임재 기도, 아남네시스(기억의 기도), Anamnesis, Anaphora, Epiclesis, Eucharist, Sursum corda
진화 역사 안에서 보이는 생명체들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향한 진화적 경향성과 그것의 신학적 함의
정대경 ( Jung Daekyung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8권 269~303페이지(총35페이지)
계시적 경험을 바탕으로 이해된 세계 안에서 실존하는 신앙적 주체는 자연과학을 통해 드러나는 자연적 실재에 대한 새로운 경험들과 관찰 사실들을 해석한다. 자연적 현상들은 더 이상 그 자체만을 드러내는 것이 아니라, 초월자의 현존과 행위를 드러내는 상징들로 나타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모든 존재하는 자연적인 것들은 그것 자체로 “존재 그 자체”(being-itself)에 참여하고 있는바, 존재 그 자체이신 하나님을 보여준다. 만약 그렇다면, 진화 역사를 통해서 드러나는 생명의 복잡성과 다양성을 향한 경향성은 신적인 존재의 창조 행위와 그 목적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본 논문은 칼 라너의 하나님의 자기 소통으로써의 창조 개념과 볼프하르트 판넨베르그의 창조의 원리로써 아들의 자기 구별 개념을 통해 진화 역사를 통해 드러나는 생명의 복잡성과 다양성으로의 경향...
TAG Evolution, Theology and Science, Life, Propensity, Creation, 진화, 신학과 과학, 생명, 경향성, 창조
몰트만의 메시아적 창조론
박성권 ( Park Sung-kwon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17] 제48권 81~121페이지(총41페이지)
위르겐 몰트만(1926-현재)은 자신의 창조론을 메시아적으로 전개하는데, 성서에서 새 창조(New Creation)는 종말에 일어날 것으로 약속된 메시아적 사건으로서, 태초창조를 전제로 가지며 완성을 창조의 목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사적 구원 사건은 종말론적 새 창조 이미지를 구체화하는데 먼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은 보편적인 세계 구원으로서의 새 창조를 약속하고 보증하며 다음으로, 거듭남도 새 창조 사건으로서 “시작하는 새 생명(Incipit vita nova)”을 나타내고 마지막으로, 칭의도 하나님의 의가 믿음 가운데 죄인을 새롭게 한다는 점에서 새 창조 성격을 분명히 한다. 몰트만에 의하면, 창조 세계의 목적이자 완성은 하나님이 세계 안에 충만하게 거주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하나님의 자기제한으로부터의 해방이 선행...
TAG 메시아적, 새 창조, 완성, 구원, 부활, 칭의, 거듭남, 안식, messianic, new creation, completion, redemption, resurrection, justification, regeneration, res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