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우리어문학회104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학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학 : 초등학교 학생들의 일기 텍스트에 나타나는 정보 보충 방식 연구 -[{의문사}+V-냐면] 구문을 중심으로-
안정아 ( Jeong A An ) , 남경완 ( Kyoung Woan Nam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363~398페이지(총36페이지)
본고에서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일기 자료를 대상으로 텍스트 구조 형성에 기여하는 [{의문사}+V-냐면] 구문의 용법과 기능을 분석하고,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어떠한 변화 양상을 보이는지를 고찰하였다. [{의문사}+V-냐면] 구문은 초등학생들이 선행 명제 내용에서 결여된 정보들을 보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문장 구성력과 텍스트 구성 능력이 미숙한 이유와 함께 보충하고자 하는 내용을 강조하기 위한 의도적 장치로도 사용된다. 우선, [{의문사}+V-냐면] 구문의 구조와 정보 보충의 유형을 살펴보면, 의문사의 유형은 육하원칙에 해당하는 의미 범주가 고르게 나타났으며, 반복되는 서술부의 반복 양상은 단순 반복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지만 다양하게 변형되는 예들도 함께 나타났다. 또한 정보 보충의 유형은 환언, 명세화, 예시...
TAG 초등학생, 일기 텍스트, 텍스트성, 정보 보충, [{의문사}+V-냐면] 구문, 재수용, 부연, 학년별 발달,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ary text, textuality, information supplement, [{interrogative}+V-nyamyeon] clause, reacceptance, amplification, Development by grade
국어학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학 :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의 격조사 실현 양상에 대한 연구
유혜원 ( Hye Won Yoo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399~429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의 조사 사용 양상을 분석하여 20세기 전기 구어의 문법적 특징을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20세기 전기는 1900년~1945년에 해당하는 시기로, 현대국어의 출발점이자 현대국어 초기에 해당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음성 녹음 자료와 영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전사하여, 각 자료에 나타난 격조사의 실현 비실현의 계량적 현황을 파악하고, 각 표현의 특징을 현대국어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특히 20세기 전기 구어 자료는 여러 사용역의 자료로 구성되어 있어서 이들 자료를 일방향 격식적 독백 자료와, 유성기 무성 영화, 유성기 연극, 일반 영화 자료로 사용역을 나누어 계량적 현황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조사 실현의 계량적 현황과 비실현의 계량적 현황에서 격식적 독백 발화와 비격식적 대화의 성격이 두드...
TAG 20세기 전기 구어, 계량적 분석, 질적 분석, 격조사, 격조사 비실현, 구어 자료, 구어적 특성, 유성기 음반, the former part of 20th century`s spoken language, quantitatively analysis, qualitatively analysis, case marker, case marker omission, spoken language data, the properties of spoken language,
국어학 국어교육 한국어 교육학 : 한국어 읽기 이해에 문화 스키마가 미치는 영향 연구
장미경 ( Mi Kyung Chang ) , 이승연 ( Seung Yeon Lee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431~463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문화 스키마가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문화 스키마, 혹은 문화적 친숙도가 두 집단의 종합적 이해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문화적으로 친숙한 텍스트를 읽을 때 추론적 이해에 있어 더 높은 성취를 보였다’고 주장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이 추론적 이해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이기도 하여 기존의 주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필 텍스트를 이용하여 ‘토착화(nativization)’라는 텍스트 변형을 시도하였으나, 변형 대상으로 선정된 부분들이 대부분 한국 문화에만 특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타문화 요소로 대체하기 어려워 토착화 작업이 수월하지 않았으며, 텍스트의 토착화...
TAG 한국어 읽기 교육, 문화 스키마, 문화적 친숙성, 텍스트 변형, 토착화,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Korean reading education, cultural schemata, cultural familiarity, text modification, nativization method, literal comprehension, inferential comprehension
현대문학 : 북조선의 정전, 윤세중의 「구대원과 신대원」론
남원진 ( Won Jin Nam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7~48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는 문화 스키마가 학습자들의 읽기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학습자의 문화 스키마, 혹은 문화적 친숙도가 두 집단의 종합적 이해도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이 문화적으로 친숙한 텍스트를 읽을 때 추론적 이해에 있어 더 높은 성취를 보였다’고 주장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집단의 학생들이 추론적 이해에서 더 높은 수행을 보이기도 하여 기존의 주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필 텍스트를 이용하여 ‘토착화(nativization)’라는 텍스트 변형을 시도하였으나, 변형 대상으로 선정된 부분들이 대부분 한국 문화에만 특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타문화 요소로 대체하기 어려워 토착화 작업이 수월하지 않았으며, 텍스트의 토착화...
현대문학 : 일제강점기 창가 교과서 『보통학교보충창가집』 연구
박민영 ( Min Young Park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49~86페이지(총38페이지)
이 논문에서 필자는 일제가 문화통치 시기에 내건 ‘일선융화’ 혹은 ‘일시동인’의 구호가 『보통학교보충창가집』에 어떠한 방식으로 존재하며, 이 창가집이 실제로 지향하는 바를 가늠해 보고자 했다. 2장에서는 『보통학교보충창가집』의 출간 배경을 개관했다. 일제는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을 발표했다. 일본과 조선의 조화로운 화합을 지향한다는 ‘일선융 화’의 구호 아래 조선의 학제는 일본과 동일하게 개편된다. 이 시기 창가는 독립된 교과목으로 인정된다. 창가 과목의 주교재는 일본 문부성에서 편찬한 『심상소학창 가』였다. 일제는 이 책의 보충교재로서 ‘조선적 제재’를 활용한 『보통학교보충창가 집』을 기획한다. 『보통학교보충창가집』에 수록된 가사의 절반 정도는 일반인 대상 ‘보통창가 공모’를 통해 채용됐다. 공모전에서 채용된 가사는 우리의 기대와는 다르게 일제의 지...
TAG 『보통학교보충창가집』, 일제강점기 창가 교과서, 문화통치기, 제2차 조선교육령, 조선적 제재, 일선융화, 일선동조론, 『신편창가집』, 『보통학교창가서』, 『심상소학창가』, A Collection of Complementary School Songs for Public Common Schools, school song textbook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Education Ordinance, Cu
현대문학 : 김현 비평에 나타난 “문학주의적 특성” 연구 -미적 자율성, 낭만성, 자유주의적 지향을 중심으로-
오태호 ( Tae Ho Oh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87~115페이지(총29페이지)
본고는 김현 비평에 나타난 ‘문학주의적 특성’을 ‘미적 자율성, 낭만성, 자유주의적 지향’ 등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김현의 ‘문학주의’란 언어를 매개로 현실을 가공하여 개인과 자유, 욕망과 꿈을 지향하는 문학적 이데올로기를 말한다. 그는 등단 이래로 문학이, 고문하고 고통 받는 현실을 넘어 ‘낭만적 꿈’을 지향하는 무용성의 장르임을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비평은 억압 있는 세계로부터 해방적/개인적 자유를 추구하며 억압 없 는 세계를 지향하는 자유주의적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 그때 그가 거부한 것은 예술적 형상화를 저해하는 ‘도식적 리얼리즘’이다. 획일주의와 단일성의 도그마로부터 벗어나 고통스러운 내면을 개성적 언어로 토로하는 문학이 미적 자율성을 드러낼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김현 비평은 미적 자율성과 낭만 성, 자유...
TAG 김현, 김현 비평, 문학주의, 미적 자율성, 낭만성, 자유주의, 꿈과 고문, 억압과 자유, 도식적리얼리즘의 거부, 분석적 해체주의, Kim Hyun, Kim Hyun criticism, literaturism, aesthetic autonomy, romanticism, liberalism, dreams and torture, oppression and freedom, rejection of graphical realism
현대문학 : 이청준 소설에 나타나는 제주,제주민 의식 -「이어도」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이성준 ( Sung Jun Yi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117~151페이지(총35페이지)
이청준은 제주에 대해 각별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두 편의 소설을 창작했다. 비교적 초기작이라 할 수 있는 「이어도」와 말년작인 『신화를 삼킨 섬』에는 제주·제주민의 의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어도」에서는 양면성을 가진 전설의 섬 이어도와 관련된 제주민의 삶과 의식을, 『신화를 삼킨 섬』을 통해서는 제주 현대사의 비극인 4·3과 제주의 역사, 제주민의 의식을 그렸다. 두 텍스트에 드러나는 제주민 의식으로는 먼저, 뭍에 대한 동경이다. 절해고도에 갇혀 온갖 고난과 환란을 고스란히 감내해야 하는 숙명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욕망의 표현이다. 다음으로 배타성으로, 외지(부)인에 대한 거부감이다. 역사적으로 볼 때 고려조에 예속된 이후 외지(부)인은 점령자·지배자·탄압자·수탈자였다. 이런 외지(부)인에 대한 거부감은 제주민의 한 특성이라 할 수 있다. 셋째는 ...
TAG 이청준, 「이어도」, 『신화를 삼킨 섬』, 제주, 제주민 의식, 뭍에 대한 동경, 배타성, 거부, 저항, 좌절, 체념, 순응, 작가-이념소, Yi Chungjun, “Yieodo”, “신화를 삼킨 섬, Island swallowed Myths”, Jeju, Conscious residents of Jeju, Nostalgia for the land. Exclusivity, Denied, Resistance, Frustration, Resignation,
현대문학 : 담헌 홍대용의 「의산문답」 연구 -문학적 의미를 중심으로-
이승준 ( Seung Jun Lee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153~179페이지(총27페이지)
「의산문답」은 허자와 실옹 사이의 많은 문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것들은 하나의 근본적인 문답에 종속된다. “주공이 쇠했는가? 철인이 말랐는가? 우리 도가 잘못되었는가?”하는 허자의 물음과 ‘역외춘추론’으로 집약되는 실옹의 답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답은 이 작품의 중추적 기본 구성이다. 이는 허자의 입장에서 본다면 ‘환멸과 각성’의 과정으로 넓은 의미에서 성장의 의미를 지닌다. 허자와 실옹은 긴밀한 관계를 이루면서 의미를 형성한다. 허자와 실옹은 혼자서는 의미를 완결할 수 없는 ‘짝패’(double) 관계에 놓여 있다. 처음에 양자의 관계는 대립적이지만, 문답의 과정을 거치면서 허자의 의식은 실옹의 의식과 닮아간다. 허자는 실옹의 도움을 받아 세계관의 혁신을 경험한다. 그것은 중국 중심의 세계관으로부터 탈피하여 보편적 세계관에 이르는 역사적 진리, 즉 ...
TAG 담헌 홍대용, 환멸과 각성, 성장, 인물의 관계, 짝패, 입사의식, 재생의 공간, 서술양상, 초점화, Uisanmundap, Double, the symbolic place, the narrative situation, the breaking from the Sinocentrism, the process of intelligent growth
현대문학 : 식민지시기 혼혈인의 자아 정체성 연구 -염상섭 소설을 중심으로-
전훈지 ( Hoon Jee Jun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181~209페이지(총29페이지)
염상섭은 시종일관 냉철한 현실 감각으로 식민지 사회와 한국 사회의 크고 작은 모습들을 가감 없이 묘파해 온 작가이다. 중립적인 듯 담담한 시선으로 현실을 그려내면서 동시에 자신의 뚜렷한 가치관이나 입장 역시 쉽게 굽히지 않는 염상섭이 혼혈인을 바라보는 시선은 여러 가지로 시사하는 바가 많다. 염상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혼혈인들의 특성을 분석하면서 그들을 바라본 작가의 시선에 담긴 의미를 당대적 맥락에서 고찰해보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염상섭의 소설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혼혈인은 「남충서」의 남충서와 그의 여동생 효자, 「만세전」의 국수집 계집아이, 『사랑과 죄』의 류진 그리고 『牧丹꽃 필 때』의 김문자이다. 남충서와 류진이 자신들의 정체성에 대해 번민하며 회의적인 태도를 취하는 것에 반해, 효자와 계집아이, 문자는 자아 성찰과는 거리가 먼 인물들로 형상화되...
TAG 염상섭, 혼혈, 식민지시기, 정체성, 자아각성, Yeom, sangsup, Mixed-Blood, Colonial Period, Identity, self-realization
현대문학 : 이인직 초기 신소설의 모방 및 표절 텍스트 양상 연구
최성윤 ( Sung Yun Choi )  우리어문학회, 우리어문연구 [2015] 제53권 211~234페이지(총24페이지)
본 논문은 이인직의 초기 신소설이 후대 구활자본 대중소설에 어떻게 인용되거나 모방 혹은 표절되는지를 살핀 것이다. 1920년대 중반 이후 김동인은 이인직의 작품을 근대소설의 효시라 하여 상찬한 바 있으나, 절판 등의 상황으로 책을 구해 보기 어렵다는 호소를 하고 있었다. 그런데 비슷한 시기에 『혈의 루』, 『귀의 성』 등 이인직의 작품을 그대로 모방한 이야기책이 유통되고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옥상화』, 『오동추월』, 『경포대』 등이 그것들이다. 근대 초기 소설사의 저변을 탐색하는 작업은 단위 텍스트의 의미와 한계를 낱낱이 밝히기에 앞서 상호텍스트성에 입각한 당대 서사의 기본형과 파생 텍스트의 관계를 유추해 내는 데 일차적인 목적을 둘 필요가 있다. 파생 텍스트의 콘텐츠와 형식은 당대 혹은 후대의 장편 서사적 기본형에 다시 영향...
TAG 이인직, 신소설, 구활자본 대중소설, 상호텍스트성, 모방, 표절, 계몽, 통속성, 『혈의 루』, 『귀의 성』, 『옥상화』, 『오동추월』, 『경포대』, Lee Injik, new-style fiction, popular fiction, intertextuality, imitation, plagiarism, of Ghost, Oksanghwa, Odongchuwol, Kyeongpodae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