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유아교육연구21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감성과 논리적 사고 증진을 위한 통합적 유아교수방법에 관한 연구
지성애 ( Ji Seong A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2호, 171~195페이지(총25페이지)
이 연구는 유아의 감성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를 보다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수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유치원교육과정의 영역들을 통합한 `통합적 교수방법`과 `영역별 교수방법`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들을 구성하고 이들을 유아교육 현장에 적용한 후, `통합적 교수방법`과 `영역별 교수방법`이 유아의 감성과 논리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체적인 감성적 사고와 논리적 사고 점수 모두 `통합집단`이 `영역별 집단들` 및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TAG 통합적 교수방법, integrated teaching method, 감성적사고, emotional thinking, 논리적사고, logical thinking
협동적 집단게임을 통한 유아의 사회화 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최기영 ( Choe Gi Yeong ) , 신선희 ( Sin Seon Hui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2호, 197~22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협동적 집단게임을 통한 유아의 사회화 과정이 어떻게 이행되고 있는가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집단게임을 장기적으로 실시하여 게임에 참여하는 아동과 교사의 사회적 행동을 참여관찰, 이를 문화기술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사회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과 학급담임 교사 1인을 연구대상으로 유아의 협동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협동적 집단게임을 고안하여 1, 2학기를 통하여 1주에 약1회씩 총 15회의 게임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게임의 각 단계에서 포기보다는 게임 경험을 여러 번한 중기가 되면서 협동적 태도가 나타났으며 이후 계속 증진되었다. 특히 게임규칙 정하기, 게임실시, 게임 결과판정, 게임전체 평가 단계들에서 아동들은 협동성은 물론 친사회적 행동이 요구됨을 스스로 인식하였다. 또한 경쟁적 ...
TAG 협동적 집단게임, cooperative group game, 사회화 과정, socialization process, 문화기술적 연구, ethnographic study, 집단게임 교수방법, group game instruction
유아 학습형 웹사이트 평가도구의 타당화 연구
김영희 ( Kim Yeong Hui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2호, 223~24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유아 학습형 웹사이트 평가도구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고찰, 주제별 인터뷰, 델파이 조사, 통계적 검증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 유아 학습형 웹사이트 평가도구는 3개 영역(콘텐츠, 교수-학습 전략, 인터페이스)과 10개 평가준거(교육성, 적합성, 통합성, 상호작용성, 동기유발성, 유아조절성, 연결성, 기능성, 사용의 용이성, 친숙성), 97개 평가문항으로 개발되었고 평가영역과 평가준거 및 평가항목에 대한 전문가 집단 간 의견의 일치가 도출되어 유아 학습형 웹사이트 평가도구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유아 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도구와 웹사이트 평가도구에서는 볼 수 없었던 콘텐츠 영역과 웹이라는 전달 매체의 속성을 고려하여 학습의 효과성을 고려한 교수...
TAG 온라인 유아학습, online preschool children learning, 온라인 유아학습 웹사이트, online preschool children learning website, 유아 학습형, type of the preschool children learning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에 따른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수 실제에 관한 연구
김은심 ( Kim Eun Sim ) , 박수미 ( Park Su Mi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2호, 241~26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에 따라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수실제가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동작교수 효능감 검사도구 MTEBI(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를 토대로 선정된 동작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 3명과 낮은 교사 3명 및 그 학급 유아를 대상으로 면접 및 관찰 결과를 분석한 결과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동작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간에 동작교육에 대한 관심 및 흥미, 중요도, 선호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교수 실제 부분에 있어서는 효능감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부분과 효능감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 간에 유사한 실제를 보이거나, 효능감이 낮은 교사들간에도 서로 다른 실제가 나타나기도 하여 효...
TAG 동작교육 효능감, movement teaching efficacy belief, 동작교육에 대한 태도, attitude toward movement education, 동작교수 실제, movement teaching practice, 유아동작교육,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유아의 상위언어능력과 모국어 및 외국어 어휘력간의 관계
마송희 ( Ma Song Hui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2호, 267~28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5-6세 유아의 상위언어능력과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6세 유아들도 상위언어능력을 갖고 있었으며, 통사자각능력은 6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높았다. 둘째, 유아의 상위언어능력은 외국어 어휘력 뿐만 아니라 외국어 어휘력과도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다. 셋째, 모국어 능력은 외국어 어휘력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상위언어능력을 통제한 후의 모국어 어휘력과 외국어 어휘력간의 편상관계수는 현저하게 낮아졌다. 이 결과를 EFL 상황에서 5-6세 유아들에게 외국어교육을 시키는 상황에서 유아의 모국어 및 외국어 어휘력과 상위언어능력의 관계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AG 상위언어능력, metalinguistic awareness, 모국어 어휘력, first language vocabulary, 외국어 어휘력, foreign language vocabulary
한글의 특성에 따른 한글 해독 지도 방법 탐색
이차숙 ( Cha Suk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1호, 5~25페이지(총21페이지)
읽기에서 해독 기술은 매우 중요한 기술이다. 해독은 문자 언어의 체계나 유아 개인의 인지적 능력의 차이에 따라 그 발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 특별히, 문자 언어의 체계는 해독 과정의 방식에 중요한 변인이다. 한글은 세계의 어떤 글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글의 특성에 맞는 해독 지도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본 고의 목적이었다. 이런 목적을 위하여, 먼저 한글의 특성을 고찰했고, 한국 유아의 해독 과정을, 해독의 발달 과정과 사용하는 해독 책략에 대한 개인적 관찰을 통하여, 영어권 아동의 해독 과정과 비교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하는 해독 책략들을 중심으로 해독 지도의 방법들에 대한 제안을 했다.
TAG 해독, decoding, 한글의 특성, 단어 재인, word recognition, 음운 인식, phonological awareness, 한글 해독 과정의 특성, 해독 책략, decoding strategies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안부금 ( Bu Geum An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1호, 27~5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프로그램의 효과를 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 그리고 실제 과학교수방법의 변화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 현장의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문헌 연구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프로그램에 유치원 교사 7명이 참여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과학교육 교사 연수 프로그램은 교사의 과학적 지식, 과학교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실제 과학교수방법의 변화에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유아교사의 과학 분야의 전문성과 자질 함양을 위해, 그리고 과학교수 능력 향상을 위해 적극적인 활용이 기대된다.
TAG 구성주의, constructivism, 과학적 지식, scientific knowledge, 반성적 사고, reflective thinking, 과학교수방법, science-teaching method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 에 나타난 유아사회교육 관련 활동 분석
안선 ( Sun Ahn ) , 김희진 ( Hee Jin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1호, 53~78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사회교육 관련 활동을 분석해 봄으로써 유아사회교육의 내용 경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사회교육 관련 활동은 Ⅰ수준 보다 Ⅱ수준이 더 많았으며, 생활 주제별로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둘째, 사회과학적 개념, 가치 및 태도, 기술의 3개 내용 범주는 대체로 고루 포함되어 있으나 각 범주별로는 몇몇 하위범주에 편중되어 있었다. 셋째, 특정 생활주제에 유아사회교육 내용이 편중되어 있었다. 교육과정 개발, 교사교육, 및 유아사회교육에 대한 시사점이 제시되어 있다.
TAG 유아사회교육, Social Studies for Young Children, 사회과학적 개념, Social Science Concepts, 가치 및 태도, Values end Attitudes, 사회적 기술, Social Skills
개념변화 교수법에 기초한 과학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능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라정숙 ( Jung Sook Ra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1호, 79~103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 과학교육을 중심으로 개념변화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사교육이 유아교사의 과학 교수능력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밝혀보고자 하였다. 실험처치 기간은 총 13주로 이 기간 동안 교사교육을 받은 실험대상 교사는 개념변화 교수법을, 비교대상 교사는 전통적 교수법을 유아에게 적용하여 과학활동을 지도했다. 연구결과, 개념변화 교수법은 전통적 교수법에 비해 교사의 과학 교수방법과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 향상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AG 과학교사교육, science teacher`s education, 개념변화 교수법, conceptual change pedagogy, 과학적 탐구능력, scientific processing skill, 과학적 태도, scientific attitude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을 고려한 장학 모형 개발
조부경 ( Boo Kyung Cho ) , 백은주 ( Eun Joo Baik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03] 제23권 제1호, 105~13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발달 수준이 서로 다른 유치원 교사의 장학에 대한 요구를 고려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장학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교사 발달 및 장학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에 따른 장학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여 이론적, 실제적 준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장학 모형 시안을 구성한 뒤, 4명의 서로 다른 발달 수준의 유치원 교사들에게 모형 시안을 적용하여 수정, 보완하였다. 장학 모형에서는 장학 유형 및 담당자, 장학 내용, 그리고 장학 방법이 유치원 교사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조금씩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도와주기 위한 장학 모형은 개별 교사의 발달 수준과 요구 및 상황 등을 고려하여 교사들의 지속적인 발달을 도와주기 위한 것이어야 함이 시사되었다.
TAG 교사 발달, teacher`s development, 장학 모형, supervision model, 유치원 교사의 발달 수준, kindergarten teacher`s developmental level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