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AND 간행물명 : 퇴계학과 유교문화5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만시(輓詩)를 통해 본 죽음의 형상화(形象化) 방식
손유진 ( Yu Jin Son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4] 제54권 253~276페이지(총24페이지)
본고에서는 조선 중기 대표적 禮學者인 愚伏 鄭經世(1563-1633)의 만시를 대상으로 하여, 여기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 방식과 지인의 죽음에 대처하는 작자의 태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시어와 표현이 관습화되어 있는 만시의 일반적인 특징처럼, 우복의 만시에서 도 동일한 典故나 用事가 서로 다른 인물에 대한 만시에서 상투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그 전개 방식 또한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즉 우복은 공적 관료의 입장에서 만시를 지을 때에 만시 대상 인물의 인물됨과 그의 죽음에 대한 자신의 감회를 서술하면서, 죽음과 관련된 일반적 전고를 차용하되 대상 인물과 자인의 관계를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관용구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관습적 형상화의 방식으로 대상 인물의 공적 지위나 사회적 위상을 부각시키고 여기에 각 인물과 연관된 자신의 기억을 특별히 附加...
TAG 정경세, 만시, 죽음, 관습성, 구체성, 서정성, Jeong Gyeong-se, Mansi, Death, conventional, concreteness, Lyricism, 輓詩
퇴계(退溪) 『계몽전의(啓蒙傳疑)』의 오음육률(五音六律)에 관한 연구
정해임 ( Hae Im Chu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4] 제54권 277~314페이지(총38페이지)
퇴계 이황의 『啓蒙傳疑』에 전하는 五音 六律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五音은 日을 주관한다. 五音은 五行의 音聲으로 五行 중 土는 五音 중 宮音이 되고, 金은 商音이 되고, 木은 角音이 되고, 火는 徵音이 되고, 水는 羽音이 된다. 五音은 甲과 乙, 丙과 丁, 戊와 己, 庚과 辛, 壬과 癸의 10幹에 배합하고 있다. 六律은 6陽律과 6陰呂를 통칭하고 辰을 주관한다. 12律呂 중 ①黃鍾 ③太簇 ⑤姑洗 ⑦유賓 ⑨夷則 ⑪無射은 6陽律은 각각 12辰 중 子, 寅, 辰, 午, 申, 戌의 6陽辰에 배합되고, 12律呂 중 ②大呂 ④夾鍾 ⑥仲呂 ⑧林鍾 ⑩南呂 ⑫應鍾은 六陰呂는 12辰 중 醜, 卯, 巳, 未, 酉, 亥의 6陰辰에 배합된다. 納音은 12辰과 5音의 배합과 隔八相生, 同類娶妻에 의하여 60音으로 이루어진다. 甲子는 金, 丙子는 水, 戊子는 火, 庚子는 土, 壬子는 木 ...
TAG 오음, 육유 납음, 격팔상생, 동유취처, 5 Tones, 6 Yuls, Nap Tone, Gyeokpalsangsaeng, Dongryuchwicheo, 五音 六律 納音 隔八相生 同類娶妻
소수서원(紹修書院) 입지환경(立地環境)과 풍수(風水)
박정해 ( Jeong Hae Park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4] 제54권 315~342페이지(총28페이지)
소수서원은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어 다니는 서원으로써, 서원건설의 시초를 제공하였으며 서원건설의 본보기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서원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의 기준점을 제시한 측면도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소수서원의 성격을 대변하는 문성공묘는 주세붕이 밝히고 있듯이, 安珦을 제사 지내는 목적을 앞에 두고 사당을 먼저 건립하고 있다. 부차적으로 강학하는 장소를 마련하고 있어 소수서원이 강학중심 서원이 아닌 제향중심의 서원이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혈처에 어떤 건축물이 입지할 것인지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소수서원은 풍수적 논리를 바탕으로 입지선정과 공간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는 데, 풍수의 한 유파를 차지하는 형국론은 객관성을 담보하는데 한계성을 가진다. 그러나 특정지역의 특징적인 형상을 소개하는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소수서원의...
TAG 소수서원, 풍수미학, 형국론, , 경관, So-su Seowon, Feng shui, Theory of Locational condition, Qi, Landscape,
퇴계(退溪)의 서원향사례정초(書院享祀禮定礎)에 대한 고찰(考察) - 백운동서원향사례(白雲洞書院享祀禮)수정을 중심으로 -
한재훈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1~20페이지(총20페이지)
書院의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은 講道(作人)와 尊賢(崇道)이다. 즉, 敎學공간으로서의 기능과 享祀공간으로서의 기능이 書院의 대표적인 기능이다. 하지만 그동안書院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敎學공간으로서의 書院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해 왔다. 이는 書院의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인 講道(作人)와 尊賢(崇道) 중에서 전자에 편중된 것으로, 書院의 전모를 온전히 구명하기 위해서는 후자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1549년 12월 退溪는 豊基郡守로 재직하면서 白雲洞書院을 賜額해달라는 주청을方伯을 통해 나라에 올렸고, 이를 계기로 이듬해 白雲洞書院이 우리나라 최초의 賜額書院인 紹修書院이 되었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賜額을 주청하기직전인 1549년 가을 退溪가 白雲洞書院에서 준행되어 온 기존의 享祀禮에 대하여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
TAG 퇴계, 서원, 행사례, 백운동서원, 진설, 홀기
이황서한(李滉書翰)을 통해본 명종대서원(明宗代書院)의 창설(創設)과 운영(運營)
김형수 ( Hyeong Su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21~50페이지(총30페이지)
서원은 조선중기 이래 사족의 교육?교화기관으로 기능하면서 대표적인 향촌운영기구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특히 17세기 이후 서원은 재지 사림의 중심적 기구로 되었으며, 이후 정치?사회?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원 창설기의 사림의 종장으로 활동하였던 이황은 서원의 창설에 부단한 관심을 기울였다. 이황은 서원의 창설 및 운영과 관련하여 문인들과 끊임없이 서한을 주고받으면서 의견을 교환하였으며, 이러한 이황의 서원에 대한 관심은 이후조선에 있어서 서원의 운영과 제향자의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황은 서원의 제향인물을 道學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물론 이황이 처음부터도학자만 서원에 제향해야 한다고 한 것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충절과 도덕 모두제향의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나, 성주 영봉서원의 위차 및 배향논쟁을 거친 후 道學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제...
TAG seowon, Lee Hwang`s leyyer, sacrificial rite, neo-confucian moral, yorum
『심원록(尋院錄)』을 통해 본 18세기 전반 도산거원(陶山書院)의 방문과 그 의미
김명자 ( Myung Ja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51~84페이지(총34페이지)
본고에서는 1720년 12월 20일부터 1745년 1월 21일까지 도산서원 ?尋院錄?에 기재된 4,935명을 대상으로 방문인원과 목적, 방문객의 거주지와 성씨, 지방관의 방문 현황 등을 분석했다. 『심원록』에는 한해 평균 200여 명이 방문사실을 기재했다. 1728년(352명)과1733년(639명)에는 방문객이 이례적으로 많은데, 이는 영남안집어사 朴文秀의 도산서원 방문과 퇴계 이황의 致祭에 따른 것이다. 방문객의 대부분은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흠모하여 방문했으며, 과거에 급제했을 때, 도산서원 근처에 오고 갈때, 享祀?居齋?출판?玩樂齋의 관리 등의 이유로 방문하기도 했다. 방문객의 거주지와 성씨를 살펴보면, 236개 성씨가 8개 道65개 지역에서 도산서원을 방문했다. 그 가운데 안동 권씨, 진성 이씨, 의성 김씨, 전주 ...
TAG 도산서원, 『심원록, 尋院錄』, 서원 방문, 영남 남인, 예안
퇴계(退溪) 가서(家書)에 나타난 화법(話法)에 대한일고(一考) -손자(孫子) 안도(安道)에게 부친 서찰을 중심으로
정시열 ( Si Youl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135~170페이지(총36페이지)
본고는 퇴계 이황이 손자 안도에게 보낸 서찰 가운데 현전하는 125통에 나타난 화법에 대한 연구이다. 맏손자에게 보내는 것이었던 만큼 서찰 곳곳에서 묻어나는 조부의 애정 어린 어조는 15년의 세월 속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지만 전하는내용에 따라 진술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것을 화법의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서찰에 등장하는 내용 중에서도 비교적 비중이 큰, 세 가지 사안인 제수된 관직의 사직, 손자의 학업에 대한면려, 처세나 처신에 관한 언급 등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서찰에 나타난 퇴계의화법은 상대에 대한 존중에 바탕을 둔 표현적 진솔함이라는 말로 요약이 가능하다. 이러한 그의 화법은 앞서 언급한 세 가지 구체적 사안에 따라 보다 효과적인전언을 위해 일정한 변화의 양상을 보이는데, 본고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그 각각의 세부적 사항에 대해...
TAG 퇴계, 이황, 안도, 조부, 손자, 가서, 서찰, 화법
성와 이인재의 성리사상 -「고대희랍철학고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임종진 ( Jong Jin L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171~234페이지(총64페이지)
본 논문은 근대 시기 영남의 성리학자인 省窩李寅梓의 성리학적 입장을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인재는 그의 문집 속에 들어 있는 논설들, 다른 성리학자들과 주고받은 편지 등을 통해서 여러 가지 성리학적 주제들과 관련된 자신의입장을 피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古代希臘哲學攷辨을 중심으로 이인재의성리사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왜냐하면 이 저술에서 이인재는 성리학을 진리의 표준으로 삼아서 서양고대철학을 분석하고 비판, 평가하였기 때문에 오히려 성리학에 대한 그의 입장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날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다. 분석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이인재는 기본적으로 성리사상과 관련해서 朱熹와 李滉의 학설을 찬성할 뿐만 아니라 그 연장선상에 있는 李震相-郭鍾錫으로 이어지는 寒洲學派의 主理的입장을 계승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성리사상과 관련해서 이인재가 이론...
TAG Lee Yin-Jae, Chu His, Lee Hwang, Lee Jin-Sang, Gwak Jong-seok, Neo-Confucian thought, juli, Treatise of ancient Greek philosophy
동무 이제마의 사상적(四象的)사유체계와 『맹자(孟子)』
임병학 ( Byeong Hak L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235~264페이지(총30페이지)
본 논문은 東武李濟馬(1837~1900)의 四象的사유체계와 『孟子』의 性善說과四端之心, 鄙薄貪懦之心의 관계를 『格致藁』와 『東醫壽世保元』 제1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사상의학의 철학적 원리를 논급한 『동의수세보원』제1권의 제목인 四端論과擴充論은 맹자가 性善說를 설명한 부분에서 그대로 인용한 것이며, 자신의 四象的사유체계의 핵심적 내용인 四端之心과 鄙薄貪懦之心도 『맹자』에서 그대로 원용한 것이다. 이에 동무의 四象的사유체계와 『맹자』의 관계에 性善說에 기초한 네 가지 마음작용인 好善?惡惡과 私心?怠心을 먼저 고찰하고, 인간 본성인 仁義禮智四德과四端之心그리고 小人之心인 鄙薄貪懦之心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동무는 맹자의 인간 존재에 대한 규정인 성선설를 바탕으로 마음작용을 철저히 계승하여, 인간 본성에 바탕한 一心이 人性과 人欲으로 나누어지고, 인성은 다시 好善과 惡惡...
TAG 東武李濟馬, 格致藁, 東醫壽世保元, 孟子, 四象, 四德, Tongmu Lee Jea-Ma, Gyeokchigo, Mencius, Donguisusebowon, Sa-Sang, the lour virtue
유교교양교육과 초중고 전통문화교육 연계 방안 -유교교육기관의 아동/청소년 연수과정을 중심으로-
김광섭 ( Kwang Seub Kim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퇴계학과 유교문화 [2013] 제53권 265~290페이지(총26페이지)
우리나라의 예절교육은 유교의 전통예절과 서구의 시민윤리를 합하여 가르치고 있다. 시민윤리가 합리성과 자율성에 기초한 개인주의적이라면, 전통예절은 공경과 존중에 기초한 공동체주의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상호존중의 정신은 오늘날의 물질적 가치의 중시, 생명경시풍조, 집단이기주의 등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의 인성 교육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인성도 갖춘 창의적 인재’임을 고려해 보면, 현대사회에서 창의성만 갖춘 인간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한 인성교육에 대한 학부모 및 교사의 응답을 보면, 가정과 지역공동체의 역할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그 역할은높은 기대 심리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유교문화체험프로그램의 주요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생과 학부모의 ...
TAG 유교교양교육, 유교문화체험, 전통문화, 인성교육, 교과과정, 예절교육, 창의적 인재, 여가활동, Traditonal culture, Traditional culture experience, Confucian cultural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Manners edu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