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168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Learn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Using e-Textbook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Sunghye Lee ) , ( Yoojung Chae ) , ( Kyoungae Choi )  한국교육공학회,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19] 제20권 제2호, 195~221페이지(총27페이지)
TAG E-textbook, Online learning, Students’ experience, Learners’ perceptions, Grounded theory
What is Monitored and by Whom in Online Collaborative Learning?: Analysis of Monitoring Tools in Learner Dashboard
( Ji Young Lim ) , ( Jisoo Choi ) , ( Yoon Jin Kim ) , ( Jeongin Eur ) , ( Kyu Yon Lim )  한국교육공학회,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2019] 제20권 제2호, 223~255페이지(총33페이지)
TAG Monitoring, Group awareness tool, Learner dashboard, Self-regulation, Co-regulation, Socially shared regulation, Collaborative learning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개발
김선연 ( Suny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621~653페이지(총33페이지)
최근 예술 및 경영 분야뿐만 아니라 교육에서도 디자인 씽킹은 집단 창의성의 향상과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방법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씽킹의 핵심아이디어를 반영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진행하여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의 단계와 구체적인 활동들을 반영한 최종 모형을 개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씽킹에 기반한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은 수업의 단계와 마찬가지로 도입, 전개, 정리의 3단계로 구분하고 도입 단계에 집단 이해-공감-정의, 전개 단계에 발상-선정, 정리 단계에 생각 시각화-검토-프로토타입-파일럿 테스트로 세분화하였다. 이때 정리 단계는 대학의 다양한 전공의 수업을 고려하여 정리 1(생각 시각화-검토), 정리 2(프로토타입-...
TAG design thinking, group creativity, group creativity thinking process mode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디자인 씽킹, 집단 창의성, 집단 창의성 사고과정 모형, 집단 협력학습
MOOC 대시보드 설계원리 개발: 자기조절학습 촉진을 중심으로
은주희 ( Juhui Eun ) , 임규연 ( Kyu Yon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655~685페이지(총31페이지)
대시보드는 시각화된 학습활동 정보를 통하여 학습자 자신이 미처 파악하지 못한 진행상황을 인지하도록 지원함으로서 학습과정 및 결과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해주는 도구이다. 이 같은 대시보드는 학습과정에서 다양한 데이터가 생성되는 온라인 환경을 중심으로 활용되는데, 최근에는 대규모 공개 온라인 강좌인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에서 강조되고 있다. MOOC 학습자는 스스로 자신의 학습과정을 계획, 점검, 성찰하는 자기조절학습을 필수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MOOC에서 자기조절학습을 촉진하기 위한 대시보드 설계원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조절학습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따라 문헌분석을 실시하여 설계원리를 도출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MOOC, 자기조절학습, 대시보드의 3세 가지 영역에 대한 관점을 통합적으로 ...
TAG MOOC, self-regulated learning, dashboard, design principles, 자기조절학습, 대시보드, 설계원리
초등학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수업 모형 개발 연구
김근재 ( Keunjae Kim ) ,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687~728페이지(총42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메이커 교육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 개발하고 이에 대한 교수자,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등학교에서 메이커교육이 점차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 중 하나는 교수자가 학습자 활동을 촉진 및 지원할 수 있는 상세하고 정교화된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에 설계·개발 연구방법의 절차에 따라 선행문헌 검토를 통해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 초안을 도출하였다. 이후, 수업 모형과 교수전략에 대한 전문가 타당화 및 사용성 평가를 거친 후 도출된 최종 수업모형의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공감하기, 2) 메이킹 문제 정의하기, 3) 재료 및 도구 특성 파악하기, 4) 컴퓨팅 산출물 조립하기, 5) 리믹스를 활용한 알고리즘 설계 및 코딩하기, 6)...
TAG maker education, single-board computer(SBC), instructional model, computational thinking, maker mindset, 메이커 교육, 피지컬컴퓨팅도구, 수업모형, 컴퓨팅사고력, 메이커 정신(mindset)
중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군집 유형과 특성 분석
허희옥 ( Heeok Heo ) , 박연정 ( Yeonjeong Park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729~754페이지(총26페이지)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 및 경제 구조의 변화에 대비하는 인재 양성과 교육에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하는 고차적인 문제 해결력, 창의·융합 능력의 증진에 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집중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중학교에서 소프트웨어(SW)교육 역량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따라 SW교육의 효과 증진을 위한 다양한 연구와 실천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는 SW교육의 핵심 목표인 컴퓨팅 사고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컴퓨팅 사고력은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는 능력을 말하며, 분석, 설계, 실현, 평가 능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의 특징을 살펴보면서 효과적인 SW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데 있다. 이를...
TAG computational thinking, software education, cluster analysis, middle school students, 컴퓨팅 사고력, SW교육, 군집분석, 중학생
플립드러닝과 팀기반학습을 통합한 대학수업에서 사전학습과 팀활동 참여와의 관계
이지은 ( Jieun Lee ) , 김민성 ( Minseong Kim ) , 김유경 ( Yugyeong Kim ) , 김규은 ( Gyueu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755~785페이지(총31페이지)
플립드러닝과 팀기반학습 모형을 통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자의 사전학습과 개별 학습자의 참여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사전학습은 개별 학습자의 퀴즈점수로 측정되었고, 학습자의 팀활동 참여는 팀준비도확인테스트(tRAT) 활동에서 나타난 개별 학습자의 발화빈도, 발화량, 발화유형별 발화빈도와 발화량으로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tRAT에서 개별 학생의 발화빈도는 평균 25.3회, 발화량의 평균은 약 111단어로 비교적 활발한 참여가 관찰되었다. 학생 당 1회 발언의 평균발화량은 3.9단어로 짧은 편이었다. 발화빈도가 가장 높았던 발화유형은 진행/관리, 의견/근거, 정서교류 순이었고, 발화량이 가장 높았던 유형은 진행/관리, 의견/근거, 심층논의 순이었다, 사전학습수준과 발화빈도, 발화량, 평균발화량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발화유형별로는 사전학습과...
TAG flipped learning, team-based learning, pre-class learning, small group discussion, team readiness assurance test, utterance, 플립드러닝, 팀기반학습, 사전학습, 소집단토의, 팀준비도테스트, 발화
시각화 도구를 활용한 온라인 협력학습 과정 탐색: 디자인 과제를 중심으로
한예진 ( Ye Jin Han ) , 조영환 ( Young Hoan Ch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787~816페이지(총30페이지)
온라인 협력학습은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데 효과적이다. 기존의 온라인 협력학습은 주로 말과 글을 매개로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디자인과제와 같이 시각적 표상을 온라인에서 공동으로 만들고 수정해야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화 도구가 개발되고 있는데, 학습자가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여 어떻게 협력학습에 참여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기적(synchronous)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여 디자인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특성과 학습자가 겪는 어려움을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통제된 실험실 환경에서 대학생들이 3명씩 그룹을 이루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습자 간 상호작용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 간의 대화와 시각화...
TAG visualization tool, online learning, collaborative learning, interaction pattern, 시각화 도구, 온라인 학습, 협력학습, 상호작용 패턴
대학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박경은 ( Kyungeun Park ) , 송해덕 ( Hae-deok Song ) , 조윤성 ( Yunseong J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817~843페이지(총27페이지)
플립드 러닝은 학습몰입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 수업형태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플립드 러닝 상황에서 학습자의 학습몰입 발현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발현기제에 대한 논의는 여전히 부족한 편이었다. 특히 학습몰입을 조형하는 주요한 축으로서 학습자의 동기가 고려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기기제를 살펴보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기본심리욕구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습몰입에 미치는 동기기반 발현기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에서 플립드 러닝 강좌 수강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최종 230명의 설문 응답을 토대로 통계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성, 학습몰입으로 연결되는 발현 경로에 대한 경로분석을 위해 경로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변...
TAG flipped learn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elf-Determination, student engagement, 플립드 러닝, 기본심리욕구, 자기결정성, 학습몰입
취약점 기능군 강조부분 변화시키기를 통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가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최순리 ( Soonri Choi ) , 송지훈 ( Jihoon S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제3호, 845~872페이지(총28페이지)
전체 과제는 기존 일반적인 과제 제시 방법에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로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문제는 사전지식이 형성되어 있는 학습자들이 복합적 학습을 수행할 때, 취약점을 기준으로 제시한 완성하기 과제가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강원도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2학년 학생 32명을 무작위 배분하여 두 집단으로 분류하였다(일반적인 과제,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 우선, 사전 검사를 통해 취약점을 확인했으며, 두 집단모두 사전 검사 기반의 취약점 기능군의 학습을 진행했다. 단, 통제 집단은 기능군별 일반적인 과제를 수행했고, 처치 집단은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를 수행했다. 집단의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은 독립표본 t검증(t-test)을 통해 분석되었다. ...
TAG complex tasks, the least-abled sets of emphasis manipulation, the least-abled sets of completion tasks, cognitive load, learning transfer, instructional efficiency, 복합적 과제, 취약점 기능군 강조부분 변화시키기, 취약점 완성하기 과제, 인지부하, 학습전이, 교수효율성
 1  2  3  4  5  6  7  8  9  10