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59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문장 부호에 대한 전문가 인식 실태 조사
이관규 ( Kwan Kyu Lee ) , 신호철 ( Ho Cheol Sh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28~157페이지(총30페이지)
연구자는 문장 부호 규정에 대한 개정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문장 부호 규정의 인지도 및 수용도, 문장 부호 규정의 필요성, 문장 부호 규정에 대한 만족도, 문장 부호 규정 개정을 통한 국민의 국어사용 변화 정도를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장 부호의 필요성에 대해서 전문가들은 91.6%가 찬성하고 있으나 그 만족도는 38.6%밖에 되지 않고 있다. 또한 전문가들도 문장 부호를 인지는 잘 하고 있지만(81.2%), 그 규정을 직접 확인해 보지 않은 응답자가 무려 47.4%에 이르고, 28.7%는 문장 부호의 용법을 제대로 모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사용 변화 양상에 따라서 현행 문장 부호 규정이 바뀌어야 한다는 응답이 70.0%나 되고 있다. 사회의 변화에 따른 문장 부호 규정의 변화는 비...
TAG 구두점, 문장 부호, 문장 부호 규정, punctuation, punctuation marks, norms of punctuation marks
"표준 발음법"의 구성 체계 검토 -[붙임]과 "다만"을 중심으로-
이규범 ( Kyu Bum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58~190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어문 규범인 ``표준 발음법(문교부 고시 제88-2호, ``표준어 규정`` 제2부)``에서 사용되는 말머리인 [붙임]과 ``다만``의 성격을 살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표준 발음법``의 [붙임]과 ``다만``을 재구성 하였다. 본격적인 검토와 수정에 앞서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붙임]과 ``다만``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자 1933년 ``한글 마춤법 통일안``과 이를 수정한 1948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통하여 이들 사용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북한 규정에서의 쓰임을 알아보기 위하여 1987년 공포된 「조선어규범집」의 ``문화어 발음법``에서의 쓰임 양상을 분석하여 보았다. 마지막으로 어문 규범 일러두기의 언급, 『표준국어대사전』의 정의를 살펴보았다. 일련의 검토와 확인 작업을 바탕으로 확인한 남한의...
TAG 표준 발음법, 붙임, 다만, Korean Standard Pronunciation, supplement, exceptive clause
확장된 시공간, 공감의 깊이 -화답시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
임순영 ( Soon Young Lim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191~218페이지(총28페이지)
이 논문은 김춘수와 김종삼이 주고받은 화답시를 중심으로 화답시의 교육적 의미와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화답시는 오고 간 시편들을 각각 읽는 것보다 하나의 맥락 속어서 함께 읽을 때 더욱 효과적이다. 본고에서는 먼저 김춘수와 김종삼의 시 세계를 요약하면서 화답시가 쓰인 맥락을 알아보고 두 사람의 화답시가 타인과의 공감을 바탕으로 한 것임을 살펴보았다. 화답시는 읽는 사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시의 독백적 성격을 뛰어넘어 타인과의 공감을 극대화할 수 있고 대회적 상상력을 키울 수 있다. 또 화답시는 그 시편과 관련된 일화나 사연이 숨겨져 있는 경우가 많고 구체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읽어야 하기 때문에 서사적 상상력을 자극할 수도 있다. 화답시는 대화적 상상력, 서사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좋은 교육적 자료가 된다. 또 ``세자르 프랑크의 별``이라는 상대방의 시적...
TAG 화답시, 김종삼, 김춘수, 문학교육, 공감, Responding poetry, Kim Jong Sam, Kim Choon Soo, Literary education, Empathy
반복 읽기에서의 독자반응 양상 연구 -고등학생 독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섭 ( Eun Seob Ja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219~24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독자들의 서로 다른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 요인들이 한번 읽기와 반복 읽기(repeated reading)에서 어떤 다양한 반응들을 보여주는지 질적인 사례연구(case study)의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리가 독서를``글로부터 의미를 재구성하는 과정``나아가 그 목표 또한 글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으로 삼는다면, 이때 독자는 반복 읽기를 통해 스키마를 활성하고 텍스트에 제시 되어 있는 정보를 구조화하면서 개념들을 조직, 문맥에 맞게 변형, 텍스트의 정교한 이해로 나아갈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반복 읽기는 텍스트의 이해와 기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읽기 전략인 것이다. 덧붙여 읽기가 단순하게 글자를 해독하는 과정이 아니라 독자와 텍스트, 읽기 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이루어지는 의미 구성 과정이라는 ...
TAG 반복 읽기, 독자 반응, 읽기 전략, 텍스트 읽기, repeated reading, reader response, reading strategy, text reading
전통연희의 현대적 의의
전경욱 ( Kyung Wook Je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249~288페이지(총40페이지)
전통연희는 근현대 이전의 전통사회에서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연희자들에 의해 전승되던 백희잡기(百戱雜技)의 종목들과 가면극.판소리.창극.꼭두각시놀이 등 연극적 양식의 종목들로서, 영리를 목적으로 관중들을 위해 연행하는 공연물을 가리킨다. 전통연희는 종목별로 크게 (1) 곡예와 묘기, (2) 환술(幻術), (3) 각종 동물로 분장한 가면희, (4) 동물 재주 부리기, (5) 골계희(滑稽戱 코미디) 또는 우희(優戱), (6) 가무희(歌舞戱), (7) 악기 연주, (8) 인형극, (9) 가면극, (10) 판소리와 창극, (11) 종교의례 속의 연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동안 전통연희를 활용한 공연예술의 선구적 장르는 1980년대 시작된 마당극과 민족극을 들 수 있다. 1980년대 초두에 민속극에 기반을 둔 창작극인 마당극(마당굿) 또는 민족극이라 불리...
TAG 전통연희, 곡예와 묘기, 환술, 가면희, 동물 재주 부리기, 골계희, 우희, 가무희, 악기 연주, 인형극, 가면극, 판소리, 창극,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crobatic feats and stunts, magic arts, plays in animal disguises, animal stunts, farce or comedy, song and dance performances, musical performances, pu
문자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하채현 ( Chae Hyun H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11] 제9권 289~313페이지(총25페이지)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
TAG 문자 텍스트, 영상 텍스트, 학생. 교수자, 이해, 수업, 차이, paper text, visual text, student, instructor, understanding, classes, different
소설작품에 나타난 "읽고 쓰기"의 가치 탐구 -김연수 「다시 한달을 가서 설산을 넘으면」과 한 강 『바람이 분다, 가라』를 대상으로-
나정연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11] 제2011권 1~10페이지(총10페이지)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
"소설작품에 나타난 "읽고 쓰기"의 가치 탐구"에 대한 토론문
김미성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11] 제2011권 11(총1페이지)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
옛말 문헌에 대한 가독성 향상을 위한 옛말문법 교육 방안
이규범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11] 제2011권 12~26페이지(총15페이지)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
"옛말 문헌에 대한 가독성 향상을 위한 옛말문법 교육 방안"에 대한 토론문
김미미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학술발표논문집 [2011] 제2011권 27~29페이지(총3페이지)
이 글은 ``매체``가 다른 문자와 영상에 대한 학생의 이해가 어떻게 다른지를 살펴보기 위한 조사 연구이다. 문사 텍스트와 영상 텍스트에 대한 학생의 이해에 관한 기초 연구는 조사 연구(survey research)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연구문제로 설정한 것과 관련된 설문 문항을 만들어 배포하였다. 표집된 설문지를 spss로 분석하여 검토하였다. 대학교 교양 수업 수강자를 대상으로 전체 학생 266명이 설문 작성에 참여하였고, 강의를 맡고 있는 교수자 26명이 참여하였다. 조사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문자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지적 즐거움, 지혜, 성숙을 위해서, 영상 텍스트의 개인적인 체험은 감각적 즐거움, 흥미와 몰입을 위하여 한다고 대답하였다. 그리고 문자 텍스트 수업과 영상 텍스트 수업에...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