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유아교육연구21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놀이와 창조성에 관한 고찰: 놀이 속 물리적 세계와 상상의 연결
김윤희 ( Kim Yun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2호, 485~507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놀이 속 물리적 세계와의 만남과 상상이 어떻게 창조적 능력으로 연결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구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물리적 세계와 상상의 세계가 만나는 유아의 놀이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유아들은 다양한 자연물과 사물이 주는 어포던스의 특징을 발견하고 경험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물과 환경에 변화를 가하고, 통제해가며 그 가운데에서 가능성을 실험하고 상상의 세계를 구축해간다. 놀이하는 유아의 자아는 심각한 갈등에서 벗어나 있으며 브리콜라주의 지성과도 닮아있다. 혼자 하는 가상놀이, 또래와 함께 하는 사회적 가상놀이, 그리고 현실을 뛰어넘는 초현실적 세계 속에서 유아의 놀이는 서로 이질적인 세계를 넘나들며 지식과 세계를 확장해간다. 이는 유아의 놀이에서 발견할 수 있는 고유한 가치일 것이다. 본 연구의 고찰을 기...
TAG 사물놀이, object Play, 창조성, creativity, 어포던스, affordance, 상상, imagination
몰입이론에서 본 유아놀이-배움에 대한 소고
탁정화 ( Tak Jeong-hwa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2호, 509~53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놀이가 유아교육의 고유성이자 본질임을 재인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가정에 터하여 Csikszentmihalyi가 주장한 몰입관점으로, 유아놀이와 교사의 놀이지원에 나타나는 몰입현상의 의미와 가치를 재정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유아놀이가 가진 가치를 몰입의 특성과 연결지음으로써 놀이 속 몰입경험이 유아의 생활에 미치는 교육적 의미를 탐구하였다. 유아놀이-배움을 신체활동, 지적활동, 게임의 3가지 맥락에서 몰입특성과 연결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놀이몰입의 교육적 가치를 긍정정서, 자유선택, 메타학습능력으로 범주화하여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놀이-배움의 관계에서 내면적으로 작동하는 몰입의 가치를 재발견함으로써 오랫동안 유아교육의 정체성으로 간주되었던 놀이의 역동적 과정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TAG 놀이, play, 몰입, flow, 유아, young children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은유(metaphor)적 인식
조준오 ( Jo Jun-oh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2호, 537~563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현장에서 교육을 실천하면서 바라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유아와 유아교사의 교육활동 증진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특히 개인의 내면에 잠재한, 그러나 아직 드러나지 않은 개념을 도출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은유기법을 통하여 유아교사의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였다.이를 위해 부산시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총 19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은유 분석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누리과정에 대한 은유의 범주는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대한 은유적 표현의 내용 범주를 살펴보면, 참고서가 65명(33.7%)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길잡이 39명(20.2%), 교과서 25명(13.0%), 답안지 18명(9.3%), 딜레...
TAG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Nuri curriculum teacher's guidebooks, 유아교사, early childhood teacher, 은유, metaphor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을 통해 알아본 자율성의 의미
이소정 ( Lee Sojung ) , 양지애 ( Yang Jiae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2호, 565~592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서 드러나는 자율성의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진정한 유아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자이자 실행의 주체자가 되어갈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계획, 실행해본 경험에 대한 유아교사 4명의 내러티브를 살펴보았다. 이들의 내러티브에 비추어 볼 때, 유아교사들의 교육과정재구성 경험을 통해 알아본 자율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와 관련되어 있는 다양한 관계 속에서 발휘되는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자율성’, 둘째, 교육과정의 자율성과 책무성을 조율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육과정과 유아 삶의 간극을 줄이는 자율성’, 셋째, 기관의 시스템과 분위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한 교사의 역량 및 의지, 교육과정 재구성의 범위 및 깊이 등 ‘변화를 이끄는 자율성’이다.
TAG 유아교사, early childhood teacher, 교육과정 재구성, curriculum reconstruction, 유아교육과정 자율성, curriculum autonom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과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서 또래상호작용의 종단적 매개효과 검증
임선아 ( Lim Sun Ah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1호, 5~2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스마트미디어가 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필요함에 따라, 스마트미디어의 사용이 또래 아이들과 놀이를 통한 관계형성을 방해하고, 또래상호작용의 감소가 문제행동의 발생을 야기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아동패널데이타 5-7차년도 종단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전 시점의 유아의 스마트미디어의 사용, 또래놀이상호작용, 문제행동은 이후 시점의 스마트미디어의 사용, 또래놀이상호작용, 문제행동 각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시점에서 스마트미디어의 사용을 많이 하는 유아일수록 또래상호작용이 감소하고, 또래상호작용의 감소는 이후 시점의 문제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스마트미디어, smart-media, 또래상호작용, peer play interaction, 문제행동, behavioral problems,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유아 초기대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송윤나 ( Song Yun-na ) , 박희숙 ( Park Hee-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1호, 23~52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유아 초기대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 하는 것에 있다. 최종 개발된 본 연구의 프로그램 체계는 목적 및 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 교사역할 및 평가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처치는 2018년 5월 21일부터 7월 13일까지 총 8주간 진행되었으며, 연구 기간 중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유아 초기대수교육 프로그램을 매주 2-3회 적용하였다. 통제집단 유아들에게는 누리과정에 제시된 유아 수학교육 활동을 매주 2-3회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이야기 이해능력 중 그림책 초기탐색과 유도된 이야기이해와 대수적 사고능력 중 규칙인식하기, 규칙설명하기, 규칙전이하기 규칙추리하기와 수학적 문제해결능력 중 측정,...
TAG 초기대수, early algebra, 스토리텔링 수학, storytelling mathematics, 유아수학교육, mathematic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유치원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 대한 배경변인과 DAP신념의 영향
유은영 ( Yoo Eunyoung ) , 김정숙 ( Kim Jung Suk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1호, 53~77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의 학력, 경력, 유아수학교육 교과목 이수여부, 수학교육 관련 연수 참여 여부에 대한 배경변인과 유아에 대한 발달에 적합한 신념이 수학교과교육학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유치원에 근무 중인 교사 139명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교사 배경특성 설문지와 ‘DAP신념 검사’, ‘수학교과교육학지식 검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치원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지식 전체점수는 학력, 경력, DAP신념과 정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수학교과교육학지식 하위요인 중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은 학력, 경력, DAP신념, 전문성은 DAP신념과 유의미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유치원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TAG 유치원교사, kindergarten teacher, 유치원교사의 배경변인, kindergart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DAP신념,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beliefs, 수학교과교육학지식,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유아참여권을 중심으로 본 미소반의 민주적 교실문화 형성에 대한 실행연구
권미나 ( Kwon Mina ) , 배지현 ( Bae Jee-hyun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1호, 79~101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참여권을 중심으로 민주적 교실문화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찾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12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만 5세 유아 25명과 4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반성적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미소반의 민주적 교실문화 형성과정은 ‘문제파악 및 계획 단계: 우리 반 교실의 주인 찾기’, ‘실천과 변화단계: 아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반성의 반복: 진정한 민주를 찾아서’, ‘발전 계획: 민주적 문화공동체 형성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미소반의 민주적 교실문화 형성의 의미는 ‘유아교육의 본질로 돌아가기’, ‘실행연구의 반성적 실행력’,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희망’으로 종합되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유아교육현장을 중심으로 위로부터의 문화가 아닌...
TAG 유아참여권, young children`s participation, 민주적 교실문화, democratic classroom culture, 실행연구, action research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송민영 ( Song Min-young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1호, 103~123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학습준비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 세 요인의 관계에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한국아동패널(PSKC) 7차년도(2014) 자료의 만 5세 유아 1,203명과 유아가 재원 중인 유아교육기관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와 AMOS 21.0, SPSS macro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이루어졌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유아의 학습준비도에도 정적인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둘째,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학습준비도의 관계에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구...
TAG 교사-유아 상호작용, teacher-child interaction, 유아-또래놀이 상호작용, child-peer play interaction, 학습준비도, school readiness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력적 반성 기반 STEAM수업 모형 개발
안부금 ( An Bu Geum )  한국유아교육학회, 유아교육연구 [2019] 제39권 제1호, 125~148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력적 반성 기반의 STEAM수업 모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TEAM수업 및 협력적 반성 관련 문헌을 고찰하여 수업모형(안)을 개발하고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거쳤다. 이 수업모형(안)은 예비유아교사 23명을 대상으로 15주간 유아과학교육 시간에 적용되었으며, 적용과정 분석결과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협력적 반성 기반 STEAM수업 모형의 목표는 예비교사의 STEAM교육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유아 STEAM수업을 계획 및 실행 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데 있다. 개발원리 및 중점 사항으로는 과학을 기반으로 다른 교과를 연계시키는 다학문적 통합의 방식을 취한 점, 구성주의 이론에 토대를 둔 점, 유아 STEAM수...
TAG 예비유아교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협력적 반성, collaborative reflection, STEAM수업 모형, STEAM Teaching Model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